[공공데이터]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시대 472년간의 역사를 상세히 기록한 역사서로, 천문 현상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객성'(客星)은 평소에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나타나는 별을 의미하며, 이는 혜성, 신성, 초신성 등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객성'에 대한 모든 기록을 일일이 열거하기는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천문 현상은 주로 천문 관측이나 이상 현상에 대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의 디지털 버전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조선왕조실록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객성', '혜성', '별똥별'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관련 기록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은 편년체로 작성되어 있어, 특정 시기의 천문 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신다면 해당 연도의 기록을 직접 살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조선 시대에 관측된 다양한 천문 현상과 그에 대한 당시의 해석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관련 데이터
· 전체 (399)
· 태조 (1)
· 세종 (2)
· 성종 (2)
· 중종 (3)
· 명종 (1)
· 선조 (323)
· 선조수정 (1)
· 인조 (3)
· 현종 (3)
· 현종개수 (9)
· 숙종 (1)
· 영조 (47)
· 정조 (2)
· 1. 태조실록 15권, 태조 7년 11월 28일 경자 2번째기사 / 객성이 달을 범하다
객성(客星)이 달을 범하였다.
· 2. 세종실록 76권, 세종 19년 2월 5일 을축 1번째기사 / 객성이 14일 동안이나 나타나다
유성이 하늘 가운데에서 나와서 동북쪽으로 향하여 들어갔는데, 꼬리의 길이가 4, 5척이나 되었다. 햇무리를 하였는데 양쪽에 귀고리를 하였고, 객성(客星)이 처음에 미성(尾星)의 둘째 별과 세째 별 사이에 나타났는데, 세째 별에 가깝기가 반 자 간격쯤 되었다. 무릇 14일 동안이나 나타났다.
· 3. 세종실록 151권, / 지리지 / 전라도 / 제주목
) 에 이르렀는데, 대개 신라가 번성할 때였다. 그때 객성(客星)이 남방(南方)에 나타나니, 태사(太史)가 아뢰기를, ‘다른 나라 사람이 내조(來朝)할 징조입니다.’ 하였다. 세 사람이 드디어 신라에 입조(入朝)하매, 왕이 가상히 여겨서, 맏[長子]을 ‘성주(星主)’라고 하니, 그 움직인 별을 상징한 것이요, 둘째[二子]를 ‘왕자(王子)’라고 하니, 왕이 고청(高淸)으로...
· 4. 성종실록 185권, 성종 16년 11월 9일 병진 7번째기사 / 조지서가 호조 당상을 욕한 죄인들을 용서하도록 청했으나 들어주지 않다
배 위에 발을 올려 놓자, 태사(太史)가 아뢰기를, ‘객성(客星)이 황제의 자리를 매우 급속하게 침범합니다.’ 하였고, 한(漢)나라 환제(桓帝)가 교제(郊祭)를 지내려 하자, 태사(太史)가 아뢰기를, ‘마성(馬星)이 움직이지 않으니, 명일(明日)에는 틀림없이 교제를 지내지 못할 것입니다.’ 하였는데, 과연 교제를 지내지 못하였으니, 하늘 에서 형상을 드리워 주는 것이 분...
· 5. 성종실록 247권, 성종 21년 11월 27일 을사 1번째기사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김응기 등이 혜성에 대해 서계하다
서(諸書) 중에서 혜성(彗星)·패성(孛星)·객성(客星)을 거론(擧論)한 것을 고찰하여 아뢰라." 하므로, 김응기 등이 《사기(史記)》·《송사(宋史)》·《문헌통고(文獻通考)》 등의 글을 상고하여 아뢰기를, "패성과 요성(妖星)을 통틀어 혜성이라고 하였고, 객성의 경우는 광망(光芒)의 장단(長短)에 대해서 의논한 곳이 없으므로, 신 등이 그것을 혜성이라고 한 것입니다." 하였다.
· 6. 연산군일기 34권, 연산 5년 7월 21일 기묘 1번째기사 / 성현이 천문의 일을 잘 알기 때문에 천문을 살펴서 아뢰게 하다
면 인군은 마땅히 두려워하여 덕을 닦아야 하옵니다." 객성(客星) 항성(恒星)이 아닌 별로 일정한 곳에 늘 있지 않고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별. 자미(紫微) 별의 이름. 자미(紫微) 성좌(星座)의 하나로서, 북극에 위치하여 소웅좌(小熊座)를 중심으로 1백 70여 개로 이루어진 성좌이며, 천제(天帝)가 여기서 거처하고 천제가 거처하던 궁을 자미궁이라 한다. 형혹(熒惑) 화재·...
· 7. 중종실록 33권, 중종 13년 5월 16일 갑인 5번째기사 / 병판 장순손과 호판 김극핍을 탄핵하고, 김정국이 문종 묘실 문제를 거론하다
리를 걸쳐 놓았더니, 이튿날 태사(太史)가 아뢰기를 「객성(客星)이 어좌(御座)를 범하였으니 사태가 매우 급하다.」 하였 다 한다. 광무제와 어릴 때부터 친분이 있어, 그가 즉위한 뒤에 간의 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응하지 않고 숨어 지내다가 80세에 죽었다. 여기서 태사(太史)란 천문을 맡은 관리를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권113 일민열전(逸民列傳). 하고, 조언...
· 8. 중종실록 36권, 중종 14년 7월 26일 정사 1번째기사 / 불시 소대에서 향약이 교화에 중요함과, 소릉 복구와 노산군에 제사한 일에 대해 논의하다
위에 올려놓았었는데, 태사(太史)가 실피고 황급히 "객성(客星)이 제좌(帝座)에 범했습니다." 하자, 제가 웃으며 "짐이 친구 엄자릉과 함께 자므로 그런 것이다."한 고사가 있다. 《후한서(後漢書)》 엄광전(嚴光傳). 당고 (黨錮) 후한 말엽에 환관들이 정권을 독차지하였으므로 환제(桓帝) 때에 진번(陳蕃)·이응(李膺) 등 기절 있는 선비들이 공격하자 환관들이 당인(黨人)...
· 9. 중종실록 75권, 중종 28년 8월 12일 임오 1번째기사 / 평안도 재해와 궁중 비용의 폐단에 관해 논의하다
위에 발을 올려놓았다. 다음날 아침 태사(太史)가 "객성(客星)이 임금의 성좌를 매우 급하게 범하였다."고 아뢰었다. 한다.《후한서(後漢書)》 일민열전(逸民列傳). 하고, 정언 정종호(鄭從濩)는 아뢰기를, "근래 궁중(宮中)의 비용이 너무 많으니, 그 폐단이 적지 않습니다. 왕자의 저택 칸수에 대한 제한 규정이 있는데도 큰 목 재(木材)로 저택을 지어 마치 궁궐과 ...
· 10. 명종실록 16권, 명종 9년 6월 2일 신미 1번째기사 / 혜성 출현에 대해 피전 감선의 뜻을 전교하다
전교하였다. "성변(星變)이 처음에는 객성(客星)인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이는 분명히 혜성이다.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그러니 피전 감선해야겠다."
· 11.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20일 병오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에 나타났다.
· 12.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25일 신해 5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에 나타났다.
· 13.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27일 계축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나고 왕량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에 나타났다. 객성이 왕량성(王良星)의 동쪽에 나타났다.
· 14.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28일 갑인 3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나고 왕량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났다. 객성이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 15.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29일 을묘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나고, 왕량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에 나타났다. 객성이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다.
· 16.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30일 병진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 17.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1일 정사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王良星) 동쪽와 서쪽 제1성(星)에 나타났다.
· 18.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일 무오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이 천창성(天倉星)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에 나타났다.
· 19.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3일 기미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에 나타났다.
· 20.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4일 경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에 나타났다.
· 21.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5일 신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 1성 안쪽에 나타났으며, 여귀성(輿鬼星) 안의 적시성(積尸星)의 기운이 밝고 성하였다. 여귀성(輿鬼星) 동쪽에 보이는 별 이름.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에 "여귀성이 다섯인데 중앙에 있는 별을 적시(積尸)라 한다. 이 별이 나타나면 사람이 많이 죽는다." 하였다.
· 22.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6일 임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에 나타났다.
· 23.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7일 계해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쪽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24.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8일 갑자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쪽과 또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에 나타났다.
· 25.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9일 을축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과 규성(奎星) 위에 나타났다.
· 26.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15일 신미 1번째기사 / 월식이 일어나다
밤에 흐리고 얕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있는 곳을 살피지 못하였다. 사경에서 오경 사이에서 월식(月蝕)이 있었다.
· 27.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18일 갑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第一星) 안에 나타났고, 오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28.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19일 을해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29.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0일 병자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0.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1일 정축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1.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2일 무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2.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3일 기묘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3.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4일 경진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4.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6일 임오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5.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7일 계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6.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8일 갑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7.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29일 을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8. 선조실록 32권, 선조 25년 11월 30일 병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39.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일 무자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王良星) 동쪽 및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0.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3일 기축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천창성 안쪽과 왕량성 동쪽 및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1.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4일 경인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王良星) 동쪽 및 서쪽 제 1성 안에 나타났다.
· 42.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16일 임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쪽과 규성(奎星) 위에 나타났다.
· 43.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17일 계묘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쪽과 왕량성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4.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0일 병오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보였다.
· 45.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1일 정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 46.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2일 무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7.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3일 기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 제1성(第一星)과 제2성(第二星) 사이와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8.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4일 경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49.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5일 신해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과 왕량성(王良星) 동쪽과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50.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6일 임자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또 객성이 있어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51.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7일 계축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또 객성이 있어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52.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8일 갑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에 나타나고, 또 왕량성 동쪽 제1성과 제2성 사이에 나타났으며 서쪽 제1성 안에도 나타났다.
· 53.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29일 을묘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과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다. 또 객성이 있어 서쪽 제1성 안에 나타났다.
· 54.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2일 정사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성좌 안에 나타났고 왕량성(王良星)의 동쪽에 나타났다.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第一星)의 성좌 안에 나타났다.
· 55.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3일 무오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의 성좌 안에 나타나고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으며,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의 성좌 안에 나타났다.
· 56.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4일 기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개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성(東星) 자리 안에 나타났고,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으며,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의 자리 안에 나타났다.
· 57.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5일 경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에 나타났으며, 또 왕량성 동쪽에 나타났고,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의 자리 안에 나타났다.
· 58.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17일 임신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안에 나타나고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으며, 또 객성이 왕량성 제일성 안에 나타났다.
· 59.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19일 갑술 11번째기사 / 객성이 전과 같이 나타나다
이날 밤 객성(客星)이 전과 같았다.
· 60.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21일 병자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개성이 천창성(天倉星) 안에 나타나고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으며 또 객성이 왕량성 서쪽 제일성 안에 나타났다.
· 61.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25일 경진 13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이 천창성(天倉星)에 나타났으며,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고,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 안에 나타났다.
· 62.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26일 신사 1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안에 나타났으며,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 나타났다.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 안에 나타났다.
· 63. 선조실록 35권, 선조 26년 2월 2일 정해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과 왕량성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안에 나타나고 또 왕량성(王良星) 동쪽에도 나타났다. 또 객성이 서쪽 제일성의 안에 나타났다.
· 64. 선조실록 35권, 선조 26년 2월 24일 기유 5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객성을 소재를 알 수 없었고 안개도 끼다
밤 일경(一更)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의 소재를 살필 수 없었다. 오경과 사경에 안개가 끼었다.
· 65. 선조실록 35권, 선조 26년 2월 26일 신해 6번째기사 / 객성이 왕량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왕량성(王良星) 동쪽 제일성과 제이성 사이에 나타났다.
· 66.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5일 정사 10번째기사 / 동쪽에 천창성과 객성이 나타나다
밤 5경에 천창성(天倉星)이 동쪽에 나타났는데, 객성(客星)은 여전히 천창성 동쪽에 있었다. 지난 임진년 11월 22일부터 금년 2월까지 항상 나타났다.
· 67.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15일 정묘 11번째기사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다
신시(申時)에 햇무리가 졌다. 1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4경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彗星)과 객성(客星)을 관측할 수 없었다.
· 68.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17일 기사 8번째기사 / 혜성이 희미해지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5경에 혜성(彗星)이 팔곡성(八穀星) 밑에 있었는데 형체가 점점 희미해지고 창백색(蒼白色)이었다. 망광(芒光)이 달빛에 가려 그 꼬리와 길이를 볼 수 없었다.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쪽 3촌(寸) 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69.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18일 경오 13번째기사 / 구름으로 혜성과 객성을 보지 못하다
4경(更)에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彗星)과 객성(客星)을 모두 볼 수 없었다.
· 70.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19일 신미 4번째기사 / 유성들이 나오고 혜성은 작아지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위치하다
옮겨가서 팔곡성(八穀星) 곁에 있었는데, 형체가 점점 작아졌고 창백색(蒼白色)이었으며 광망(光芒)은 달 때문에 자세히 보이지 않았다.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작고 희미하였다. 유성이 묘성(昴星) 밑에서 나와 삼성(參星) 위로 들어갔는데 형상은 배[梨]만하고 꼬리의 길이는 2∼3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71.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0일 임신 8번째기사 / 혜성이 작아지고 객성과 유성이 있다
위에 있었는데 형체가 점점 작아졌고 광망(光芒)이 동북쪽으로 뻗쳤는데 길이가 5∼6척쯤 되었으며 창백색(蒼白色)이었다. 4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이 천창성보다 약간 작았다. 유성(流星)이 천시(天市)의 서원(西垣) 밖에서 나와 서쪽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형상은 주먹만하고 꼬리의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적색(赤色)이었다.
· 72.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1일 계유 9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햇무리가 지다
묘시(卯時)에 사방에 짙은 안개가 끼고 사시(巳時)에는 햇무리가 졌으며, 밤 1경(更)부터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彗星)과 객성(客星)을 볼 수 없었다.
· 73.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3일 을해 3번째기사 / 적색 유성이 나오고 혜성이 상행성 쪽으로 이동하다
모양은 주먹만하고 꼬리의 길이는 2∼3척쯤 되었으며 적색(赤色)이었다. 혜성이 점점 상행성(上行星) 쪽으로 옮겨가서 팔곡성(八穀星) 위 자미성(紫微星) 서원(西垣) 밖 제1성 곁에 있었는데, 형체가 점점 작아지고 광망(光芒)은 동북쪽을 가리키고 있는데 길이는 4∼5척쯤 되었으며 창백색(蒼白色)이었다. 그 뒤로는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客星)을 모두 볼 수 없었다.
· 74.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5일 정축 9번째기사 / 구름으로 혜성과 객성을 관찰하지 못하다
1경부터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客星)을 모두 볼 수 없었다.
· 75.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6일 무인 8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1경부터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客星)을 살필 수 없었다.
· 76.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8일 경진 5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관찰하지 못하다
5경부터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77.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29일 신사 2번째기사 / 혜성이 위로 옮아가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위치하다
3경에서 5경까지 혜성이 점차 위로 옮아가서[上行] 화개성(華蓋星) 바깥 전사성(傳舍星) 안에 있었는데, 형체는 점점 희미해졌고 빛깔은 창백색(蒼白色)이었으며 꼬리 길이는 2, 3척 남짓이었다. 4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작았다.
· 78.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일 임오 5번째기사 / 혜성이 점점 희미해지다
1경부터 5경까지 혜성(彗星)이 점차 위로 옮겨가 화개성(華蓋星) 밖과 전사성(傳舍星) 안쪽에 있었는데, 형체가 점점 희미해지고 창백색(蒼白色)이었으며 꼬리의 길이는 1∼2척쯤 되었다. 4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의 3촌쯤 안쪽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79.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6일 정해 3번째기사 / 혜성·객성·유성·형혹성의 변이 있다
꼬리가 없었다.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와 색깔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했다. 유성(流星)이 위성(危星)위에서 나와 읍성(泣星) 위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고 꼬리의 길이는 4∼5척쯤 되었으며, 빛의 흔적이 서로 이어졌다가 한참 후에 없어졌는데 적색이었다. 형혹성(熒惑星)의 광망(光芒)이 매우 크고 짙은 적색이었다.
· 80.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7일 무자 11번째기사 / 혜성·객성·유성들이 있다
서쪽 제6성과 제7성 안으로 옮겨가 있었는데, 형체가 작고 창백색(蒼白色)이었으며 꼬리는 없었다. 3경부터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寸) 쯤에 있었는데 형색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5경에 유성(流星)이 규성(奎星) 위에서 나와 삼성(參星)과 기성(旗星) 위로 들어갔는데 형상이 주먹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5∼6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81.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1일 임진 4번째기사 / 달과 목성이 전도를 같이하다
밤 2경부터 달과 목성(木星)이 전도(躔度)를 같이하였다. 3경에서 4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寸)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했다. 혜성은 망각(芒角)이 사라진 뒤로는 날마다 점점 희미해졌고, 4경 이전에는 달빛 때문에 보이지 않았으며, 5경 이후에는 구름에 덮여 혜성이 머문 곳의 성차(星次)를 관측할 수 없었다.
· 82.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2일 계사 8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묘시(卯時)와 진시(辰時)에 햇무리가 지고 좌이(左珥)가 있었다. 밤에 1경에서 2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았으나 그 뒤로는 구름이 짙게 끼어 혜성과 객성(客星)을 관측할 수 없었다.
· 83.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3일 갑오 6번째기사 / 혜성과 객성이 희미해지다
밤 1경에서 4경까지 구름이 짙게 끼었다. 5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혜성(彗星)은 망각(芒角)이 사라진 뒤에 날로 점점 희미해지고, 또 새벽 기운으로 인하여 혜성이 잘 안보여서 혜성이 머문 성차(星次)를 관측할 수 없었다.
· 84.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4일 을미 4번째기사 / 혜성이 희미해지다
밤 1경에서 4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客星)과 혜성을 모두 관측할 수 없었다. 5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이 천창성 보다 약간 희미했다. 혜성이 화개성(華蓋星) 서쪽 제5성과 제6성 밖과 전사성(傳舍星) 서쪽 제6성과 제7성 안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희미하여 자세히 관측할 수 없었다. 사방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 85.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5일 병신 8번째기사 / 달빛이 밝아 혜성과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에 1경(一更)에서 5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서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5경에는 사방에 안개가 끼었다.
· 86.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6일 정유 8번째기사 / 구름으로 인해 혜성과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1경에서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87.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7일 무술 7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오시(午時)에 햇무리가 졌다. 밤 1경에서 5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고 또 엷은 기운이 있어서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88.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8일 기해 9번째기사 / 짙은 구름이 끼고 달무리가 지다
밤 1경(一更)에서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2경과 3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89.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19일 경자 11번째기사 / 구름과 달빛으로 혜성을 살피지 못하고 달무리가 지다
밤 1경에서 4경까지는 짙은 구름이 끼었고, 5경에는 달빛이 매우 밝아서 혜성과 객성(客星)을 살필 수 없었다. 3경과 4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90.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0일 신축 5번째기사 / 달빛이 밝아 객성을 관찰하지 못하고 유성이 나오다
밤 2경에서 5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혜성은 형체가 매우 희미하였다. 5경에서 유성(流星)이 왕량성(王良星) 아래에서 나와 서방(西方)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형상이 사발과 같고 꼬리의 길이는 2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91.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1일 임인 4번째기사 / 달빛이 밝아 객성을 살피지 못하고 혜성은 형체가 작아지다
밤 2경(二更)에서 5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客星)을 살필 수 없었다. 혜성은 형체가 매우 작았다.
· 92.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2일 계묘 7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1경에서 5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93.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3일 갑진 7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1경에서 3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혜성과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4경과 5경에는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94.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4일 을사 6번째기사 / 혜성이 살필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해지다
밤 1경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4경에 달이 동정성(東井星)으로 들어갔다. 혜성은 형체가 매우 희미하여 살필 수가 없었다.
· 95.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5일 병오 8번째기사 / 토성과 금성이 같은 전도에 있고 혜성이 소멸되다
밤 2경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4경에는 토성(土星)이 금성(金星)과 같은 전도(躔度)에 있었다. 혜성은 소멸되어 보이지 않았다.
· 96.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6일 정미 8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에서 5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으나, 3경과 4경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보이지 않았다.
· 97.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7일 무신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에서 3경까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고, 4경과 5경에는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98.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28일 기유 8번째기사 / 객성이 있고 햇무리가 지다
밤 2경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고, 묘시(卯時)에서 유시(酉時)까지는 햇무리가 졌다.
· 99. 선조실록 41권, 선조 26년 8월 30일 신해 1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에서 5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0.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일 임자 1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二更)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1.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2일 계축 1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二更)에서 5경(五更)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2.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3일 갑인 11번째기사 / 아침에 태백이 나타나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사시(巳時)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고 밤 2경(二更)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3.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4일 을묘 1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2경(二更)에서 4경(四更)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는데, 5경에는 구름이 가려서 보이지 않았다.
· 104.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5일 병진 1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1경(一更)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5.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6일 정사 1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1경(一更)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06.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8일 기미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1경(一更)에서 2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3경에서 5경까지는 객성이 천창성(天倉星)의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빛깔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107.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9일 경신 10번째기사 / 짙은 구름으로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1경(一更)에서 5경(五更)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관찰할 수가 없었다.
· 108.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0일 신유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1경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이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109.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1일 임술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1경에서 5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形色)은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110.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2일 계해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1경에서 5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형색은 천창성보다 약간 희미하였다.
· 111.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4일 을축 3번째기사 / 구름과 달빛때문에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1경(一更)에서 2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3경에서 5경까지는 달빛이 너무 밝아서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112.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 9월 15일 병인 4번째기사 / 구름과 달빛 때문에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1경에서 2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고, 3경에서 5경까지는 달빛이 너무 밝아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113. 선조실록 43권, 선조 26년 10월 11일 신묘 2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일경(一更)에서 이경(二更)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나타났는데 모양과 빛깔은 천창성보다 조금 희미했다. 오경(五更)에는 금성(金星)이 태미원(太微垣)의 단문성(端門星) 안으로 들어갔다. 천창성(天倉星) 28(宿)수 중 누성(婁星)의 남쪽에 있는 별. 곡식의 저장을 맡는다는 별. 태미원(太微垣) 성좌(星座) 이름. 북극(北極) 근방의 자미원(紫微...
· 114. 선조실록 43권, 선조 26년 10월 13일 계사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일경에서 오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쪽의 3촌쯤에 나타났는데 모양과 빛깔이 천창성보다 조금 희미했다.
· 115. 선조실록 43권, 선조 26년 10월 23일 계묘 1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과 이경에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의 제 2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과 빛깔이 천창성보다 조금 희미했고, 삼경부터 오경까지는 구름이 짙어 관측할 수가 없었다.
· 116. 선조실록 43권, 선조 26년 10월 27일 정미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일경에서 오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이 희미하고 작았다.
· 117.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0일 경신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구름이 짙게 끼고 이경에서 사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 118.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1일 신유 2번째기사 / 객성을 살펴볼 수 없게 되다
밤 일경(一更)부터 사경(四更)까지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볼 수 없었다.
· 119.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2일 임술 8번째기사 /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사경에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客星)을 살필 수 없었다.
· 120.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3일 계해 6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客星)을 살필 수 없었다.
· 121.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4일 갑자 2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22.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5일 을축 4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一更)에서 삼경까지 달 빛이 매우 밝았고 사경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23.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6일 병인 8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사경까지 구름이 덮이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24.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7일 정묘 4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달빛이 무척 밝아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25.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8일 무진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이경과 삼경에는 달빛이 무척 밝았고 사경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살필 수 없었다.
· 126.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19일 기사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과 이경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이 희미하고 작았다. 삼경에서 사경까지는 짙은 구름이 끼어 살필 수 없었고 삼경에서 오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 127.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0일 경오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서 사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이 희미하고 작았다.
· 128.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1일 신미 10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서 사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면서도 밝았다.
· 129.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2일 임신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서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사경에는 구름이 짙게 끼어 살필 수 없었다.
· 130.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3일 계유 5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오경까지 짙은 구름 때문에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31.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4일 갑술 4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32.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5일 을해 5번째기사 / 객성과 유성이 나타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이경(二更)에는 유성(流星)이 천창성 밑에서 나와 손방(巽方)의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병과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5∼6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는데 광채가 땅을 비추었다.
· 133.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6일 병자 5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34.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7일 정축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 135.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8일 무인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서 사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이 희미하고 작았다.
· 136.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9일 기묘 3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은 희미하고 작았다. 그 뒤에는 구름이 짙게 끼어 살필 수 없었다.
· 137.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30일 경진 9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서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모양이 희미하고 작았다.
· 138.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일 신사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 3성(星) 안 3촌쯤에 있고 형체가 작았는데, 삼경에는 구름이 잔뜩 끼어 살펴볼 수 없었다.
· 139.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일 임오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40.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3일 계미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41.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4일 갑신 9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을 살필 수 없었다.
· 142.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5일 을유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삼경에는 구름이 짙게 끼어 살필 수 없었다.
· 143.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6일 병술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진시(辰時)·사시(巳時)에 사방에 안개가 끼었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흐리고 작았다. 오경에는 사방에 무기(霧氣)가 있었다.
· 144.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7일 정해 5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진시(辰時)부터 사시(巳時)까지 사방에 무기(霧氣)가 있었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볼 수 없었다.
· 145.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8일 무자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에 일경부터 삼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희미하고 작았다.
· 146.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9일 기축 12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47.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0일 경인 5번째기사 / 객성을 살필 수 없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서 객성을 살펴볼 수 없었다.
· 148.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2일 임진 10번째기사 /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서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49.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3일 계사 6번째기사 / 객성을 살피지 못하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서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일경에 유성(流星)이 옥정성(玉井星) 아래에서 나와 천국성(天國星) 위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 같고 꼬리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150.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4일 갑오 5번째기사 / 객성을 살펴볼 수 없게 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서 객성(客星)을 살펴볼 수 없었다. 일경에 서방에 적기(赤氣)가 있었다.
· 151.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5일 을미 3번째기사 /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진시(辰時)부터 미시(未時)까지 햇무리가 졌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일경에 사방에 무기(霧氣)가 있었다. 일경부터 삼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 152.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6일 병신 7번째기사 /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53.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7일 정유 10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54.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8일 무술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55.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9일 기해 9번째기사 /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다
밤 일경부터 오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56.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0일 경자 9번째기사 /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57.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1일 신축 8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58.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2일 임인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에 서방에 적기(赤氣)가 있었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59.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3일 계묘 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오경에 달무리가 졌다.
· 160.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4일 갑진 13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진시(辰時)·사시(巳時)에 햇무리가 졌다. 오시(午時)에 햇무리가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다. 미시(未時)·신시(申時)에 햇무리가 졌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61.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5일 을사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의 동쪽 제 3성 안 제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62.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6일 병오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63.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7일 정미 8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64.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8일 무신 7번째기사 / 객성을 살펴보지 못하다
밤 일경부터 삼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165.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29일 기유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부터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의 동쪽 제 3성 안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았다.
· 166.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일 경술 19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고 객성이 희미하다
미시(未時)와 신시(申時)에 햇무리가 졌다. 밤 일경(一更)에서 삼경(三更)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蒼星) 동쪽 제3성 안쪽의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는 작고 희미하였다.
· 167.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일 신해 5번째기사 / 짙은 구름이 끼고 객성이 희미하다
밤 일경에 짙은 구름이 끼었으므로 객성을 살펴볼 수 없었다. 이경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는 작고 희미하였다.
· 168.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3일 임자 9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다
밤 일경(一更)에서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蒼星)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가 희미하고 작았다.
· 169.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4일 계축 5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가 희미하고 작았다.
· 170.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6일 을묘 4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다
밤에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는 희미하고 작았다.
· 171.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7일 병진 5번째기사 / 달빛이 너무 밝아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일경에서 이경까지 달빛이 너무 밝아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2.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8일 정사 3번째기사 / 짙은 구름으로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에 일경에서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서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3.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9일 무오 6번째기사 / 짙은 구름으로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4.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0일 기미 6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客星)이 천창성(天倉星) 동쪽에 있었다.
· 175.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2일 신유 6번째기사 / 달무리가 지다
일경에서 삼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달빛이 매우 밝아서 객성(客星)을 살필 수가 없었다. 일경에는 사방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 176.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3일 임술 10번째기사 /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일경에서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었다. 구름이 개고 난 뒤에는 달빛이 매우 밝았으므로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7.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5일 갑자 4번째기사 / 달빛이 밝아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일경에서 이경까지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8.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6일 을축 10번째기사 / 달빛이 밝아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일경과 이경에 달빛이 매우 밝아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79.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7일 병인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 180.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8일 정묘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 181.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19일 무진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있었다.
· 182.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0일 기사 15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에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있었다.
· 183.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2일 신미 6번째기사 / 안개가 끼다
묘시(卯時)와 진시(辰時)에 안개 기운이 사방에 있었다. 밤에는 사방에 붉은 기운이 있었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있었다.
· 184.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3일 임신 2번째기사 / 안개가 끼다
묘시에서 진시까지 사방에 안개가 끼었다. 밤에는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있었다.
· 185.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4일 계유 9번째기사 / 안개가 끼다
밤에 사방에 안개 기운이 있었고,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에 있었다.
· 186.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5일 갑술 8번째기사 / 안개가 끼다
진시(辰時)에 사방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밤에 일경에서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87.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6일 을해 5번째기사 / 안개가 끼다
밤 일경에 사방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작고 희미하였다.
· 188.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7일 병자 7번째기사 / 안개가 끼어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일경에서 이경까지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89.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8일 정축 3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객성을 살피지 못하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구름이 끼어서 객성을 살필 수가 없었다.
· 190.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 12월 29일 무인 8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는데 희미하다
밤에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가 희미하고 작았다.
· 191. 선조실록 47권, 선조 27년 1월 1일 경진 9번째기사 / 짙은 구름이 끼다
밤 일경(一更)에 짙은 구름이 끼었다. 이경(二更)에 구름이 걷힌 뒤 객성(客星)이 천창성 제3성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는 작고 희미하였다.
· 192. 선조실록 47권, 선조 27년 1월 2일 신사 4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형체가 희미하고 작았다.
· 193. 선조실록 47권, 선조 27년 1월 3일 임오 2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고 작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天倉星)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는데 형체는 희미하고 작았다.
· 194. 선조실록 47권, 선조 27년 1월 4일 계미 7번째기사 / 객성이 천창성 동쪽에 있다
밤 일경에서 이경까지 객성이 천창성 동쪽 제3성 안쪽 3촌쯤에 있었다.
· 195. 선조실록 54권, 선조 27년 8월 2일 정미 4번째기사 / 관상감에서 천창성 안에 나타난 별에 대하여 아뢰다
말하기를 ‘예로부터 객성 운행 도수의 진퇴는 경성(經星)과 다른 것인데 3년을 변동하지 않을 리가 없다. 필시 이름이 없는 경성일 것이다.’합니다. 당초에 일관이 관찰을 잘못하여 객성이라고 지적해서 아뢰었으니 매우 해괴한 일입니다. 이 일을 잘 아는 일관을 시켜 다시 자세히 살피게 하고 우선 객성으로 서계(書啓)하지 말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따랐다.
· 196.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1일 무진 1번째기사 / 객성을 관측하다
밤 1경(更)에 객성(客星)이 미수(尾宿) 10도의 위치에 있었는데, 북극성과는 1백 10도의 위치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작고 황적색(黃赤色)이었으며 동요하였다. 5경에 안개가 끼었다.
· 197.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2일 기사 1번째기사 / 객성을 관측하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와는 11도(度)이고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작고 황적색(黃赤色)이었는데, 동요하였다. 3경과 4경에 달무리가 졌다.
· 198.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3일 경오 2번째기사 / 객성을 관측하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의 위치였고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조금 작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번개가 쳤다. 4경에 유성(流星)이 위성(胃星) 위에서 나와 규성(奎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았고 꼬리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백색이었다. 5경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 199.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4일 신미 1번째기사 / 초저녁부터 천둥·번개가 치고, 객성이 나타나다
초저녁부터 밤 1경까지 천둥과 번개가 쳤다. 1경 3점(點) 뒤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나타났는데,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조금 작고 황적색(黃赤色)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객성이 위치한 성수(星宿) 및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운기(雲氣)가 개합(開合)하였으므로 측후할 수 없었다. 5경에 안개가 짙게 끼었다.
· 200.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5일 임신 1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밤에 객성이 나타나다
묘시와 진시에 안개가 짙게 끼었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의 위치였고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歲星)만 하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 201.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6일 계유 1번째기사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사시와 오시에 햇무리가 졌다. 밤 2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의 위치였고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歲星)만하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5경에 달무리가 졌다.
· 202.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27일 갑술 1번째기사 / 태백성이 나타나다
진시에 태백성(太白星)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 11도의 위치였고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세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 203. 선조실록 178권, 선조 37년 9월 30일 정축 1번째기사 / 밤에 객성이 나타나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나타났는데, 형체가 세성(歲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객성이 위치한 성수(星宿) 및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구름 기운이 개합(開合)하여 측후할 수 없었다.
· 204.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일 무인 2번째기사 / 해돋기 전에 일식 현상이 있다
있었다. 진시(辰時)에 태백(太白)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更)에 전광(電光)이 있었다.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나타났는데 형체가 세성(歲星)보다 컸고 황적색(黃赤色)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그 나타난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운기(雲氣)가 갰다꼈다 하여 측후(測候)할 수가 없었다. 4경(更)에 천둥이 쳤다. 지중식(地中蝕) 해돋기 전의 일식.
· 205.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일 기묘 1번째기사 / 해돋을 녘에 태양에 새알만한 흑점이 보이다
해돋을 녘에 태양 가운데에 크기가 새알만한 흑자(黑子)가 있었다. 진시에 태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更)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度)에 위치하였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거리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 206.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3일 경진 1번째기사 / 해돋을 녘에 태양에 계란만한 흑점이 보이다
해돋을 녘에 태양 가운데에 흑자(黑子)가 있었는데 크기는 계란만하였다. 진시에 태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更)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度)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컸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 207.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5일 임오 1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오시에 햇무리가 졌다. 밤 1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을 측후할 수가 없었다.
· 208.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6일 계미 1번째기사 / 객성을 관측하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度)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였다. 형체의 크기는 금성(金星)만 하였고 광망(光芒)이 매우 성하였으며 황적색(黃赤色)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09.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7일 갑신 2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묘시와 진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진시에 태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나타났는데, 형체의 크기는 금성(金星)만하였고 광망이 매우 성하였으며 황적색으로 동요하였다. 위치한 곳의 성수(星宿)의 도수(度數)와 북극성과의 도수는 달과 가까이 있는 데다가 유기(游氣)가 있어 측후할 수 없었다.
· 210.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8일 을유 2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묘시와 진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진시에 태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의 11도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였다. 형체의 크기는 금성만하였고 광망이 매우 성하였으며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2경에 달무리가 졌다.
· 211.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9일 병술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진시에 태백이 사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의 11도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였다. 형체의 크기는 금성만하였고 광망이 매우 성하였으며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유성(流星)이 오거성(五車星) 위에서 나와 각도성(閣道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때 같고 꼬리의 길이는 5∼6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212.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0일 정해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형체의 크기는 금성(金星)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13.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1일 무자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금성만하였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유성(流星)이 우림성(羽林星) 아래에서 나와 남쪽 하늘가로 사라졌는데, 모양은 동이와 같고 꼬리의 길이는 4∼5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214.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2일 기축 3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묘시에서 진시까지 안개 기운이 있었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금성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15.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3일 경인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형체의 크기는 금성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16.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4일 신묘 3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은 구름이 끼어 측후하지 못하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更)에 객성(客星)이 구름 틈새로 보였는데 크기는 금성(金星)만하였다. 위치하고 있는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운기(雲氣)가 가려 있어 측후(測候)할 수가 없었다.
· 217.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6일 계사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고 햇무리가 지다. 객성을 관측하다
다. 햇무리가 지고 좌이(左珥)가 있었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歲星)만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5경에는 금성의 광망(光芒)이 매우 성하였다. 좌이(左珥) 청적색(靑赤色)의 둥근 운기(雲氣)가 태양의 왼쪽에 나타 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밖에 청적색의 운기...
· 218.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7일 갑오 2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은 구름이 끼어 측후하지 못하다
사시(巳時)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更)에 객성이 구름 틈새로 보였는데 크기는 세성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위치하고 있는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구름이 짙게 끼어 측후할 수 없었다.
· 219.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19일 병신 1번째기사 /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1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20.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0일 정유 3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만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21.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1일 무술 1번째기사 / 객성을 관측하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歲星)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22.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2일 기해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동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만 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23.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3일 경자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세성보다 조금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유성(流星)이 북락사문성(北落師門星) 아래에서 나와 남쪽 하늘가로 사라졌는데 모양은 바리때 같고 꼬리의 길이는 4∼5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224.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5일 임인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었는데 크기는 세성(歲星)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위치하고 있는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운기(雲氣)가 있어서 측후할 수 없었다. 5경(更)에 달에 겹달무리가 졌다.
· 225.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6일 계묘 1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햇무리가 지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이었다. 사시에서 신시까지 햇무리가 졌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동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은데, 동요하였다. 4경에 유성(流星)이 좌기성(坐旗星) 위에서 나와 천측성(天廁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때 같고 꼬리의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5경에 유성이...
· 226.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7일 갑진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고 햇무리가 지다. 객성은 구름이 끼어 측후하지 못하다
겹햇무리[重暈]가 졌는데 안팎의 햇무리에 모두 대(戴)가 있었다. 빛깔은 모두 안은 적색이고 밖은 청색이었는데 안쪽의 햇무리에는 양이(兩珥)가 있었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나타났는데 크기는 세성(歲星)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위치하고 있는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北極星)과의 도수는 구름에 가려서 측후(測候)할 수가 없었다.
· 227.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8일 을사 1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있었는데 안은 적색이었고 밝은 청색이었다. 밤 1경에 객성이 구름 틈새로 보였는데 크기가 세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위치한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는 구름이 짙게 끼어 측후할 수가 없었다. 3경에 유성이 위성(胃星) 아래에서 나와 남쪽 하늘가로 사라졌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5∼6척쯤 되었으며 백색이었다. 4경에 ...
· 228. 선조실록 179권, 선조 37년 윤9월 29일 병오 1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시에 햇무리가 지고 좌이(左珥)가 있었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화성(火星)만 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유성이 우림성(羽林星) 위에서 나와 수여성(須女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백색이었다. 4경에 유...
· 229.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1일 정미 2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태백이 나타나고, 구름 때문에 객성이 보이지 않다
진시(辰時)에 안개가 끼었다. 사시(巳時)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을 측후(測候)할 수가 없었다. 번개가 쳤다.
· 230.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2일 무신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고,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오시(午時)에 태백이 미지(未地)에 나타났다. 밤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5경에 안개가 끼었다.
· 231.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3일 기유 1번째기사 / 안개가 끼고, 태백이 나타나고, 객성이 보이다
묘시(卯時)와 진시(辰時)에 안개가 끼었다. 사시(巳時)와 오시(午時)에 햇무리가 졌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구름 틈새로 보였는데 크기는 화성(火星)만하고 황적색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위치한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측후할 수가 없었다.
· 232.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4일 경술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관측하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에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화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33.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5일 신해 1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다.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고 금성이 평도좌성을 범하다
진시(辰時)에 해에 좌이(左珥)가 있었다. 사시(巳時)에 햇무리가 지고 우이(右珥)가 있었다. 미시(未時)에 햇무리가 졌다. 밤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5경에 금성(金星)이 평도좌성(平道左星)을 범하였다.
· 234.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6일 임자 1번째기사 / 객성과 유성을 관측하다
밤 1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화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유성이 우성(牛星) 아래에서 나와 남방 하늘가로 사라졌는데 모양은 바리때와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3경에 유성이 북두성 아래에서 나와 서방 하늘가로 사라졌는데 모양은 바리...
· 235.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8일 갑인 1번째기사 / 객성이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다
객성이 구름에 가려서 보이지 않았다. 1경에 유성이 필성(畢星) 아래에서 나와 천창성(天倉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때와 같았고 꼬리 길이는 5∼6척쯤 되었으며, 적색이었다.
· 236.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9일 을묘 1번째기사 /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37. 선조실록 180권, 선조 37년 10월 14일 경신 1번째기사 / 태백이 나타나다. 객성을 측후하지 못하다
사시(巳時)에 태백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객성이 태양에 가까이 있다가 어두워지기 전에 서쪽으로 졌으므로 측후할 수가 없었다.
· 238.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6일 임오 1번째기사 / 객성이 동틀 녘에 나타나다. 태백성이 나타나다
동틀 녘에 객성(客星)이 다시 동쪽에 나타나 예전대로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北極)에서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黃赤色)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사시에 태백성(太白星)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 239.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7일 계미 2번째기사 / 동틀 녘에 객성이 나타나다. 오지에 태백성이 나타나다
동틀 녘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사시에 태백성(太白星)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 240.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8일 갑신 1번째기사 / 객성·태백성이 출현하고 안개 기운이 있다
동틀 녘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묘시와 진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사시에 태백성(太白星)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 241.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9일 을유 2번째기사 / 동틀 녘에 객성이 나타나다. 오지에 태백성이 나타나다
동틀 녘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 242.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1일 정해 1번째기사 / 동틀 녘과 밤 5경에 객성이 나타나다. 오지에 태백성이 나타나다
동틀 녘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5시경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 243.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2일 무자 1번째기사 / 적운(赤雲)·안개기운·햇무리·달무리·유성·객성이 나타나다
꼬리의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색은 적색이었다. 객성(客星)이 탁기(濁氣) 가운데에 보였는데,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으로 동요하였다. 그것이 있는 별자리에서 북극성(北極星)까지의 도수는 관측하지 못하였다. 우이(右珥) 태양이나 달에 생기는 변이의 하나로 청적색의 둥근 운기(雲氣)가 태양이나 달의 오른 쪽에 고리처럼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데, ...
· 244.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3일 기축 1번째기사 / 안개 기운·햇무리·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진시(辰時)에 안개 기운이 있고 햇무리가 졌는데 우이(右珥)가 있었다. 미시(未時)에 햇무리가 졌다. 밤 1경부터 2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5경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45.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4일 경인 1번째기사 / 햇무리·태백성·객성이 나타나다
진시(辰時)에 햇무리가 지고 우이(右珥)가 있었다. 사시(巳時)에 햇무리가 지고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5경(更)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46.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5일 신묘 4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47.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6일 임진 1번째기사 / 안개 기운·태백성·햇무리·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진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사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미시에 태백이 오지에 나타났다. 미시에 햇무리가 지고 햇무리 위에 관(冠)이 있었는데, 안은 적색이었고 밖은 청색이었다. 밤 1경부터 2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5경에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48.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8일 갑오 2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49.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19일 을미 2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50.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0일 병신 2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51.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1일 정유 3번째기사 / 태백성이 오지에, 객성이 밤 5경에 나타나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5경에 객성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52.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2일 무술 2번째기사 / 밤 5경에 구름이 짙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5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53.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4일 경자 9번째기사 / 안개가 끼여 객성이 보이지 않다
진시·사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밤 1경(更)부터 4경까지 안개 기운이 있었다. 5경에 안개에 잠겨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54.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5일 신축 1번째기사 / 안개·햇무리·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햇무리가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는데 햇무리 위에 관(冠)이 있었으며 색은 안은 적색이고 밖은 청색이었다. 밤 1경부터 4경까지 안개 기운이 있었다. 5경에 달무리가 지고 안개 기운이 있었다. 객성이 구름 틈으로 보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그러나 객성이 있는 수(宿)와 북극성까지의 도수(度數)는 가리워져서 측후(測候)할 수 없었다.
· 255.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7일 계묘 2번째기사 / 햇무리·객성이 나타나다
사시에 햇무리가 지고 좌이(左珥)가 있었으며 햇무리 위에 관(冠)이 있었는데 색은 안은 적색이고 밖은 청색이었다. 오시부터 신시까지 햇무리가 졌다. 밤 5경(更)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보였는데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색은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객성이 있는 수(宿)와 북극(北極)에서 떨어진 도수(度數)는 구름이 가려서 측후하지 못하였다.
· 256.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8일 갑진 1번째기사 / 햇무리·짙은 구름·적기(赤氣)가 나타나고 눈이 내리다
불빛같이 타오르다가 타오르는 가운데에 따로 햇불의 불똥같은 한 가닥의 적기가 장장 두세 길[丈]쯤이나 곧추 섰고, 다음에 남방·곤방(坤方)·서방·건방(乾方)·북방·동방에서 일어나 모두 차례로 보였다. 대개 형체는 다 같았는데 서로 명멸(明滅)하다가 4경(更)에 이르러 구름이 짙게 끼고 눈이 내리자 보이지 않았다. 5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57.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 11월 29일 을사 2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更)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北極)에서 1백 9도 떨어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58.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일 병오 2번째기사 / 햇무리가 지고 객성은 구름 때문에 보이지 않다
진시부터 사시까지 햇무리가 졌다. 미시에 햇무리가 지고 좌이(左珥)가 있었다. 신시에 햇무리가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다. 밤 5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59.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일 정미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금성(金星)이 객성을 범하였다.
· 260.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3일 무신 1번째기사 / 새벽녘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동쪽에 구름이 덮여서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새벽녘 구름이 흩어진 뒤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 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1.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6일 신해 1번째기사 / 밤 5경에 짙은 안개로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5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62.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9일 갑인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3.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0일 을묘 5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 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4.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1일 병진 4번째기사 / 안개 기운·태백성·햇무리·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진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신시에 햇무리가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다. 밤 1경에 달무리가 졌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심대성(心大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5.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2일 정사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대성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6.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3일 무오 1번째기사 / 태백성·객성이 나타나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심대성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7.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5일 경신 1번째기사 / 태백성·객성이 나타나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났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되는 위치였다. 크기는 심대성(心大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8.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7일 임술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로 떨어진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69.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8일 계해 1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3경에서 5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5경에 객성(客星)이 동쪽에 나타나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떨어진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0.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19일 갑자 1번째기사 / 태백성·햇무리 보이고 구름으로 인해 객성은 보이지 않다
사시에 태백(太白)이 오지(午地)에 나타나고 햇무리가 졌다. 오시에 햇무리가 졌다. 밤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71.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0일 을축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떨어진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2.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1일 병인 2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되는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만했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3.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2일 정묘 2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되는 위치였다. 크기는 심화성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4.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3일 무진 1번째기사 / 불같은 운기가 명멸하다. 구름으로 인해 객성 관측 못 하다
밤 1경에 간방(艮方)·동방·남방에서 불같은 운기가 서로 명멸(明滅)하였다. 5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75.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4일 기사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떨어진 위치이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 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6.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5일 경오 1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5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떨어진 위치이다. 크기는 심화성만 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7.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6일 신미 2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되는 위치이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8.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7일 임신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로 들어갔는데, 이는 북극성에서 1백 9도 되는 위치이다.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 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79.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8일 계유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구름 사이로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보였는데, 크기는 심화성(心火星)만하였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그 곳의 별자리 및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구름이 끼어 측후할 수 없었다.
· 280. 선조실록 182권, 선조 37년 12월 29일 갑술 1번째기사 / 밤 4경에 구름이 짙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4경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81.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일 병자 2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度)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82.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일 정축 2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조금 작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83.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3일 무인 1번째기사 / 햇무리 지고 객성 및 유성이 나타나다
사시와 신시에 햇무리가 졌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조금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유성(流星)이 익성(翼星) 아래서 나와 곤방(坤方)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모습은 바루 같고 꼬리 길이는 3∼4척쯤 되었으며 백색이었다.
· 284.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4일 기묘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조금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85.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5일 경진 1번째기사 / 밤 4경에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4경에 구름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286.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6일 신사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87.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7일 임오 2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2경에 달무리가 지고 4경에는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88.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8일 계미 2번째기사 / 밤 4경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4경에는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89.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9일 갑신 1번째기사 / 밤 4경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4경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90.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0일 을유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의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91.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1일 병술 1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2경에 달무리가 지고 4경에 객성이 구름 사이로 보였는데 심화성보다 작았고 황적색으로 동요하였으며, 있는 곳의 별자리 도수와 북극성까지 도수는 구름에 가려 측정할 수 없었다.
· 292.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3일 무자 1번째기사 / 밤 3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달에 좌이(左珥)가 나타나다
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5경에 달에 좌이(左珥)가 있었다.
· 293.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4일 기축 1번째기사 / 안개 기운이 있고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1경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94.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5일 경인 1번째기사 / 안개 기운·햇무리가 있고 객성이 출현하다
묘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고 미시와 신시에는 햇무리가 지고 우이(右珥)가 있었으며, 밤 4경에는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95.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6일 신묘 1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3경부터 4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5경에는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는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달무리가 졌다.
· 296.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7일 임진 1번째기사 / 햇무리·달무리가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안은 적색이고 밖은 청색이었다. 유시에 해에 양이가 있었다. 밤 1경에 달에 좌이가 있었고 3경부터 5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양이가 있었다. 밤 1경에 달에 좌이가 있었고 3경부터 5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4경에는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왔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297.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8일 계사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희미하게 구름 사이에 나타났는데 형태·색깔·크기 및 있는 곳의 수도(宿度)와 북극성까지 도수를 측정할 수 없었다.
· 298.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19일 갑오 2번째기사 / 밤에 붉은 빛이 있고 4경에는 짙은 구름으로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 1경부터 2경까지 사방에 붉은 빛이 있었는데 불빛과 같았고 4경에는 구름이 짙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299.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1일 병신 1번째기사 / 햇무리·달무리 지고 4경에는 구름으로 객성이 안 보이다
진시부터 오시까지 햇무리가 지고 미시와 신시에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었으며, 밤 4경에는 구름이 짙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4경과 5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300.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2일 정유 1번째기사 / 햇무리·붉은 기운·흰 기운 있고 달빛으로 객성은 관측 못하다
타오르는 불빛 같았고 그 속에 한가닥의 기운이 있는데 마치 장방형의 횃불을 곧게 세운 듯하였으며 길이는 2척쯤이었는데 밝았다 꺼졌다 하더니 한참 뒤에 그쳤다. 2경에는 마치 빗자루를 세운 듯한 모습의 흰 기운 한 가닥이 구진성(句陳星)의 제3성 사이를 꿰뚫었는데 길이는 1척쯤이고 2경 말에 소멸되었다. 4경에 객성의 소재는 달빛과 서로 가까와 자세히 측정할 수 없었다.
· 301.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3일 무술 1번째기사 / 안개 기운·달무리 지고 객성은 구름으로 인해 보이지 않다
묘시에 안개 기운이 있었다. 밤 4경에는 짙은 구름으로 객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5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302.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4일 기해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고 5경에는 달무리 지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5경에는 달무리가 졌다.
· 303.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5일 경자 2번째기사 / 햇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오시(午時)와 신시(申時)에 햇무리가 지고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작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 304.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6일 신축 1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 지점으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 위치였다. 심화성(心火星)보다 작았고 황적색이었다.
· 305.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7일 임인 1번째기사 / 햇무리 지고 객성은 구름으로 인해 관측 못하다
진시(辰時)·사시(巳時)에 햇무리가 지고 햇무리 위에 관(冠)이 있었는데 안쪽은 적색이고 바깥은 청색이었다. 밤 4∼5경에는 구름이 짙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06.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8일 계묘 1번째기사 / 짙은 구름과 비로 객성을 관측하지 못하다
밤에 짙은 구름이 끼고 비가 내려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07. 선조실록 183권, 선조 38년 1월 29일 갑진 1번째기사 / 구름으로 인해 객성을 관측 못하다
밤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08.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일 을사 4번째기사 / 햇무리 지고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진시부터 유시까지 햇무리가 졌다. 밤 4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眉宿) 11도(度)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心火星)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09.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2일 병오 5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0.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3일 정미 1번째기사 / 밤에 붉은 기운이 있고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1경에 건방과 동방과 남방에 붉은 기운이 있었는데 마치 불빛과 같았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1.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4일 무신 2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다.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 312.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5일 기유 2번째기사 / 밤 4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4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3.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6일 경술 1번째기사 / 햇무리·유성·객성이 출현하다
미시에 햇무리가 지고 우이(右珥)가 있었다. 밤 1경에 유성(流星)이 유성(柳星) 위에서 나와 손방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와 같고 꼬리 길이는 4∼5척이고 백색이었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4.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7일 신해 1번째기사 / 밤 3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5.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8일 임자 1번째기사 / 햇무리 지고 객성은 구름으로 인해 관측 못 하다
해가 돋을 때 적색이었다. 진시부터 오시까지 햇무리가 졌다. 밤에 구름이 많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16.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9일 계축 1번째기사 / 객성은 구름으로 인해 관측 못하다
밤에 구름이 많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17.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0일 갑인 4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1경과 2경에 달무리가 졌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眉宿)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8.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1일 을묘 1번째기사 / 유성과 객성이 출현하다
밤 1경에 유성(流星)이 삼성(參星) 아래에서 나와 남쪽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와 같고 꼬리 길이는 4∼5척쯤 되며 적색이었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19.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2일 병진 1번째기사 / 밤 3경에 객성이 출현하다
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20.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3일 정사 2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출현하다
밤 2경에 달무리가 졌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21.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4일 무오 1번째기사 / 밤 3경에 객성이 출현하고 4경에 달무리 지다
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4경에 달무리가 졌다.
· 322.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5일 기미 1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2경에 달무리가 졌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23.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6일 경신 2번째기사 / 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개기월식이 있어 구제하는 의식을 행하다
밤 3경에 달무리가 졌다.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5경에 개기월식을 하였다. 대궐 뜰에서 월식을 구제하는 의식을 행하였다. 승지 1명과 사관(史官) 2명이 관상감의 관원 5명을 거느리고 오방에 장막을 쳐놓고 오색 깃발 각 1개와 과(戈)·모(矛)·검(劍)·극(戟)·창(槍) 각 5개와 징...
· 324.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7일 신유 1번째기사 / 달무리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밤 3경에 달무리가 졌다.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25.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18일 임술 1번째기사 / 햇무리·달무리·객성이 나타나다
사시에 햇무리가 졌다. 오시와 미시에 햇무리가 졌는데 양이(兩珥)가 있고 햇무리 위에 관(冠)이 있었는데 안은 적색이고 밖은 청색이었다. 신시와 유시에 햇무리가 졌다. 밤 1경 달이 뜰 때에 적색이고 광채가 없었다. 2경에 달무리가 졌다. 3경에 객성이 천강성 위에 있다가 미수 11도에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심화성보다는 작고 황적색이었다.
· 326.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29일 계유 5번째기사 / 밤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에 구름이 많이 끼어 객성(客星)이 보이지 않았다.
· 327. 선조실록 184권, 선조 38년 2월 30일 갑술 5번째기사 / 밤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다
밤에 구름이 짙게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 328. 선조실록 185권, 선조 38년 3월 6일 경진 1번째기사 / 밤 2경에 객성이 나타나고 4경에 안개 기운이 있다
밤 2경에 객성(客星)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있다가 미수(尾宿)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에서 1백 9도였으며, 모양은 심수(心宿)의 동성(東星)과 같았고 황적색이었다. 북극성에서 4경부터 5경까지 안개 기운이 있었다.
· 329. 선조실록 185권, 선조 38년 3월 15일 기축 1번째기사 / 달무리가 지고 객성이 나타나다
1경에서 3경까지 달무리가 졌다. 5경에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조금 보였다.
· 330. 선조실록 187권, 선조 38년 5월 29일 임인 2번째기사 / 서성과 김종득의 죄를 논하고 그 후임자에 대해서 의논하다
아니겠지만 이는 예사스러운 일이 아니다. 또 객성(客星)이 여러 달 미수(尾宿) 분야에 나타났는데, 이 분야는 바로 우리 나라에 해당되는 분야이다. 일찍이 통보(通報)를 보건대, 중원(中原)에도 이러한 재변이 발생하여 각로(閣老)들이 매우 걱정한다고 했다. 객성은 바로 적성(賊星)이다. 중조(中朝)의 화패(禍敗)가 우리 나라와 같다니 매우 염려된다. 더구나 다른 ...
· 331. 선조실록 189권, 선조 38년 7월 27일 기해 6번째기사 / 천재와 시폐가 극한에 이르자 임금이 시무 해야 할 7조목을 홍문관에서 상차하다
압록강 물이 자주빛이 되었으며, 끓는 샘물이 솟아나고 객성(客星)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풍수(風水)의 재해는 전에 없이 커서 산골짜기가 무너지고 읍리(邑里 )가 탕산(蕩散)되었으며, 백성들이 익사하고 화곡(禾穀)이 표몰(漂沒)되었으니, 하늘의 엄한 꾸지람이 임진년 전보다도 더욱 참혹합니다. 임진년 1592 선조 25년. 남변의 우환이 아직 종식되지 아니하여 적사(賊使...
· 332. 선조실록 190권, 선조 38년 8월 3일 을사 11번째기사 / 밤에 구름이 객성을 가려 관측을 못하다
밤에 구름이 객성(客星)을 가려 관측할 수 없었다.
· 333. 선조실록 190권, 선조 38년 8월 6일 무신 1번째기사 / 천재지변으로 나라안이 뒤숭숭하니 과인의 잘못이나 정사에 잘못이 있으면 아뢰라고 정부에 명하다
음사한 기운이 일기만 하였다. 항성(恒星)이 떨어지고 객성(客星)이 나타나며, 겨울에 천둥이 치고 태백성(太白星)이 보이며, 해마다 가뭄이 들어 기근이 잇달고 목석(木石)의 괴변과 금수(禽獸)의 요변이 나타나 하늘이 견책을 보이는 것이 한두 가지뿐만이 아니었다. 그런데 지난번 광풍이 세차 게 불어 돌과 기와가 날아가고 큰 나무가 꺾이고 뽑혔으며, 가을 장마가 ...
· 334. 선조수정실록 6권, 선조 [수정실록] 5년 10월 1일 갑인 1번째기사 / 객성이 책성 주변에 나타나다
객성이 책성(策星) 주변에 나타났는데 금성(金星)보다 컸다.
· 335. 인조실록 39권, 인조 17년 10월 2일 을유 1번째기사 / 객성과 유성이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삼성 왼쪽 아래로 옮겨 갔다가 이름없는 별을 가렸는데, 그 모습이 흰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았다. 유성이 삼성 아래에서 나와 호성(弧星) 위로 들어갔다.
· 336. 인조실록 39권, 인조 17년 10월 3일 병술 1번째기사 / 유성과 객성이 나타나다
유성이 입성(立星) 위에서 나와 천구성 위로 들어갔다. 객성이 정성(井星) 구역 안쪽 천시성(天矢星) 위로 옮겨가 있었는데, 그 모습이 흰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았다.
· 337. 인조실록 39권, 인조 17년 10월 4일 정해 1번째기사 / 유성과 객성이 나타나다
유성이 여어성(女御星) 위에서 나와 동방(東方)으로 들어갔다. 또 객성이 정성(井星) 구역 안쪽 자성(子星) 아래 있었는데 그 모습이 흰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았다. 유성이 누성 위에서 나와 헌원성(軒轅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붉은 빛이 땅을 비추었다.
· 338. 현종실록 4권, 현종 2년 1월 11일 신유 1번째기사 / ‘재변의 방책, 백성의 구휼, 사대부와 여염의 사치, 군관의 개혁 등에 관해 논의하다’
모르겠습니다." 하고, 정태화는 아뢰기를, "무오년에 객성(客星)이 자주 나타나더니 그때 참혹한 화가 있었는데, 지금 또 이런 현상이 나타나니 매우 두렵고 염려가 됩니다. 전부터 별의 이변이 있을 경우에는 문신 중 천문에 밝은 자 를 가려 서운관(書雲觀) 관원과 함께 천후(天候)를 살폈습니다. 지금은 문신 중에 그런 사람이 없고, 전 군수 이광보(李光輔)...
· 339. 현종실록 4권, 현종 2년 10월 25일 신미 2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이동하다
밤 1경(更)에 객성(客星)이 이동해 여수(女宿)와 5도(度) 되는 위치에 있었는데 북극성에서 떨어진 도수는 1백 2도(度)였다.
· 340. 현종실록 4권, 현종 2년 10월 29일 을해 2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이동하다
밤 1경에 객성이 이동하여 허수(虛宿)와 1도(度) 되는 위치에 있었는데 북극성에서 떨어진 도수는 97도였으며 색깔이 어제에 비해 조금 희미하였다.
· 341. 현종개수실록 5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월 6일 병진 2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허·위의 사이에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客星)이 허(虛)·위(危)의 사이에 나타났다.
· 342. 현종개수실록 5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월 9일 기미 4번째기사 / 객성이 이 날 5경에 우수 안 하고·패과 사이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여러 날 밤 구름이 끼어서 살펴볼 수 없었다가, 이날 5경에 우수(牛宿) 안 하고(河鼓)·패과(敗瓜)의 사이에 나타났다. 성체(星體)는 하고의 소성(小星)만하고, 꼬리의 길이는 두 자 남짓하였으며 건방(乾方)을 향해 있고 빛깔은 희었다.
· 343. 현종개수실록 5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월 10일 경신 5번째기사 / 밤 5경에 객성이 모습을 나타나다
밤 5경에 객성이 모습을 나타냈는데, 어제의 것에 비해 차이가 없으며 약간 하고(河鼓)에 가까워졌고 꼬리 부분이 혜성과 같았다.
· 344. 현종개수실록 5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월 11일 신유 1번째기사 / 흥정당에 나아가 대신·원임 대신 및 비국의 신하들을 인견하다
니, 영의정 정태화는 아뢰기를, "지난 무오년에 객성(客星)이 자주 나타나더니 그 때 심하(深河)의 전쟁에서 전군이 몰살한 참화가 있었습니다. 이제 또 객성이 출현하였으니, 매우 놀랍고 염려됩니다. 전부터 성변이 있으면 문신(文臣) 중에서 천문(天文)을 잘 아는 자를 택하여 관상감(觀象監)의 관원과 함께 기상을 관측하게 하였는데, 지금은 문신 중에 적당한 사람...
· 345. 현종개수실록 6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0월 23일 기사 1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여수 안에 나타나다
밤 1경에 객성(客星)이 여수(女宿) 안에 나타났는데, 전성(塡星)보다 작았다.
· 346. 현종개수실록 6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0월 25일 신미 2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여수에서 5도쯤 되는 지점에 옮겨 있었다
밤 1경에 객성이 여수에서 5도쯤되는 지점에 옮겨 있었는데, 북극과의 거리가 1백 2도였다.
· 347. 현종개수실록 6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0월 26일 임신 1번째기사 / 좌상 심지원과 우상 원두표가 면직을 청하다
요즘처럼 흉년이 아주 극심한 때에 하늘이 경계를 보여 객성이 연이어 나타나니, 이는 모두 신들이 직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탓입니다. 면직시켜 주소서." 하니, 상이 이르기를, "이는 내가 부덕한 소치이니, 어찌 경들만의 탓이겠는가." 하였다. 병조 판서 홍명하(洪命夏)가 아뢰기를, "금번 객성이 여수를 범한 것은 궁궐이 엄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 것 같습...
· 348. 현종개수실록 6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0월 27일 계유 3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여수에서 8도 되는 지점에 옮겨져 있었다
밤 1경에 객성이 여수에서 8도(度) 되는 지점에 옮겨 있었는데, 북극과의 거리는 99도였다. 형체가 점차 작아졌다.
· 349. 현종개수실록 6권, 현종 [개수실록] 2년 10월 29일 을해 2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허수에서 1도 되는 지점에 옮겨 있었다
밤 1경에 객성이 허수(虛宿)에서 1도 되는 지점에 옮겨 있었는데, 북극과의 거리는 97도였고, 색이 점차 희미해졌다.
· 350. 숙종실록 36권, 숙종 28년 3월 27일 무신 1번째기사 / 여수 안에 나타난 별시 천시 동원안으로 옮겨 갔다
여수(女宿) 안에 나타난 별시 천시(天市) 동원(東垣)안으로 옮겨 갔는데, 두수(斗宿)와는 10도(度)가 떨어지고 북극(北極)과는 49도가 떨어졌다. 모양과 빛깔은 어제와 다름이 없었다. 이는 객성(客星)인 듯한데 연일 천시의 동서방 미수(尾宿)·기수(箕宿)·방수(房宿)의 사이에 산견(散見)하더니, 4월 무오에 가서야 사라졌다. 무오 7일.
· 351. 영조실록 43권, 영조 13년 1월 14일 계묘 1번째기사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땅거미질 때 객성이 위성의 성좌 안에 나타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땅거미질 때 객성(客星)이 위성(危星)의 성좌 안에 나타났다.
· 352. 영조실록 55권, 영조 18년 1월 30일 경인 1번째기사 / 객성이 두성의 도내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두성(斗星)의 도내(度內)에 나타났다. 유성(流星)이 북두성 아래에서 나와 헌원성(軒轅星) 아래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 같았고 빛깔은 붉은 색이었다.
· 353. 영조실록 55권, 영조 18년 2월 1일 신묘 1번째기사 / 혜성이 나타나다
목성(木星)이 적시성(積屍星)을 범하고 객성(客星)이 자리를 옮겨 우수(牛宿)에 나타났는데, 별의 형체는 혜성(彗星)과 같았고 꼬리의 길이는 2척이었으며 빛깔은 흰 색이었다.
· 354.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19일 갑술 1번째기사 / 객성이 진수의 도수 안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진수(軫宿)의 도수 안에 나타났다.
· 355.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0일 을해 1번째기사 / 객성이 진수의 도수 안의 상진성 남쪽에 나타나다
객성이 또 진수의 도수 안의 상진성(常陳星) 남쪽에 나타났는데, 크기는 헌원성(軒轅星)의 우각(右角)만 하였고, 별의 빛깔은 흰 색이었다.
· 356.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1일 병자 1번째기사 / 객성이 진수의 도수 안의 사세성 남쪽으로 위치를 옮기다
객성이 진수의 도수 안의 사세성(四勢星) 남쪽으로 위치를 옮겨 나타났다.
· 357.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1일 병자 3번째기사 / 이성중·윤광의·민백행을 측후관으로 차임하다
교리 이성중(李成中)·수찬 윤광의(尹光毅)·필선 민백행(閔百行)을 측후관(測候官)에 차임하여 관상감의 관원들과 함께 객성을 측후하게 하였다. 대개 살별[彗孛]이 재앙을 알리면 문신(文臣)으로 하여금 측후하게 하는 것이 고례(古例)이기 때문이었다.
· 358.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2일 정축 1번째기사 / 객성이 익수의 도수안의 태양수성으로 위치를 옮기다
객성(客星)이 익수(翼宿)의 도수 안의 태양수성(太陽守星)으로 위치를 옮겨 나타났다.
· 359.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5일 경진 1번째기사 / 객성이 익수의 도수안에 있는 호분성의 동쪽으로 위치를 옮기다
객성(客星)이 익수(翼宿)의 도수 안에 있는 호분성(虎賁星)의 동쪽으로 위치를 옮겨 나타났다.
· 360.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5일 경진 2번째기사 / 임금이 자신을 알아주는 이는 자성 밖에 없다고 하다
이 소견하였다. 영의정 김재로(金在魯)가 말하기를, "객성의 변괴는 실로 관계됨이 비상하니, 신 등이 비록 전석(前席)에 올랐다고는 하지만, 어떻게 능히 재앙을 그치게 하고 백성을 구제하는 방책을 낼 수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신년(新年)에 구대하였는데도 늦어진 뒤에야 인접(引接)을 허락하셨으므로 군 정(群情)이 모두를 근심하고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성상...
· 361.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6일 신사 1번째기사 / 객성이 익수의 도수안에 있는 호분성의 동쪽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익수(翼宿)의 도수 안에 있는 호분성(虎賁星)의 동쪽에 나타났다.
· 362.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1월 27일 임오 1번째기사 / 객성이 호분성의 동쪽으로 위치를 옮기다
객성이 호분성의 동쪽으로 위치를 옮겨 나타났다. 종관성(從官星)의 서쪽에서부터 형체가 점차 희미해졌다.
· 363.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 2월 3일 정해 1번째기사 / 객성이 보이지 않아 측후관을 혁파하다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측후관(測候官)을 혁파하였다.
· 364. 영조실록 58권, 영조 19년 11월 22일 신축 1번째기사 / 객성이 벽수의 도내에 나타났는데, 별의 형체는 혜성과 같았다
객성(客星)이 벽수(壁宿)의 도내(度內)에 나타났는데, 별의 형체는 혜성(彗星)과 같았다.
· 365. 영조실록 58권, 영조 19년 11월 23일 임인 1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객성이 나타났다.
· 366. 영조실록 60권, 영조 20년 10월 14일 정사 1번째기사 / 밤에 객성이 각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각수(角宿)의 도내에 나타났다.
· 367. 영조실록 60권, 영조 20년 10월 15일 무오 1번째기사 / 객성이 각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문신 측후관을 차출하다
밤에 객성(客星)이 각수(角宿)의 도내(度內)에서 나타났는데, 꼬리가 있었다. 문신 측후관(文臣測候官)을 차출하여 윤번으로 관상감(觀象監)에 입직케 하라 명하니, 관례였다.
· 368. 영조실록 67권, 영조 24년 4월 6일 기미 1번째기사 / 객성이 실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실수(室宿)의 도내(度內)에 나타났다.
· 369.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1일 정미 1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게 천균성 위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희미하게 천균성(天囷星) 위에서 나타났다.
· 370.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21일 정묘 1번째기사 / 객성이 낭성 위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정수(井宿)의 도내(度內)에 있는 낭성(狼星) 위에 나타났는데, 빛깔은 누런 색이었다.
· 371.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22일 무진 1번째기사 / 객성이 옥정성을 범하고 5경에 천원성을 따라 서쪽으로 잠기다
객성(客星)이 참수(參宿)의 도내(度內)에 나타나서 옥정성(玉井星)을 범하였는데, 북극성(北極星)과의 거리가 98도였으며, 5경에 천원성(天圓星)을 따라 서쪽으로 잠겨버렸다.
· 372.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25일 신미 1번째기사 / 객성이 천름성 아래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옮기어 위수(胃宿)의 도내(度內)에 있는 천름성(天廩星) 아래에 나타났는데, 빛깔은 황백색이었다.
· 373.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26일 임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균성 안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위수(胃宿)의 도내(度內)에 있는 천균성(天囷星) 안에 나타났다.
· 374.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1월 27일 계유 1번째기사 / 객성이 천균성 안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위수(胃宿) 도내(度內)에 있는 천균성(天囷星) 안에 나타났다.
· 375.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1일 정축 1번째기사 / 밤 1경에 객성이 천균의 제2성 북쪽에 나타나다
밤 일경(一更)에 객성(客星)이 천균(天囷)의 제2성(第二星) 북쪽에 옮기어 나타났는데, 형색이 점점 희미해졌다.
· 376.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일 무인 1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게 천균성 아래에 나타나고,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희미하게 천균성(天囷星) 아래에 나타났고,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났다.
· 377.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3일 기묘 1번째기사 / 객성이 희미하게 천균성 위에 나타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천균성(天囷星) 위에 나타났고,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났다.
· 378.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4일 경진 1번째기사 / 밤에 객성이 희미하게 천균성 위에 나타나다
밤에 객성(客星)이 희미하게 천균성(天囷星) 위에 나타났다.
· 379.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3일 기해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2성 위에 나타나다. 유성이 장성 아래에서 나와 곤방으로 들어가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2성(第二星) 위에 나타났고, 유성(流星)이 장성(張星) 아래에서 나와 곤방(坤方)으로 들어갔는데, 빛깔은 붉은 색이었다.
· 380.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4일 경자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2성 위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2성(第二星) 위에 나타났는데, 빛깔은 흰 색이었다.
· 381.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5일 신축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7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7성(第七星)에 나타났다.
· 382.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6일 임인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8성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8성(第八星)에 희미하게 나타났고, 유성(流星)이 소미성(少微星) 아래에서 나와 손방(巽方)으로 들어갔는데, 빛깔은 흰 색이었다.
· 383.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7일 계묘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9성으로 옮겨가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9성(第九星)으로 점점 옮겨 갔다.
· 384.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8일 갑진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9성에 나타나다. 유성이 천원성 아래에서 나와 손방으로 들어가다
객성이 헌원성(軒轅星)의 제9성(第九星)에 나타났고, 유성(流星)이 천원성(天苑星) 아래에서 나와 손방(巽方)으로 들어갔는데, 빛깔은 붉은 색이었다.
· 385.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29일 을사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10성 위에 희미하게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10성(第十星) 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 386.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12월 30일 병오 1번째기사 / 우레와 번개가 치고, 객성이 헌원성의 제10성 위에 희미하게 나타나다
우레하고 번개가 쳤다. 객성(客星)이 헌원성(軒轅星)의 제10성(第十星) 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 387. 영조실록 95권, 영조 36년 1월 1일 정미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10성 위에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성수(星宿)의 궤도 안인 헌원성(軒轅星)의 제10성 위에 나타났다.
· 388. 영조실록 95권, 영조 36년 1월 3일 기유 1번째기사 / 객성이 헌원성의 제10성 위에 희미하게 나타나다
객성이 헌원성(軒轅星)의 제10성 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 389.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7일 임자 1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천시성(天市星)의 동원(東垣) 안에 나타났는데, 형체의 크기는 목성(木星)만 하였고, 빛깔은 창백색(蒼白色)이었다.
· 390.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8일 계축 1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우수(牛宿)의 성도(星度) 안, 기성(箕星)의 위로 옮겨 나타났는데, 형체의 크기는 하고성(河鼓星)의 가운뎃 별만 하였고, 빛깔은 창백색이었다.
· 391.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8일 계축 5번째기사 / 관상감 문광도 등에게 성변을 관찰하게 하는 뜻을 설명하다
)을 관측하라 하였다. 문광도 등이 아뢰기를, "오늘 객성(客星)이 천시성(天市星) 밖으로 약간 옮겼습니다." 하니, 임금이 부복(俯伏)하고 말하기를, "나는 관측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실은 저 하늘에 정성을 들여서, 저 하늘이 굽어 살피도록 하려는 것이다. 만약 나의 몸에 재앙이 있다고 한다면 어찌 깊이 걱정할 필요가 있겠는가? 그러나 나라를 위하여 실로 무궁한 우...
· 392.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10일 을묘 1번째기사 / 객성이 나타나다
객성(客星)이 북쪽 하늘가에 옮겨 나타났는데, 형체는 희미하였다.
· 393.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10일 을묘 3번째기사 / 숭정전 동쪽의 월 대에서 천문 기상을 관측하다
속임은 역시 저 하늘을 속이는 것이다." 하였는데, 여러 신하들이 간절히 청하니, 그제야 윤허하였다. 관상감 관원 이덕성(李德成)의 입시를 명하고, 임금이 묻기를, "객성(客星)이 옮긴 전도(躔度)가 문광도(文光道)가 말한 것과 같은가? 전도(躔度) 천체 운행의 도수(度數). 하니, 대답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 북쪽 하늘가에 있으니, 수일 안에 소멸될 듯합니다." 하였다.
· 394.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11일 병진 2번째기사 / 객성이 하루에 30도씩 빠르게 옮겨가는 일에 대해서 묻다
명하였는데, 문광도(文光道) 등이 돌아와 아뢰기를, "객성을 다시 볼 수 없으니, 만약 땅속에 들어가지 않았으면 반드시 소멸되었을 것입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그것의 물러감이 빠르니, 혹 돌아서 다시 시작될 염려가 없지 않다." 하매, 안사일(安思一)이 대답하기를, "혜성(彗星)의 경우 혹 돌아서 다시 나타나는 일은 있으나, 객성은 그렇지 않습니다." 하였다.
· 395.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12일 정사 1번째기사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고 객성의 일을 염려하다
말하기를, "적국(敵國)이나 외환(外患)이 없으면 나라는 언제나 망하고 만다는 것이니, 나는 더욱 두려워하고 있다. 지금부터 뒤로는 객성(客星)이 이미 땅속으로 들어갔다는 이유로써 임금과 신하가 안일에 빠진다면 어찌 다른 재앙이 없겠는가?" 하니, 좌의정 한익모(韓翼謨)가 말하기를, "성려(聖慮)가 이에 미치시니, 군하(群下)는 실로 그지없이 흠앙(欽仰)합니다." 하였다.
· 396.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윤5월 26일 신미 2번째기사 / 병조 참의 신일청이 북도의 봉대에 관한 일 등으로 상소를 올리다
국(中國)에 사변(事變)이 있을 듯 싶습니다. 이번에 객성(客星)이 또 천시성(天市星)의 동원(東垣)에 나타났는데, 그 점(占)에 있어서는 병란(兵亂)을 말하였습니다. 우리 성상께서 특별히 수성(修省)하는 마음으로써 스스로 실지의 덕(德)에 응(應)하는 데로 돌이키셨으니, 신의 어리석은 생각에는 아마도 그 반응(反應)이 한 지방에 있지 않고, 중국에 있을 것으로 봅니다....
· 397. 영조실록 127권, 부록 / 영조 대왕 행장(行狀)
자신을 반성하고 자책(自責)하셨다. 경인년 봄 객성(客星) 이 나타났을 때에 왕께서 밤에 편집신(編輯臣)과 운관 사력(雲觀司曆)을 불러 재앙을 그치게 할 방책을 강구하고 저녁마다 월대(月臺)에서 측후(測候)하고 말씀하기를, ‘백성과 나라에 재앙을 옮기지 말기 바란다.’ 하셨다. 이렇게 사흘 동안 하시니 객성이 사라졌다. 혹 바람이 사납거나 비가 심하면 밤이...
· 398. 정조실록 7권, 정조 3년 2월 17일 임신 3번째기사 / 병조 판서 이휘지와 가인의 법제를 논하다
이하 제사사(諸司使)는 낭중(郞中)과 대등하게 하고 객성(客省)·인진(引進)·합문 부사(閤門副使)는 원외랑(員外郞)과 대등하게 하고 추밀 도승지(樞密都承旨)는 사천 소감(司天少監) 아래와 합문사(閤門使) 위에다 두고, 부도승지(副都承旨)는 합문사(閤門使) 아래에 두고, 추밀 부승지(樞密副承旨)와 제방 부승지(諸房副承旨)는 제사사(諸司使) 아래에 두는데, 이상은 모...
· 399.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3월 1일 경술 2번째기사 / 김이용을 석방하고 양형·이율·홍복영을 국문하다
진 사람들이 장차 1백 년 동안 서로 싸우기 때문에 객성(客星)이 남방에서 이미 서울[京城]로 들어왔다고 하였습니다. ‘양형은 또 말하기를, 도사(道師)의 말을 들으면, 정가는 세 번 사람을 나라 안에 들여보내서 사정을 탐지하였다.’고 하였으며, 통틀어서 말한다면, ‘도사(道師)와 향악(香嶽)과 서쪽 이웃[西隣]이 영암(靈巖)의 김가와 일을 꾸몄다.’고 하였는데, 서...
■ 관련 자료
■ 링크
원본 자료의 관련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
조선왕조실록 :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방문하시려는 페이지의 주소가 잘못 입력되었거나, 페이지의 주소가 변경 혹은 삭제되어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입력하신 주
sillok.history.go.kr
https://link.coupang.com/a/bY9wBy
미니소화기 파이렉스 FIREX 스프레이식 소화기 가정용 휴대용 차량용 최신제품 당일발송 - 소화기
현재 별점 4.7점, 리뷰 139개를 가진 미니소화기 파이렉스 FIREX 스프레이식 소화기 가정용 휴대용 차량용 최신제품 당일발송!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소화기/거치대 제품들을 확인해보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Xy1hr
LG전자 시네빔 HU710PB 2024신모델 큐브 4K 빔프로젝터 Qube - 빔/프로젝터 | 쿠팡
쿠팡에서 4.9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5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기준 날짜
2025.2.1
'공공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시 동구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0) | 2025.02.09 |
---|---|
조선왕조실록의 "지진(地震)" 기록 (0) | 2025.02.09 |
부산시 사상구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0) | 2025.02.08 |
부산시 수영구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0) | 2025.02.08 |
부산시 연제구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