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 데이터

[공공데이터] 국방부 국방 정보 기술 표준 목록

반응형

[공공데이터] 

국방부_국방정보기술표준목록

국방에서 쓰는 국방기술표준목록을 제공합니다.

국방정보기술표준(DITA: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 관련 데이터

표준 번호 표준 제정 번호 표준 분류 표준 명 표준 상태 제정 년도 제정기관 표준이력 관련 사이트
MND-3GPP-LTE LTE (Long Term Evolution) or the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Access Network), introduced  DITA 2024 v1 LTE 미래(Emerging) 3GPP www.3gpp.org/technologies/keywords-acronyms/98-lte 본 표준은 3세대 이동통신(3G)을 장기적으로 진화 시킨 기술이라는 뜻에서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3GPP가 2008년 12월 확정한 표준규격 릴리스(Release) 을 기반으로 함
MND-ACP 123 Edition A Common Messaging Strategy and Procedures, 15 August 1997 DITA 2024 v1 ACP123 필수(Mandated) CCEB www.ietf.org/rfc/rfc6477.txt ACP(Allied Communication Publication) 123 문서는 국방 전자 메시지를 지원하는 서비스와 프로토콜 그리고 절차를 정의하며, 이를 위해 X.400을 확장시키고 Military Messaging Elements of Service(EoS)의 절차 및 프로토콜을 정의함.
MND-ANSI X3.230:1999 Fibre Channel - Physical and Signaling Interface (FC-PH), with amendments, 24 May 1999 DITA 2024 v1 Fibre Channel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RecordDetail.aspx?sku=ANSIINCITS230-1994%2fAM2-1999 이 표준은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채널의 물리적, 신호 인터페이스에 관한 명세를 포함한다.
MND-ANSI X9.62 Public Key Cryptography for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The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 DITA 2024 v1 암호화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FindStandards.aspx?SearchString=X9.62&SearchOption=0&PageNum=0&SearchTermsArray=null%7cX9.62%7cnull 본 표준은 ECDSA를 사용하여 메시지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한 서명 생성 및 검증 방법을 정의한다.
MND-ANSI/IEEE 754-1985 Binary Floating-Point Arithmetic, March 21, 1985 DITA 2024 v1 Binary Floating Point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default.aspx 본 표준은 2진 유동 소수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필수 규격으로서 TADIL J와 Variable Message Format(VMF)등의 기타 JTA 표준에 의해 다루어지지 않은 경 우에 사용됨.
MND-ANSI/NIST-ITL 1-2011 Information Technology: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Information Systems -- Data Format  for the I DITA 2024 v1 생체인식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default.aspx 본 표준은 다른 제조사에 의해 만들어진 이종의 시스템간 또는 통제된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지문, 얼굴형상, 흉터, 문신정보의 식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통 포맷을 제시함.
MND-ARINC 718A-3 Mark 4, Air Traffic Control Transponder (ATCRBS/Mode-S), May 2010 DITA 2024 v1 Mark4 필수(Mandated) ARIN www.arinc.com 마크 4 항공 교통 관제 트랜스폰더(ATCRBS/모드-S)는 확장된 인터페이스 기능(EIF)를 가진 공중 교통 관제 레이더 비콘 시스템/모드 선택(ATCRBS/모드-S) 항공 트랜스폰더를 설명함.
MND-ARINC 735A-1 Mark 2 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TCAS), January 2003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ARIN www.arinc.com/cf/store/catalog_detail.cfm?item_id=109 항속거리, 고도 방위각을 계산하고 비행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비행체의 궤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인 TCAS이 RTCA DO-185A 표준을 적용이 되도록 업데이트 한 내용을 정의
MND-ATDLP 5.22 Ed B V1 ATDLP-5.22 Tactical Data Exchange Link 22 Edition B Version 1 2021 (Cover :STANAG 5522 Ed ) DITA 2024 v1 LINK-22 미래(Emerging) NATO   Link-22는 나토 해군의 Link-11의 운용한계를 향상하기 위해 1996년부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프랑스가 참여하여 개발한 나토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교환 포맷임.
MND-ATDLP-6.02 Ed A V2 ATDLP-6.02 Standard Interface For Multiple Platform Link Evaluation Edition A Version 2 2021 (Cover  DITA 2024 v1 SIMPLE 미래(Emerging) NATO   SIMPLE은 전술데이터링크 상호운용성 테스트를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과 전술데이터링크 플랫폼 통합 등 관련된 장비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표준임
MND-ATDLP-6.16 Volume II Ed B V1 ATDLP-6.16 Volume II Standards For Data Forwarding Between Tactical Data Systems Employing Link 22 a DITA 2024 v1 LINK-22/16 변환 미래(Emerging) NATO   Link-22, Link-16 전술데이터링크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전술데이터링크 간 메시지 변환 및 포워딩 방식을 기술한 나토 표준임
MND-ATIS 0300208.2013 Operations, Administration, Maintenance, and Provisioning (OAM&P) - Upper-Layer Protocols for Teleco DITA 2024 v1 TMN 사양(Retired) ANSI webstore.ansi.org/RecordDetail.aspx?sku=ATIS-0300208.2013 본 표준은 네트워크 요소와 운영 지원 시스템 사이에서 OAM&ampP (Operations Administration Maintenance and Provisioning)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관리네트워크(TMN) 용 Upper Layer Protocols에 관한 표준임.&ltbr type=&quot_moz&quot /&gt
MND-ATIS 0600107.2002 Digital Hierarchy - Formats Specifications, 2002 DITA 2024 v1 SONET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RecordDetail.aspx?sku=ATIS-0600107.2002(S2015) 본 표준은 동기식 광통신망 (Synchronous Optical Network Transmission : SONET)에서 광섬유 케이블을 통한 통신 전송 표준 중 디지털 계위 형식 설명에 기술 임.
MND-ATIS 0900105.2001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 Basic Deion including Multiplex Structure, Rates, and Formats, DITA 2024 v1 SONET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RecordDetail.aspx?sku=ATIS-0900105.2008 본 표준은 동기식 광통신망 (Synchronous Optical Network Transmission : SONET)의 기본적인 스펙에 관한 권고임.
MND-BPJ 2K 01.10 BIIF Profile for JPEG 2000, Version 01.10, 15 April 2009 DITA 2024 v1 JPEG 필수(Mandated) GWG( www.gwg.nga.mil/ntb/baseline/docs/J2K/J2KTestPlan.pdf 본 표준은 ISO / IEC 15444-1에 정의된 프로파일 정의에 대한 규칙에 따라 생성 및 해석 행위에 대한 제한을 설정 NITF(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NSIF (Nato Secondary Imagery Formot) 및 LVSD (Large Volume Streaming Data) 이내에 jpeg 및 2000의 응용 영상 유통 포맷임.
MND-CCEB ACP 120 Common Security Protocol (CSP) ACP 120, June 1998 DITA 2024 v1 전자우편 보안 필수(Mandated) CCEB web.archive.org/web/20130215093246/jcs.dtic.mil/j6/cceb/acps/acp120/ACP120.pdf 본 표준은 X.509 버전 3의 인증서의 정리 속성(clearance attribute) 또는 보호 라벨을 가진 subject Directory Attribute 확장을 활용하기 위한 표준이다.
MND-CCSDS 714.0-B-2 Space Communications Protocol Specification (SCPS)Transport Protocol (SCPS-TP), Recommended Standard DITA 2024 v1 SCPS 필수(Mandated) CCSD public.ccsds.org/publications/archive/714x0b2.pdf 본 표준은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TCP 패킷을 전달할 경우 위성전파지연으로 인하여 할당된 대역폭만큼 TCP 패킷을 전달하기 못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TCP의 파라미터 설정에 대한 표준임
MND-CIM 2.2 Common Information Model CIM Specification Version 2.2 DITA 2024 v1 CIM 필수(Mandated) DMTF www.dmtf.org/standards/cim 일반 정보 모델(Common Information Model)은 시스템,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 서비스 등의 관리 정보에 대한 공통화된 정의를 내리며, 서로 다른 개발업체의 시스템 간에 관리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MND-CIM HTTP Specification for CIM Operations over HTTP Version 1.0 Distributed Management Task Force, Inc., 11 A DITA 2024 v1 CIM 필수(Mandated) DMTF www.dmtf.org/standards/cim 상기 표준은 CIM 메시지에 대한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로의 매핑을 정의하며 CIM 구현 내용이 표준화된 형태로 수행되도록 함.
MND-CIM XML Specification for the Representation of CIM in XML Version 2.0 Distributed Management Task Force, In DITA 2024 v1 CIM 필수(Mandated) DMTF www.dmtf.org/standards/cim 본 표준은 CIM 선언(클래스, 인스턴스 및 권한) 과 CIM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한 DTD(Document Type Definition)로 쓰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법을 정의함.
MND-DOD AIMS 97-900 Performance/Design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Mode 4 Input/Output Data, 18 March 1998 DITA 2024 v1 AIMS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통합 또는 applique IFF(피아식별기) 능력을 요구하는 무기 체계 플랫폼을 위한 필수 표준이다.
MND-DRAFT-0002 TICN 기반 무기체계 유통정보의 우선순위 및 QoS 설정 표준 DITA 2024 v1 Ethernet 초안(Draft) 국방부   본 표준은 TICN 기반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통제를 위해 QoS 적용, 무기체계별 정보유통 항목 선정, 정보유통량 분석, 유통정보에 대한 정량적인 우선순위 설정 등을 설명하며 이들 절차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 지침을 제공한다.본 표준은 중요정보의 정보전송 우선순위 판단이 가능토록 정량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하며, TICN에서 QoS 적용이 가능토록 무기체계 개발간 정보 항목별 우선순위 적용 하 개발을 위한 근거로 활용한다.
MND-DRAFT-0003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Link-K) DITA 2024 v1 LINK-K 초안(Draft) 국방부   한국군 전장환경 및 무기체계에 적합하도록 감시체계, 지휘통제 및 타격체계 간 전술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메시지 규격 및 송수신 규칙을 제공 하기 위한 표준으로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완성형 사업 간 기존 DITA에 등록된 MND-STD-0018A 대비 메시지 확장 및 MIL-STD-6016F 기반의 메시지를 최신화한 기술임.
MND-DRAFT-0004 Link-K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시지 DITA 2024 v1 LINK-K 초안(Draft) 국방부   IP 통신을 이용하여 JIDLS 체계의 Limk-K 전술자료처리기와 이를 통신체계로 운용하는 무기체계(호스트)간 전술정보 교환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메시지로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완성형 사업 간 기존 DITA에 등록된 MND-STD-0029A 대비 메시지 확장 및 Link-K 기반의 메시지를 최신화한 기술임.
MND-DRAFT-0005 한국군 전술데이터링크 간 데이터 중계 DITA 2024 v1 LINK-K 초안(Draft) 국방부   Link-K와 KVMF를 사용하는 체계가 이종 전술데이터링크와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전송 형식에 대한 규약을 제공
MND-DoD AIMS 03-1000 Performance/Design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Technical Standard For The ATCRBS/IFF/MARK XIIA El DITA 2024 v1 AIMS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통합 또는 applique IFF(피아식별기) 능력을 요구하는 무기 체계 플랫폼을 위한 필수 표준이다.
MND-ECMA-262 ECMA Language Specification DITA 2024 v1 ECMA 필수(Mandated) ECMA www.ecma-international.org/publications/standards/Ecma-262.htm ECMA international의 ECMA-262 기술 규격에 정의된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로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에서 1998년 ISO/IEC 16262로 표준화임.
MND-ETSI EN 301 790 V1.5.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Interaction channel for satellite distribution systems(DVB-RCS) DITA 2024 v1 위성통신 필수(Mandated) ETSI www.etsi.org/deliver/etsi_en/301700_301799/301790/01.05.01_60/en_301790v010501p.pdf 본 표준은 DVB-RCS(Digital Video Broadcast-Return Channel via Satellite)시스템의 리턴 채널에 대한 물리적 표준과 다중접속방식에 대한 표준임
MND-ETSI EN 302 307 V1.2.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econd generation framing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DITA 2024 v1 위성통신 필수(Mandated) ETSI www.etsi.org/deliver/etsi_en/302300_302399/302307/01.02.01_60/en_302307v010201p.pdf 본 표준은 DVB-S2(Digital Video Broadcast-Second generation framing structure~)시스템의 포워딩 채널에 대한 물리적 표준과 프레임 구조에 대한 표준임
MND-EUROCONTROL-SPEC-0149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Part 1 All Purpose Structured EUROCONTROL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본 표준은 방공 C2A 체계와 국지방공레이더체계가 상호 교화하는 정보에 대해서 규정하며, 레이더와 레이더에 연동되는 대분분의 체계에 적용됨.
MND-EUROCONTROL-SPEC-0149-15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15 Category 065 SDPS Service S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방공C2A와 차기국지방공레이더가 상호 정보 교환 시 적용한 표준이며, 레이더와 레이더에 연동되는 대부분 체계에 적용되는 표준으로 레이더 외부 체계에서 레이더에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임.
MND-EUROCONTROL-SPEC-0149-21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21 Category 007 Transmission o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저고도레이더의 피아식별장비가 중앙방공통제소(MCRC)와 레이더 정보교환 시 적용한 표준이며, 보조 레이더 센서에 대한 Directed Interrogations의 원격 명령을 위한 구현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명령을 받는 항공기의 보조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이벤트 기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MND-EUROCONTROL-SPEC-0149-21A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21 Category 007 Directed Inter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저고도레이더의 피아식별장비가 중앙방공통제소(MCRC)와 레이더 정보교환 시 적용한 표준이며, 보조 레이더 센서에 대한 Directed Interrogations의 원격 명령을 위한 구현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명령을 받는 항공기의 보조 레이더와 트랜스폰더 간의 이벤트 기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Appendix A는 Mode-5를 지원하기 위해 예약된 확장 필드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함.
MND-EUROCONTROL-SPEC-0149-2b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2b Category 34 Mono Radar Serv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방공C2A와 차기국지방공레이더가 상호 교환하는 정보에 대해서 규정하며, 레이더와 레이더에 연동되는 대부분의 체계에 적용되는 표준으로 레이더회전에 대한 정보인 North marker, Jamming strobe 및 연동개시/종료와 같은 레이더 서비스 메시지를 정의한 표준임.
MND-EUROCONTROL-SPEC-0149-4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4 Category 048 Monoradar Targe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방공C2A와 차기국지방공레이더가 상호 정보 교환 시 적용한 표준이며, 레이더와 레이더에 연동되는 대부분의 체계에 적용되는 표준으로 레이더 항적정보 (표적의 위치, 속도, Mode Code) 등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임.
MND-EUROCONTROL-SPEC-0149-4A EUROCONTROL Specification for Surveillance Data Exchange ASTERIX Part 4 Category 048 Monoradar Targe DITA 2024 v1 ASTERIX 필수(Mandated) EURO   저고도레이더의 피아식별장비가 중앙방공통제소(MCRC)와 레이더 정보교환 시 적용한 표준이며, 레이더 스테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SDP(Surveillance Data Processing)시스템으로 모노 레이더 표적 보고서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구조에서 Mode-5를 지원하기 위해 예약된 확장 필드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MND-FIPS 197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DITA 2024 v1 AES 필수(Mandated) NIST csrc.nist.gov/publications/fips/fips197/fips-197.pdf 본 표준은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RIA의 2부 내용으로 운용모드를 규정한다.
MND-FIPS PUB 140-2 Security Requirements for Cryptographic Modules, 25 May 2001 DITA 2024 v1 암호모듈 필수(Mandated) NIST csrc.nist.gov/publications/fips/fips140-2/fips1402.pdf 본 표준은 FIPS 140-1에 추가적으로 암호화 서브시스템이 정확히 도입되고 충분한 수준의 데이터 저장보호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MND-FIPS PUB 140-3 Security Requirements for Cryptographic Modules, 22 March 2019 DITA 2024 v1 생체인식,암호모듈 미래(Emerging) NIST   본 표준은 FIPS 140-2를 개정한 표준으로 암호모듈 개발 시 적용되어야 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MND-FIPS PUB 180-4 Secure Hash Standard (SHS) DITA 2024 v1 SHS 필수(Mandated) NIST csrc.nist.gov/publications/fips/fips180-4/fips-180-4.pdf 본 표준은 Secure Hash 알고리즘인 SHA-1, SHA-224, SHA-256, SHA-384, SHA-512 알고리즘에 대해 규정한 표준인 FIPS PUB 180-3 버전을 개정한 표준으로, 통신 주체 간에 메시지 보호 및 무결성 제공을 위해 사용한다.
MND-FIPS PUB 186-3 Digital Signature Standard (DSS), June 2009 DITA 2024 v1 전자서명 사양(Retired) NIST csrc.nist.gov/publications/fips/fips186-3/fips_186-3.pdf 본 표준은 FIPS PUB 186-1에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데 ECDSA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설명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FIPS PUB 186-4 Digital Signature Standard (DSS), July 2013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NIST nvlpubs.nist.gov/nistpubs/FIPS/NIST.FIPS.186-4.pdf 본 표준은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으로, ECDSA(Elliptic Curve DSA)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설명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FIPS PUB 198-1 The 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HMAC), July 1, 2008. DITA 2024 v1 HMAC 필수(Mandated) NIST csrc.nist.gov/publications/fips/fips198-1/FIPS-198-1_final.pdf 본 표준은 메시지 인증 및 무결성이 요구되는 응용 제품을 위한 해시 알고리즘을 규정하며, HMAC 운영 절차 및 단계별 변환 과정을 정의한다.
MND-FIPS PUB 202 SHA-3 Standard: Permutation-Based Hash and Extendable-Output Functions, 2015-08 DITA 2024 v1 SHS 필수(Mandated) NIST http://dx.doi.org/10.6028/NIST.FIPS.202 Secure Hash 알고리즘인 SHA-2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된 SHA-3 알고리즘에 대해 규정한 표준으로, 통신 주체 간에 메시지 보호 및 무결성 제공하는 메시지 함수를 규정
MND-GR-253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Transport Systems: Common Generic Criteria, Issue No 5, Telcordi DITA 2024 v1 SONET 필수(Mandated) ANSI webstore.ansi.org/default.aspx 미국내 공업 표준안을 마련하는 기구인 3456BA99-1018-BADD-DF07-567EA5B51ACB산하 ECSA(Exchange Carriers Standards Association)에 의해 마련된 광통신 전송 표준안이다. 거의 전세계 모든 장거리 전화망의 광케이블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 물리계층 표준.
MND-Geopolitical Entities and Codes(GEC) Codes for geopolitical entities used in the GNS are based on the U.S.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DITA 2024 v1 GEC 필수(Mandated) NGIA www.fgdc.gov/organization/coordination-group/meeting-minutes/2012/july/fgdc-cg-20120710-us-country-codes-standards.pdf 본 표준은 각 개체를 구성하는 주요 행정 구분과 함께 기본적인 지정학적 개체 목록을 제공하며, 본 표준에는 미국 연방 정보 처리 표준 발행물(FIPS PUB) 10-4 &quotCountries, Dependencies, Areas of Special Sovereignty, and Their Principal Administrative Divisions&quot 에 기반을 두고 있음.
MND-HDF5 Release 1.8.11 Hierarchical Data Format (HDF) Version 5, Release 1.8.11 DITA 2024 v1 HDF 필수(Mandated) HDF( www.hdfgroup.org/hdf5 HDF5는 데이터 모델, 도서관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 하고 관리하기 위한 파일 형식이다.
MND-ICAO Annex 10: Vol. I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nex 10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Volume I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ICAO www.icao.int/airnavigation/Lists/T_Documents/DispForm.aspx?ID=2 이 문서는 국제민간항공운항시스템에 필수시스템인 항공통신, 항법 및 감시 기능을 정의한 기술문서임
MND-ICAO Annex 10: Vol. II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nex 10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Volume II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ICAO www.icao.int/airnavigation/Lists/T_Documents/DispForm.aspx?ID=3 제 10 부속서는 항공 통신에 관한 것으로, 국제 항공에서 비행안전을 위한 무선항행 원조 시설, 통신 방식, 항공용 무선기기 및 무선 주파수 등에 대해 기술함
MND-IEEE 1516-200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 Framework and Rules, DITA 2024 v1 HLA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1516-2000.html 이 표준은 High Level Architecture의 개괄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HLA 문서와 연관된 자료들을 정의하며 Live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시뮬레이션, 지원 유틸리티들과 같은 집합의 책임과 집합간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HLA의 원칙을 정의함.
MND-IEEE 1516-201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Framework and Rules DITA 2024 v1 HLA 필수(Mandated) IEEE   HLA의 개괄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HLA 문서와 연관된 자료들을 정의하며 Live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시뮬레이션, 지원 유틸리티들과 같은 집합의 책임과 집합간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HLA의 원칙을 정의함
MND-IEEE 1516.1-200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 Federate Interface S DITA 2024 v1 HLA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1516.1-2010.html 이 표준은 HLA에서 Federation과 연동체계(RTI)간의 연결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의 집합으로서 분산된 시뮬레이션 도메인 내에서 상호간 통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문서이다.
MND-IEEE 1516.1-201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Federate Interface  DITA 2024 v1 HLA 필수(Mandated) IEEE   HLA에서 Federation과 연동체계(RTI)간의 연결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의 집합으로서 분산된 시뮬레이션 도메인 내에서 상호간 통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함
MND-IEEE 1516.2-200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 Object Model Templat DITA 2024 v1 HLA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1516.2-2000.html 이 표준은 HLA object 모델내에서 정보 (objects, attributes, interactions, parameters)를 저장하기 위한 양식(Format)과 구문(Syntax)을 정의하는 문서임. 시뮬레이션들은 실 세계를 추상화하였으며 여러 M&S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찾을 수 있음. 이러한 기능들은 HLA 프레임워크에서 M&S 구현시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음. 이 표준은 시뮬레이션들이 HLA 통합을 위하여 공통 아키텍쳐를 제공함.
MND-IEEE 1516.2-2010 IEEE Standard for Modeling and Simulation (M&S) High Level Architecture (HLA)--  Object Model Templa DITA 2024 v1 HLA 필수(Mandated) IEEE   HLA object 모델내에서 정보 (objects, attributes, interactions, parameters)를 저장하기 위한 양식(Format)과 구문(Syntax)을 정의함
MND-IEEE 1516.3-2003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High Level Architecture (HLA) Federation Development and Execution Pro DITA 2024 v1 HLA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1516.3-2003.html 이 표준은 사용자들이 High Level Architecture를 개발하고 Federation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정의한다.
MND-IEEE 802.11-2020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 DITA 2024 v1 WLAN 필수(Mandated) IEEE   무선랜(WLAN)기술에 대한 MAC /PHY 계층에서의 전송 속도 및 주파수 효율성 측면에 대한 규격을 정의하는 표준
MND-IEEE 802.11ac-2013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 DITA 2024 v1 WLAN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1ac-2013.html 본 표준은 5GHz 주파수에서 높은 대역폭(80MHz~160MHz)을 지원하고, 2.4GHz에선 802.11n과의 호환성을 위해 40MHz까지 대역폭을 지원함
MND-IEEE 802.11n-2009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Specific Requirements Part 11: Wireless LA DITA 2024 v1 WLAN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1n-2009.html 본 표준은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사용하며 최고 300Mbps까지의 멀티미디어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WLAN표준이다.
MND-IEEE 802.15.1-2005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for wireless personal a DITA 2024 v1 Bluetooth 필수(Mandated)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5.1-2005.html 본 표준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기술의 the lower transport layers(MAC-L2CAP/LMP/Baseband, PHY-Radio)을 정의한 표준임
MND-IEEE 802.15.3b-2005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for High-Rate Wireless  DITA 2024 v1 WPAN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5.3b-2005.html 본 표준은 WPAN에서 2.4 GHz 대역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전송장치의 상호연동을 위한 규격을 정의함.
MND-IEEE 802.15.3c-2009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for High Rate Wireless  DITA 2024 v1 WPAN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5.3c-2009.html 본 표준은 802.15.3기반의 고속 WPAN 망에서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물리계층 규격을 정의한다.
MND-IEEE 802.15.5-2009 IEEE Standard for Recommended Pract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 DITA 2024 v1 WPAN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5.5-2009.html 본 표준은 기존 IEEE 표준인 저속 WPAN 망(802.15.4)과 고속 WPAN망(802.15.3, 802.15.3b)에서 메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을 정의함.
MND-IEEE 802.16e-2006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and Mobile B DITA 2024 v1 mobile WiMAX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6e-2005.html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해외에선 모바일 와이맥스로 알려짐)는 대한민국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무선 광대역 인터넷 기술이다. 2007년 10월 18일, 한국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총회에서 &#39IMT-2000&#39으로 통칭되는 3세대 이동통신(3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MND-IEEE 802.1AE 802.AE-2006 -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Media Access Control (MAC) Sec DITA 2024 v1 MACsec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getieee802/download/802.1AE-2006.pdf 본 표준은 미디어 접속 프로토콜의 연결 지향성 데이터 접속 및 통합을 정의한 IEEE MAC 보안 표준이다.
MND-IEEE 802.1AE-2018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Media Access Control (MAC) Security, 27 Septem DITA 2024 v1 MSec 미래(Emerging) IEEE ieeexplore.ieee.org/stamp/stamp.jsp?tp=&arnumber=8585421 본 표준은 미디어 접속 프로토콜의 연결 지향성 데이터 접속 및 통합을 정의한 IEEE MAC 보안 표준의 2018년 개정본이다.
MND-IEEE 802.1D-2004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Media Access Control (MAC) Bridges, 2004 DITA 2024 v1 MAC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D-2004.html 본 표준은 802.1D-1998을 개정한 표준으로 1998년 개정판의 오류를 수정하고 802.1w-2001 RSTP를 포함함. 본 표준은 IEEE802 LAN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IEEE802 MAC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들 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MAC 브리지의 동작을 규정함.
MND-IEEE 802.1Q-2005 IEEE Standards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Virtual Bridged Local Area Networks, May 2 DITA 2024 v1 VLAN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1Q-2005.html 본 표준은 802.1Q-1998을 개정한 표준으로 802.1u-2001 Maintenance, 802.1v-2001 VLAN Classification, 802.1s-2002 MSTP를 포함함. 본 표준은 802.1D MAC 브리지에 가상 Bridged LAN 구현에 필요한 부가적인 메카니즘을 정의함.
MND-IEEE 802.1Q-2018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Bridges and Bridged Networks, July 2018 DITA 2024 v1 VLAN 필수(Mandated) IEEE   802.1D MAC 브리지에 가상 Bridged LAN 구현에 필요한 부가적인 메카니즘을 정의하는 표준
MND-IEEE 802.1Q-2022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Bridges and Bridged  Networks, December 2022 DITA 2024 v1 VLAN 미래(Emerging) IEEE   Single broadcast domain 구조인 LAN 환경에서 broadcast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가상 다중 LAN을 구성하는 방법을 정의한 표준
MND-IEEE 802.1X-2010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Port Based Network Access Control, 2010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getieee802/download/802.1X-2010.pdf 본 표준은 포트 기반 네트워크를 액세스 제어를 위한 802.1x 표준의 2010년 개정판으로서,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attack) 취약점에 대한 MAC Security 추가한 표준이다.
MND-IEEE 802.1X-2020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Port-Based Network Access Control, 2020 DITA 2024 v1 LAN 보안 미래(Emerging) IEEE   본 표준은 포트 기반 네트워크를 액세스 제어를 위한 802.1x 표준의 2020년 개정판으로서, YANG(Yet Another Next Generation) 데이터 모델 적용방법을 추가한 표준이다.
MND-IEEE 802.2-1998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Specific requirements -- Part 2: Logical L DITA 2024 v1 LLC 필수(Mandat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2-1989.html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후 3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MND-IEEE 802.3-2008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 -- Specific Requirements -- Part 3: Carrier Sense Multiple  DITA 2024 v1 Ethernet 사양(Retired) IEEE standards.ieee.org/findstds/standard/802.3-2008.html 본 표준은 IEEE Std 802.3-2005의 기본 규격에 802.3 an/ap/aq/as 버전을 개정 통합한 것으로 이더넷 관련 규격을 정의한다.
MND-IEEE 802.3-2018 IEEE Standard for Ethernet, Aug. 2018 DITA 2024 v1 Ethernet 필수(Mandated) IEEE   유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더넷(Ethernet)을 정의하는 표준
MND-IEEE 802.3-2022 IEEE Standard for Ethernet, July 2022 DITA 2024 v1 Ethernet 미래(Emerging) IEEE   IP 기반 유선 통신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MAC/PHY를 정의한 이더넷 표준
MND-IETF RFC 1122/RFC 1123 Requirements for Internet Hosts -- Communication Layer(1122), Application and Support(1123), October DITA 2024 v1 T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122 본 표준은 인터넷 호스트의 software에 관한 요구사항에 관한 문서로, 각각 RFC 1122는 통신을 위한 계층에 대한 것으로 Link, IP, 그리고 transport 계층에 관한 것이고 RFC 1122는 응용과 지원에 관한 것이다.
MND-IETF RFC 1157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May 1990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157 본 표준은 응용계층의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UDP(User Datagram Protocol) 상에서 동작하는 비동기식 요청/응답 표준임.
MND-IETF RFC 1305 Network Time Protocol (Version 3) Specification, Implementation, and Analysis, March 1992. DITA 2024 v1 NT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305 본 표준은 인터넷에서의 시간을 동기화 하고 시간 배포의 조절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MND-IETF RFC 1332 The PP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IPCP), May 1992 DITA 2024 v1 PP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332 본 표준은 IPv4의 전이중(full duplex), 동기 혹은 비동기,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위한 필수 표준으로 IPCP에 대한 규약이다.
MND-IETF RFC 1471 The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the Link Control Protocol of the Point-to-Point Protocol, Jun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471 본 표준은 TCP/IP 기반 인터넷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의 MIB(Managed Information Base)를 정의함. 특별히, Point-to-Point 프로토콜 계열을 사용하는 서브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의 LCP(Link Control Protocol)와 LQM(Link Quaility Monitoring)의 MO(Managed Object)를 기술함.
MND-IETF RFC 1557 Korean Character Encoding for Internet Messages, December 1993 DITA 2024 v1 EUC-KR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557 본 표준은 유닉스의 한글 환경 중 사용되는 유닉스 확장 부호에 대한 정의를 한 것으로, 정보 처리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한글문자 표기를 위한 방법으로서, 영문자 를 나타내는 데 널리 쓰이는 아스키(ASCII) 문자세트와 KS X 1001 문자세트의 문자를 인코딩하여 표기하는 기술 규격을 정의함.
MND-IETF RFC 1738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December 1994 DITA 2024 v1 URI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738 URL은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한 자원의 주소를 일관되게 표현할 수 있는 형식을 말한다.
MND-IETF RFC 1772 Application of the Border Gateway Protocol in the Internet, 21 March 1995 DITA 2024 v1 BG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772 본 표준은 BGP-4(Border Gateway Protocol 4)가 TCP를 트랜스포트 서비스로 사용하는 IPv4와 IPv6의 외부 게이트웨이 라우팅을 위한 필수 표준.
MND-IETF RFC 1812 Requirements for IP Version 4 Routers, June 1995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812 본 표준은 IPv4 라우터를 위한 요구사항에 관한 문서임.
MND-IETF RFC 1870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ervices Extension for Message Size Declaration, November 1995 DITA 2024 v1 SM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870 본 기술은 SMTP client와 server간 상호작용에 대한 SMTP의 확장 기능을 정의한다.
MND-IETF RFC 1901 Introduction to Community-based SNMPv2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01 본 표준은 SNMPv2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커뮤니티 기반 관리 프레임워크에 대해 정의함
MND-IETF RFC 1981 Path MTU Discovery for IP Version 6, August 1996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81 본 표준은 IPv6를 위한 경로 최대 패킷 사이즈(MTU) 발견을 명세한다. 대부분의 기법은 IPv4를 위한 경로 MTU 발견 메커니즘에 기반하고 있다.
MND-IETF RFC 1994 PP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CHAP), August 1996 DITA 2024 v1 PP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94 본 표준은 IPv4와 IPv6의 전이중(full duplex), 동기 혹은 비동기, 점대점 (point-to-point) 통신을 위한 필수 표준으로 PPP CHAP 프로토콜.
MND-IETF RFC 1995 Incremental Zone Transfer in DNS, August 1996 DITA 2024 v1 DN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95 본 표준은 Incremental하게 Zone 영역의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DNS 프로토콜의 확장에 대해 제안하고 있는 필수 표준임.
MND-IETF RFC 1996 A Mechanism for Prompt Notification of Zone Changes (DNS NOTIFY), August 1996 DITA 2024 v1 DN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96 본 표준은 DNS의 Master 서버가 RR(Resource Records)의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NOTIFY에 관한 표준.
MND-IETF RFC 2006 The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IP Mobility Support using SMIv2, October 1996 DITA 2024 v1 Mobile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006 The Definition of Managed Objects for IP Mobility support는 TCP/IP 기반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정의함. 특히, 무선 IP 프로토콜의 Mobile Node, Foreign Agent, Home Agent을 관리하기 위한 MO(Managed Objects)를 정의함.
MND-IETF RFC 2126 ISO Transport Service on Top of TCP (ITOT), March 1997 DITA 2024 v1 TC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126 본 표준은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하면서 OSI 기반 application을 TCP/IP와 OSI프로토콜 스택들을 지원하는 이중 스택과 TCP로 매핑시키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ISO 연결지향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ISO 8073 클래스 0 (connection oriented 트랜스포트 protocolISO 8073 클래스 0)을 TCP상에서 구동할 것이 제안되어 있다.
MND-IETF RFC 2131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ITA 2024 v1 DH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131 본 표준은 TCP/IP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게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함
MND-IETF RFC 2136 Dynamic Updates in the Domain Name System (DNS UPDATE), April 1997 DITA 2024 v1 DN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205 Dynamic DNS는 신규 등록물에 대한 DNS 데이터베이스 선택적 입력 및 삭제를 위한 새로운 Messaging 메커니즘을 소개하여 DNS Updating의 자동화를 지원한다. 본 표준은 IPv4에 특화된 다양한 Resource Records (RRs)와 DNS 이름 Mapping을 정의함.
MND-IETF RFC 2207 RSVP Extensions for IPSEC Data Flows, September 1997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207.txt.pdf 본 표준은 RSVP 버전1의 확장 기능을 제시한다. 이 확장 기능은 RFC 1826, IP 인증 해더 또는 RFC 1827, IP 캡슐화 보안 페이로드를 사용하여 개개의 데이터 흐름을 허가하는 기능이다. RSVP Version 1은 IPSEC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IPv4와 IPv6에서 사용할 수 있다.
MND-IETF RFC 2228 FTP Security Extensions, October 1997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228.txt.pdf 본 표준은 RFC 959에 정의된 FTP 규격을 확장하여 보안 기능을 추가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231 MIME Parameter Value and Encoded Word Extensions: Character Sets, Languages, and Continuations, Nove DITA 2024 v1 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231 본 표준은 이메일에 쓰이는 메시지 포맷 (MIME)을 정리한 RFC 2045를 기반으로 기존 MIME에 US-ASCII이외에 문자 셋을 텍스트 바디에 쓰게 하도록 확장된 RFC 2184를 대체하여 제정된 표준으로, US-ASCII 이외의 문자 셋을 텍스트 헤더에 쓸수 있도록 확장된 기술.
MND-IETF RFC 2315 PKCS(Public Key Cryptography Standards) #7: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Version 1.5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315.txt.pdf 본 표준은 미국의 RSA사가 개발한 암호작성 표준으로, 암호화를 적용한 메시지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분을 설명한다.
MND-IETF RFC 2453 RIP Version 2, November 1998 DITA 2024 v1 R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453 본 표준은 RFC 2453에 정의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로 거리 벡터 라우팅에 기반한 매우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거리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링크(네트워크) 수로 정의된다. 이러한 이유로, RIP에서 메트릭은 홉 수(Hop Count)라고 불리며, 최대 15개 홉만 지원함.
MND-IETF RFC 2460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Specification, December 1998 DITA 2024 v1 IPv6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460 IPv6는 기존의 IPv4 (RFC-791)의 후속 버젼으로 발표된 규격이다.
MND-IETF RFC 2473 Generic Packet Tunneling in IPv6 Specification, December 1998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473 이 표준은 IPv4와 같은 인터넷 Packet을 IPv6의 Packet으로 encapsulation하기 위한 일반적인 메카니즘과 모델을 정의한다. 또한 AppleTalk, IPX, CLNP등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에도 적용할 수 있다.
MND-IETF RFC 2475 An Architecture for Differentiated Services, December 1998 DITA 2024 v1 Diffserv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475 본 표준은 RFC 2475에 정의된 Differential Serviced의 Architecture에 대해서 정의함
MND-IETF RFC 2507 IP Header Compression, February 1999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507 2코어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리피터 사이의 최대연결거리는 1000미터까지 확장하여 최대 10Mb/s의 속도를 제공하는 이더넷 기술
MND-IETF RFC 2545 Use of BGP-4 Multiprotocol Extensions for IPv6 Inter- Domain Routing, March 1999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545 본 표준은 IPv6 도메인간 라우팅을 위해 BGP-4(Border Gateway Protocol-4)로 구성된 망에서 IPv6 도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문서이다.
MND-IETF RFC 2560 X.509 Internet Public Key Infrastructure 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 OCSP, June 1999 DITA 2024 v1 X.509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560.txt.pdf 본 표준은 X.509 공개키 기반구조에서의 OCSP 프로토콜의 적용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578 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Version 2 (SMIv2), April 1999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578 본 표준은 간이 망관리 프로토콜(SNMP)이나 관리 정보 베이스(MIB)를 정의할 때, 정의에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나 데이터 형식, 관리정보의 명칭에 관해 규정한 관리 정보 구조임.
MND-IETF RFC 2585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Operational Protocols : FTP and HTTP, May 1999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585.txt.pdf 본 표준은 인증서 및 CRL를 사용한 PKI의 운영 요구사항으로 인증서 및 CRL을 획득하기 위한 FTP와 HTTP 프토토콜 사용방법에 대해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587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LDAPv2 Schema, June 1999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587.txt.pdf 본 표준은 LDAP V2 환경에서 PKIX를 지원하는 스키마를 설명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605 Directory Server Monitoring MIB, June 1999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605 TCP/IP 기반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망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위한 MIB을 정의하며, RFC 1567을 확장하여 한 개 이상의 디렉터리 서버들을 모니터링을 하기위한 일반적인 MIB 임.
MND-IETF RFC 2616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June 1999 DITA 2024 v1 HTT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616 HTTP는 웹상에서 파일(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그리고 기타 멀티미디어 파일)을 주고받는데 필요한 프로토콜로서 TCP/IP와 관련된 하나의 응용 프로토콜임.
MND-IETF RFC 2631 Diffie-Hellman Key Agreement Method,  June 1999 DITA 2024 v1 암호화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631.txt.pdf 본 표준은 공개 키 암호화에서 메시지 형식을 위한 표준으로 Diffie-Hellman 키교환 알고리즘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743 Generic Security Servic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Version 2, Update 1, January 2000 DITA 2024 v1 보안서비스 인터페이스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743.txt.pdf 본 표준은 일반적인 보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GSS-API) Version2로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휴대성을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과 기술을 정의하여 발신자에게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MND-IETF RFC 2788 Network Services Monitoring MIB, March 2000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788 본 표준은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의 모니터링을 위한 공통적인 요소를 MIB에 정의함.
MND-IETF RFC 2789 Mail Monitoring MIB, March 2000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789 본 표준은 전자 메일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Message Transfer Agent (MTA)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정의
MND-IETF RFC 2790 Host Resources MIB, March 2000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790 MIB는 SNMP를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는 일련의 네트워크 객체들에 대한 형식적인 것으로 Host 자원에 대한 표준이며, 계층은 Agent Progress-SNMP-UDP(User Progress-FTP,Etc-TCP)-IP-Network 의존적인 프로토콜임.
MND-IETF RFC 2817 Upgrading to TLS Within HTTP/1.1, May 2000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817.txt.pdf 본 표준은 기존 TCP 연결에서 TLS를 초기화하기 위해 HTTP/1.1에서의 업그레이드 메커니즘 사용 방법을 명세한 표준이다.
MND-IETF RFC 2818 HTTP Over TLS, May 2000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818.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에서 안전한 HTTP 접속을 위한 TLS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MND-IETF RFC 2845 Secret Key Transaction Authentication for DNS (TSIG), May 2000.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845.txt.pdf 본 표준은 DNS에서 비밀 공유 및 단방향 해쉬를 사용한 트랜잭션 레벨 인증 프로토콜을 정의한다.&ltbr type=&quot_moz&quot /&gt
MND-IETF RFC 2863 The Interfaces Group MIB, June 2000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863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의 망 관리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관리 정보 베이스(MIB)의 일부를 정의함. 특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되는 객체에 대해 정의함.
MND-IETF RFC 2865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s (RADIUS), June 2000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865.txt.pdf 본 표준은 네트워크 접근 서버와 공유된 인증 서버 간의 인증, 인가, 그리고 설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명세한다.
MND-IETF RFC 2976 The SIP INFO Method, October 2000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976 본 표준은 설정되어 있는 동안 생성되는 세션의 속성과 관계없는 세션 제어 정보를 SIP 신호 경로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정의한 것
MND-IETF RFC 2986 PKCS #10 v1.7: Certification Request Syntax Standard, RSA Labs, 26 May 2000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2986.txt.pdf 본 표준은 공개키 암호 체계에서의 인증 요구에 대한 문법을 기술하는 표준이다.
MND-IETF RFC 3023 XML Media Types, April 2001 DITA 2024 v1 XML 필수(Mandated) IETF www.ietf.org/rfc/rfc3023.txt 본 표준은 XML 미디어 타입 확장과 관련된 개체들의 교환을 위하여 MIME이 정의를 참조하여 새로운 미디어 타입을 정의하고 있다.
MND-IETF RFC 3030 SMTP Service Extensions for Transmission of Large and Binary MIME Messages, December 2000 DITA 2024 v1 SM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030 본 기술은 SMTP 기술의 두 가지 확장기술로, &ldquoBDAT&quot 명령어 사용법 및 SMT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협상하는 내용을 기술한다.
MND-IETF RFC 3031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rchitecture, January 2001 DITA 2024 v1 MP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031 본 표준에서는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MPLS)에 대한 구조를 정의함. MPLS의 기본 개념과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MPLS의 특정 응용 및 홉 단위의 레이블 분배 과정을 정의하고 있음.
MND-IETF RFC 3125 Electronic Signature Policies, September 2001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125.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서명에 대한 서명 정책을 정의한 표준으로, 전자서명의 생성 및 유효성 검증 방법을 위한 규칙과 ASN.1 언어로 구현한 벡터를 정의하고 있다.
MND-IETF RFC 3156 MIME Security with OpenPGP, August 2001 DITA 2024 v1 S/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156.txt.pdf 본 표준은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tions)을 사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및 인증에서 OpenPGP 메시지 포맷의 사용 방법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161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Time Stamp Protocols (TSP), August 2001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161.txt.pdf 본 표준은 타임 스탬프 기구(Time Stamoing Authority, TSA)에 전송하는 요청의 형식과 리턴되는 응답의 형식을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3168 The Addition of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ECN) to IP, September 2001 DITA 2024 v1 T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168 본 표준에서는 IP 헤더의 ToS(Type of Service) 항목을 이용하여 DSCP(DiffServ Code Point)와 ECN(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음.
MND-IETF RFC 3175 Aggregation of RSVP for IPv4 and IPv6 Reservations, September 2001 DITA 2024 v1 IPv6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175 본 표준은 IPv4와 IPv6에서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집적화된 RSVP에 관한 필수적인 표준임.
MND-IETF RFC 3185 Reuse of CMS Content Encryption Keys, October 2001 DITA 2024 v1 S/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185.txt.pdf 본 표준은 CMS(Cryptographic Message Syntax)에 이용되는 컨텐츠 암호화 키(Contents Encryption Key, CEK)를 재사용하는 방법과 이에 대한 ASN.1 코드를 정의한다.
MND-IETF RFC 3207 SMTP Service Extension for Secure SMTP over Transport Layer Security, February 2002 DITA 2024 v1 전자우편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207.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인증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SMTP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TLS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SMTP 확장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241 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over PPP, April 2002 DITA 2024 v1 PP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241 본 표준에서는 IPv4 및 IPv6을 모두 지원하고 높은 에러 율과 긴 round-trip시간을 가지는 셀룰러 링크상의 헤더압축방법에 대해서 규격화를 정의하고 있다.
MND-IETF RFC 3261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June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261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전화, 인터넷 콘퍼런스, 인스턴트 메신저 등)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임
MND-IETF RFC 3273 Remote Network Moni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High Capacity Networks, July 2002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273 본 표준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서버 검색과 서버 간 이동에 대한 사항인 server pooling에 대한 표준 문서로써 높은 신뢰성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여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관리와 작동에 대한 아키텍처와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표임.
MND-IETF RFC 3274 Compressed Data Content Type for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June 2002 DITA 2024 v1 S/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274.txt.pdf 본 표준은 암호학적인 메시지 구분(CMS : Cryptographic Message Syntax)을 위한 압축된 데이터 타입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279 Algorithms and Identifiers for the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ertific DITA 2024 v1 X.509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279.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X.509 PKI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과 공개키에 대한 알고리즘 식별자와 ASN.1 인코딩 형식을 기술한다.
MND-IETF RFC 3311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UPDATE Method, September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11 본 표준은 SIP에서 새로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을 정의한 규격임.
MND-IETF RFC 3312 Integration of Resource Management an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October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12 본 표준은 SIP에서 새로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을 정의한 규격임.
MND-IETF RFC 3313 Privat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Extensions for Media Authorization, January 2003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13 본 표준은 QoS와 미디어 인증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함. Call 시그널링과 함께 QoS Admission Control과 DoS 공격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SIP 확장에 대하여 기술함.
MND-IETF RFC 3315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for IPv6 (DHCPv6) DITA 2024 v1 DH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15 본 표준은 IPv6 네트워크에서 DHCP 서버가 IPv6 네트워크 주소와 같은 구성(configuration) 파라미터를 IPv6 노드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함
MND-IETF RFC 3323 A Privacy Mechanism for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November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23 본 표준은 SIP에서 새로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을 정의한 규격임.
MND-IETF RFC 3344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August 2002 DITA 2024 v1 Mobile IPv4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44 IPv6는 기존의 IPv4 (RFC-791)의 후속 버전으로 발표된 규격이다.
MND-IETF RFC 3372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Telephones (SIP-T) : Context and Architectures, September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72 본 표준은 음성 통신망과 데이터 통신망이 통합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MGC) 간의 제어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SIP-T 프로토콜을 표준화 한다.
MND-IETF RFC 3376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Version 3, October 2002 DITA 2024 v1 IG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376 복수의 호스트에 UDP 데이터 그램을 송신하는 멀티캐스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MND-IETF RFC 3411 An Architecture for Describin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Management Frameworks Decem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1 SNMP 관리 프레임워크 아키텍처 임.
MND-IETF RFC 3412 Message Processing and Dispatching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December 2002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2 본 표준은 SNMP 아키텍처 내에 SNMP 메시지의 프로세싱과 전달에 대해 설명함
MND-IETF RFC 3413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pplications, December 2002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3 SNMP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사용하는 OSI Layer 상의 응용 계층(Layer 7)에서의 프로그램을 통칭함. SNMP 응용 프로그램은 명령 생성블럭(Command Generator), 명령 수신블럭(Command Receiver), 알림정보 생성블럭(Notification Originator), 알림정보 수신블럭(Notification Receiver) 및
MND-IETF RFC 3414 User-based Security Model (USM) for version 3 of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v3), De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4 사용자기반 보안모델(USM : User-based Security Model)에서는 데이터 출처 인증,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스트림 변경방지 기능을 위한 보안서비스를 제공함.
MND-IETF RFC 3415 View-based Access Control Model (VACM)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December 2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5 뷰기반 접근통제 모델(VACM : View based Access Control Model)은 사용자 이름과 보안모델로 구성되는 그룹, 보안 레벨(noAuthNoPriv, authNoPriv, authPriv), 컨텍스트, MIB 뷰, 뷰 모드(read/write/notify)를 입력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관리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기능을 수행함.
MND-IETF RFC 3416 Version 2 of the Protocol Operations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6 본 표준은 SNMPv2 프로토콜 동작과 분산관리에 의한 트래픽량 감소, GetBulkRequest 기능 등 추가한 내용을 정의함
MND-IETF RFC 3417 Transport Mappings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DITA 2024 v1 SN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7 본 표준은 단순망관리프토토콜(SNMP)의 전송 계층 매핑관계를 정의함
MND-IETF RFC 3418 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December 2002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18 본 표준은 TCP/IP 기반 망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단순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엔티티의 행위를 기술하는 관리 객체를 정의함.
MND-IETF RFC 3428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Extension for Instant Messaging, December 2002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28 RFC 3428에서는 Message Method의 사용법과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Message는 Dialog를 생성하면서 전달 할 수 있으며, 이미 생성된 Dialog를 통해서도 전달이 가능하다.
MND-IETF RFC 3462 The Multipart/Report Content Type for the Reporting of Mail System Administrative Messages, January  DITA 2024 v1 MIME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462 본 기술은 전송 상태 결과 서비스를 기술한 4개의 문서 중 하나를 기술한다. 본 문서는 전송 상태 결과, 전송 결과에 대한 MIME 콘텐츠, 확장 상태 코드 목록, 전송 결과에 대한 멀티 컨테이너,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실패 결과 요약을 제공하는 SMTP 확장 기능이다.
MND-IETF RFC 3494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version 2 (LDAPv2) to Historic Status, March 2003 DITA 2024 v1 LDA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494.txt.pdf 본 표준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버전 2를 제시한 표준으로 온라인 디렉토리 서비스를 접근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501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Version 4rev1, March 2003 DITA 2024 v1 IMA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01 IMAP4rev1은 클라이언트 접속을 허가하고, 전자 메일 서버를 조종한다. IMAO4rev1은 메일 박스를 로컬 폴더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허가한다. 또한 IMAO4rev1은 오프라인에서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재동기 능력을 제공한다.
MND-IETF RFC 3526 More Modular Exponential (MODP) Diffie-Hellman Groups for Internet Key Exchange (IKE), April 2002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526.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키 교환(IKE) 프로토콜을 위한 새로운 MODP (Modular Exponential) 그룹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550 RTP: A Transfer Protocol for Real-Time Applications, July 2003 DITA 2024 v1 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50 본 표준은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스포트 계층의 통신 규약을 정의함.
MND-IETF RFC 3551 RTP Profile for Audio and Video Conferences with Minimal Control, July 2003 DITA 2024 v1 RTP 필수(Mandated) IETF www.ietf.org/rfc/rfc3551.txt 최소한의 제어로 오디오와 비디오 다중회의를 위한 RTPv2와 RTCP 프로파일 규격임.
MND-IETF RFC 3554 On the Use of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with IPsec, July 2003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554.txt.pdf 본 표준은 IPsec 및 IKE에 대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제공한다.
MND-IETF RFC 3560 Use of the RSAES - OAEP Key Transport Algorithm in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July 2003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560.txt.pdf 본 표준은 암호문 메시지(CMS)에 RSAES-OAEP 키 전송 방식의 적용을 정의한다. CMS는 암호화 데이터와 암호화 키를 전송할 수 있으며, RSAES-OAEP 키 전송 방식은 수신자에게 암호화 키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MND-IETF RFC 3585 IPsec Configuration Policy Information Model, August 2003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585.txt.pdf 본 표준은 IPsec 정책의 객체 지향 정보 모델을 제공한다.
MND-IETF RFC 3586 IP Security Policy Requirements, August 2003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586.txt.pdf 본 표준은 IPSP(IP Security Policy) 구성 및 관리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제공한다.
MND-IETF RFC 3587 IPv6 Global Unicast Address Format, August 2003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87 본 표준은 ICMPv6에 사용되는 control message에 대해 format을 기술한다. ICMPv6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서 사용되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다.
MND-IETF RFC 3591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the Optical Interface Type, September 2003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91 본 표준은 MIB II를 이용해서 Optical 객체들을 관리 방법으로 Optical 장비들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술 문서임.
MND-IETF RFC 3595 Textual Conventions for IPv6 Flow Label, September 2003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95 본 표준은 IPv6 Flow Label을 표현하기 위한 Textual Convention을 정의함. TCs(Textual Conventions)를 MIB 모듈에 포함하여 사용하는 목적은 IPv6을 사용하는 장비 자체를 표현하기 위한 정의임.
MND-IETF RFC 3596 DNS Extensions to Support IP Version 6, October 2003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596 DNS 이름 mapping을 다루는 IPv6 RRs와 IPv6를 위한 필수 표준으로 IPv6를 지원하기 위한 DNS의 확장을 명세한다.
MND-IETF RFC 3620 The TUNNEL Profile, October 2003 DITA 2024 v1 침해대응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620.txt.pdf 본 표준은 BEEP peer가 응용 계층 프락시로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는 BEEP(Blocks Extensible Exchange Protocol)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629 UTF-8, a transformation format of ISO 10646, November 2003 DITA 2024 v1 UTF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629 본 표준은 16 비트 유니코드 문자들을 7 비트, 8 비트 혹은 16비트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 규격을 정의함.
MND-IETF RFC 3635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the Ethernet-like Interface Types, September 2003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635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를 정의하고 있음. 특별히 이 문서는 이더넷(Ethernet)과 유사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위한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있음. 10Gb/s 이더넷 인터페이스 정보를 관리하기위한 MIB를 추가하여, 기존 RFC 2665를 대체하고 있음.
MND-IETF RFC 3645 Generic Security Service Algorithm for Secret Key Transaction Authentication for DNS (GSS-TSIG), Oct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645.txt.pdf 본 표준은 DNS에서 비밀 공유 및 단방향 해쉬를 사용한 트랜잭션 레벨 인증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647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Policy and Certification Practices Framework, N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647.txt.pdf 본 표준은 공개키 기반구조 내의 인증서 정책 또는 인증업무준칙의 작성자를 위한 프레임워크을 제공한다.
MND-IETF RFC 3666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Call Flows, December 2003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666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SIP와 PSTN과의 인터워킹 제공을 위한 SIP 호 흐름 예를 기술한다.
MND-IETF RFC 3706 A Traffic-Based Method of Detecting Dead Internet Key Exchange (IKE) Peers, Februry 2004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06.txt.pdf 본 표준은 동작하지 않는 IKE peer를 탐지하는 방식을 명세한다.
MND-IETF RFC 3711 The 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SRTP), March 2004 DITA 2024 v1 S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11.txt.pdf 본 표준은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적합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의 기밀성, 메시지 인증, 재생 공격 방어를 제공하는 안전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에 대하여 정의한다.
MND-IETF RFC 3739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 Qualified Certificates Profile, March 2004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39.txt.pdf 본 표준은 RFC3280을 참조하고 있으며 자연인에게 신원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인증서 프로파일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3748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EAP), June 2004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48.txt.pdf 본 표준은 휴대 인터넷 망 접속 인증을 위해 EAP 기반 인증 방식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3749 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ol Compression Methods, May 2004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49.txt.pdf 본 표준은 TLS에서 무손실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과 연관된 추가적인 압축 방식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767 Securely Available Credentials Protocol, June 2004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67.txt.pdf 본 표준은 특정 사용자의 환경설정이 아닌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워크스테이션을 통하여 자격증명서 서버로부터 암호법의 자격 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설명한 표준이다.
MND-IETF RFC 3779 X.509 Extensions for IP Addresses and AS Identifiers, June 2004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779.txt.pdf 본 표준은 X.509 v3 인증서 확장을 정의한 표준으로, 인증서의 주체명에 주소 블록 목록과 독립 시스템 식별자를 연결하여 IP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주체명의 허가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MND-IETF RFC 3810 Multicast Listener Discovery Version 2 (MLDv2) for IPv6, June 2004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810 본 표준은 MLD를 IPv6 라우터에서 링크에 바로 연결된 멀티캐스트 리스너를 찾고 그 이웃 노드들의 특정 멀티캐스트 주소를 찾는 데 정의 되어 있다.
MND-IETF RFC 382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Proxy Certificate Profile, June 2004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820.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에서의 사용을 위해, RFC 3280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X.509 PKI 인증서에 기반한 프록시 인증서를 위한 인증서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826 The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Cipher Algorithm in the SNMP User-based Security Model DITA 2024 v1 SNMP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3826 본 표준은 SNMPv3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기반의 보안모델(USM)에 대한암호화 프로토콜을 정의함
MND-IETF RFC 3830 MIKEY: Multimedia Internet KEYing, August 2004 DITA 2024 v1 M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830.txt.pdf 본 표준은 실시간 응용서비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키 관리 스킴을 정의한다. 특히, 본 표준은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MND-IETF RFC 3854 Securing X.400 Content with 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S/MIME), July 2004 DITA 2024 v1 S/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3854.txt.pdf 본 표준은 S/MIME X.400 컨텐츠에 암호학적 서명과 암호 서비스를 추가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ND-IETF RFC 3963 Network Mobility (NEMO) Basic Support Protocol, January 2005 DITA 2024 v1 Mobile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963 본 표준은 망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 라우터라는 새로운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이동 라우터는 홈 에이전트와 양방향 터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망이 이동하더라도 이동 라우터 이외의 단말은 별다른 변화 없이 기존의 방법대로 계속 통신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MND-IETF RFC 3966 The tel URI for Telephone Numbers, Internet proposed standard RFC 3966, December 2004 DITA 2024 v1 URI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966 본 문서는 인터넷 식별자 시키마에 대한 규격임. URI는 전화번호에 의한 식별을 기술한다.
MND-IETF RFC 3971 SEcure Neighbor Discovery (SEND), March 2005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3971 본 표준은 Neighbor Discovery Protocol (NDP)에 대한 위험 요소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표준이다.
MND-IETF RFC 3986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 January 2005 DITA 2024 v1 URI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3986 URI는 그것이 텍스트의 한 페이지나, 비디오 또는 사운드 클립이든, 정지 화상이든 동영상이든, 또는 프로그램이든 상관없이, 이러한 콘텐츠 들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임
MND-IETF RFC 4007 IPv6 Scoped Address Architecture, March 2005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4007 본 표준은 IPv6의 기본 아키텍처에 주소 범위의 개념으로 아키텍처의 특성과 예상되는 동작들을 규정하는 IPv6 규격 중 기본 규격의 일종임.
MND-IETF RFC 4022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th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March 2005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022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의 정의임. 특별히 이 문서는 IP 버전과 상관없는 TCP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정보를 기술. 이 문서는 RFC 2452와 2012를 대체함.
MND-IETF RFC 4028 Session Timers in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pril 2005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028 본 표준은 SIP에서 새로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을 정의한 규격임.
MND-IETF RFC 4033 DNS Security Introduction and Requirements, March, 2005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033.txt.pdf 본 표준은 DNS 서비스에서 데이터 출처 인증 및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기 한 DNS 보안 확장(DNSSEC)에 대한 소개 및 고려사항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034 Resource Records for the DNS Security Extensions, March, 2005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034.txt.pdf 본 표준은 DNS 보안 확장에서 DNS에 대한 근원지 인증을 제공하는 리소스 레코드를 다루고 있다. 또한 공개키(DNSKEY), 위임 서명자(DS), 리소스 레코드 디지털 서명(RRSIG) 등에 대해서 정의한다.
MND-IETF RFC 4035 Protocol Modifications for the DNS Security Extensions, March, 2005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035.txt.pdf 본 표준은 DNS 보안 확장 프로토콜 변형에 대해서 명세한다. 본 표준은 DNSSEC을 사용을 위한 serving과 resolving에 대한 요구사항과 함께 signed zone에 대한 개념이 정의된다.
MND-IETF RFC 4038 Application Aspects of IPv6 Transition, March, 2005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4038 본 표준은 IPv6으로 변경을 위해서 해야 할 Application 측면에서의 요구사항 들에 대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046 Multicast Security (MSEC) Group Key Management Architecture, May 2005 DITA 2024 v1 M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046.txt.pdf 본 표준은 멀티캐스트 보안키 관리 프로토콜을 위한 공통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응용계층, 전송계층, 네트워크계층에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고, 본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구조 및 지침을 통해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그룹키 관리 프로토콜의 모듈과 유용성 있는 설계를 허용한다.
MND-IETF RFC 4055 Additional Algorithms and Identifiers for RSA Cryptography for use in the Internet X.509 Public Key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055.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X.509 PKI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과 공개키에 대한 알고리즘 식별자와 ASN.1 인코딩 형식을 기술한다.
MND-IETF RFC 4087 IP Tunnel MIB, June 2005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087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의 정의임
MND-IETF RFC 4113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 June 2005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113 SNMPv2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UD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객체들을 정의한 MIB 모듈에 대한 정의임.
MND-IETF RFC 4133 Entity MIB (Version 3) August 2005 DITA 2024 v1 MIB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133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의 정의임. 특별히 본 표준은 하나의 SNMP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다중의 논리적, 물리적 속성으로 이용되는 개체를 정의함. 본 표준은 RFC 2737을 대체함.
MND-IETF RFC 4188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Bridges, September 2005 DITA 2024 v1 MIB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188 TCP/IP 기반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MIB 일부에 대한 규격
MND-IETF RFC 4193 Unique Local IPv6 Unicast Addresses, 2005.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193 본 표준은 전 세계 고유 로컬 통신을 위한 것으로 IPv6 유니 캐스트 주소 형식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21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Management Protocol (CMP), September 2005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10.txt.pdf 본 표준은 인증서를 인증기관-인증기관, 인증기관-이용자(End-entity), 이용자-이용자 등 각 개체 사이에서 인증서 발급 및 이용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211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Request Message Format (CRMF), September, 2005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11.txt.pdf 본 표준은 디지털 인증서 발급 시 필요한 인증서 요청 메시지 형식을 규정하는 표준이다
MND-IETF RFC 4213 Transition Mechanisms for IPv6 Hosts and Routers August 2000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www.rfc-editor.org/info/rfc4213 본 표준은 IPv4에서 IPv6로 네트워크가 전환하는 시점에 IPv6 호스트와 라우터에서 구현되는 IPv4 호환 메커니즘에 관하여 기술한다.
MND-IETF RFC 4250 The Secure Shell (SSH) Protocol Assigned Numbers, January 2006 DITA 2024 v1 SSH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50.txt.pdf 본 표준은 SSH의 초기 프로토콜 할당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251 The Secure Shell (SSH) Protocol Architecture, January 2006 DITA 2024 v1 SSH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51.txt.pdf 본 표준은 SSH(Secure Shell) 아키텍처에 관해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252 The Secure Shell (SSH) Authentication Protocol, January 2006 DITA 2024 v1 SSH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52.txt.pdf 본 표준은 SSH(Secure Shell)에서의 인증을 정의한 표준으로 불안정한 네트워크상에서 안전한 원격 로그인 및 안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MND-IETF RFC 4253 The Secure Shell (SSH) Transport Layer Protocol, January 2006 DITA 2024 v1 SSH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53.txt.pdf 본 표준은 SSH의 Transport Layer Protocol에 대해 설명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254 The Secure Shell (SSH) Connection Protocol, January 2006 DITA 2024 v1 SSH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254.txt.pdf 본 표준은 SSH의 Connection Protocol에 대해 설명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271 A Border Gateway Protocol 4 (BGP-4), January 2006 DITA 2024 v1 BG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271 제공자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경로 지정 통신 규약으로 RFC 1771에 규정되어 있다. 동적(動的)으로 경로를 결정할 때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된다. 인터넷 프로토콜(IP)의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BGP-4 외에 RIP,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 등이 있다. BGP-4가 RIP나 OSPF와 다른 점은 각기 다른 자율 시스템 간에 경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음.
MND-IETF RFC 4273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BGP-4, January 2006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273 본 표준은 TCP/IP 기반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망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MIB를 정의. 특히, BGP(Border Gateway Protocol) version 4 또는 그 이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함.
MND-IETF RFC 4291 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 February 2006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291 본 표준은 IPv6의 주소체계를 정의한다. 또한 IPv6의 주소표현방식 및 통신방식(Unicast, Multicast, Anycast)에 대해 기술한다.
MND-IETF RFC 4292 IP Forwarding Table MIB, April 2006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92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의 정의임. 특별히 본 표준은 IP 버전과 독립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의 포워딩과 연관된 관리 개체를 기술. 본 문서는 RFC 2096을 대체함.
MND-IETF RFC 4293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the Internet Protocol (IP), April 2006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293 본 표준은 TCP/IP 기반의 인터넷 망 관리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MIB-II(주1)를 정의함.
MND-IETF RFC 4295 Mobile IPv6 Management Information Base, April 2006 DITA 2024 v1 MIB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4295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터의 네트워크관리 프로토콜이며, 모바일 노드, 홈 에이전트와 모바일 IPv6를 엔티티 노드 기능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객체를 정의함.
MND-IETF RFC 4301 Security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 Protocol, December 2005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301.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보안구조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302 IP Authentication Header, December 2005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302.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발신처 인증 및 비연결형 무결성을 제공하는 표준이다.
MND-IETF RFC 4303 IP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ESP), December 2005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www.rfc-editor.org/rfc/pdfrfc/rfc4303.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ESP 패킷 형식, ESP 프로세싱 등을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306 Internet Key Exchange (IKEv2) Protocol, December 2005 DITA 2024 v1 IPSec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306.txt.pdf 본 표준은 조건부 발효된 암호화 표준(Escrowed Encryption Standard, ESS)으로 SKIPJACK 알고리즘에 대해 정의한다.
MND-IETF RFC 4330 Simple Network Time Protocol (SNTP) Version 4 for IPv4, IPv6 and OSI, January 2006 DITA 2024 v1 NT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330 NTP(Network Time Protocol)는 IP 네트워크상에서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해 시간을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NTP Ver3은 RFC 1305에 공인되었으며, Ver4는 현재 제정 중이며 RFC에서 공인되지 않았음. SNTP (Simple NTP) Ver4는 RFC 2030에 설명되어 있음.
MND-IETF RFC 4334 Certificate Extensions and Attributes Supporting Authentication in Point-to-Point (PPP) and Wireless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334.txt.pdf 본 표준은 무선랜 시스템 서비스 식별자(SSID)를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EAP 확장 키 사용목적 값과 공개키 인증서 확장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338 Transmission of IPv6, IPv4 and Address Resolution Protocol(ARP) Packets  Over Fibre Channel, January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www.rfc-editor.org/info/rfc4338 본 표준은 IPv6, IPv4의 캡슐화, 파이버 채널을 통한 ARP 방법을 지정하는 규격으로 IPv6 규격 중 기본 규격의 일종임.
MND-IETF RFC 4380 Teredo: Tunneling IPv6 over UDP through Network Address Translations (NATs), February 2006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4380 본 표준은 Neighbor Discovery Protocol (NDP)에 대한 위험 요소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표준이다.
MND-IETF RFC 4389 Neighbor Discovery Proxies (ND Proxy), April 2006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4389 본 표준은 하부 네트워크 계층의 도움을 받아 단일 서브넷 번호를 사용하여 다중 링크를 하나의 엔티티로 브릿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선택적 표준이다.
MND-IETF RFC 4443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v6) for th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Specification, DITA 2024 v1 ICM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443 본 표준은 ICMPv6에 사용되는 control message에 대해 format을 기술한다. ICMPv6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서 사용되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다.
MND-IETF RFC 4470 Minimally Covering NSEC Records and DNSSEC On-line Signing, April 2006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470.txt.pdf 본 표준은 DNS 보안 확장에서 DNS에 대한 근원지 인증을 제공하는 리소스 레코드를 다루고 있으며, 또한 공개키(DNSKEY), 위임 서명자(DS), 리소스 레코드 디지털 서명 (RRSIG) 등에 대하여 정의한다.
MND-IETF RFC 4491 Using the GOSTR 34.10-94, GOSTR 34.10-2001,and GOSTR 34.11-94 Algorithms with the Internet X.509 Pub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491.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X.509 PKI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과 공개키에 대한 알고리즘 식별자와 ASN.1 인코딩 형식을 기술한다.
MND-IETF RFC 4502 Remote Network Moni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Base Version 2, May 2006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502 Remote Network Moni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Base Version 2, using SMIv2는 TCP/IP 기반의 인터넷에서 망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MIB를 정의함. 특히, 리모트 네트워크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위한 객체를 정의함
MND-IETF RFC 4510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 Technical Specification Road Map DITA 2024 v1 LDA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510.txt.pdf 본 표준은 X.500 DAP (Directory Access Protocol)으로의 자원 요청없이 X.500 모델들을 지원하는 디텍토리 접근 제공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511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LDAP) : The Protocol DITA 2024 v1 LDA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511.txt.pdf 본 표준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v3를 정의하는 표준으로서, X.500 DAP (Directory Access Protocol)으로의 자원 요청없이 X.500 모델들을 지원하는 디텍토리 접근 제공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523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 Schema Definitions for X.509 Certificates, June 2006 DITA 2024 v1 LDA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523.txt.pdf 본 표준은 X.500문서, 특히 디렉토리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문서에서 ISO 및 ITU-T위원회가 정의한 특성 종류와 개체 클래스의 개요를 제공한다.
MND-IETF RFC 4566 SDP: Session Deion Protocol, July 2006 DITA 2024 v1 SD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rfc4566.txt 본 표준은 멀티미디어 세션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session announcement, session invitation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세션 초기화를 위해 사용함.
MND-IETF RFC 4680 TLS Handshake Message for Supplemental Data, October 2006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680.txt.pdf 본 표준은 전송계층보안(TLS) 프로토콜에서 데이터가 교환되기 이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상호 인증하고, 암호화 알고리즘 및 암호 키를 결정하게 하는 표준이다.
MND-IETF RFC 4681 TLS User Mapping Extension, October 2006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681.txt.pdf 본 표준은 RFC 4680에서 정의된 보충 데이터 핸드 셰이크 메시지에서 일반적인 사용자 매핑 힌트를 클라이언트에서 보낼 수 있도록 TLS 확장을 지정한다.
MND-IETF RFC 4738 MIKEY-RSA-R: An Additional Mode of Key Distribution in Multimedia Internet KEYing (MIKEY), November  DITA 2024 v1 S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738.txt.pdf 본 표준은 MIKEY의 그룹키 관리 및 분배를 위한 추가 모드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750 OSPF Version 2 Management Information Base, December 2006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750 OSPF(최단경로 우선 프로토콜) Version 2 MIB 표준.
MND-IETF RFC 4760 Multiprotocol Extensions for BGP-4, January 2007 DITA 2024 v1 BG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760 본 표준은 IPv4만을 지원하던 BGP-4 표준에 IPv6와 IPX와 같이 다중의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BGP-4의 확장에 대한 동작을 정의한 문서임
MND-IETF RFC 4765 The Intrusion Detection Message Exchange Format DITA 2024 v1 침해대응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765.txt.pdf 본 표준은 침입탐지 및 대응 시스템간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자료 형식을 정의한다.
MND-IETF RFC 4767 The Intrusion Detection Exchange Protocol (IDXP), March 2007 DITA 2024 v1 침해대응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4767.txt.pdf 본 표준은 Block Extensible Exchange protocol(BEEP)프로파일을 설명한 표준이다.
MND-IETF RFC 4861 Neighbor Discovery for IP version 6 (IPv6), September 2007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861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은 IPv6에서 사용하는 Protocol Suite로서 Link Layer에서 동작됨. Link상에 Node를 찾고, Link상의 Address를 할당하며. 가용한 Router를 찾고, 연결 가능한 path의 정보를 관리함
MND-IETF RFC 4862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862 IPv6 주소 생성 방법으로, 수동 생성(Manual Configuration), 주소 할당에 의한 자동 생성(Stateful Address Autoconfiguration) 그리고 임의의 자동 생성(Stateless Autoconfiguration)방법 중의 하나로 IPv6의 Stateless Autoconfiguration은 네트워크에 할당된 64bit Prefix와 인터페이스의 Interface ID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MND-IETF RFC 4904 Representing Trunk Groups in tel/sip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s), June 2007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4904 본 기술은 SIP와 &#39tel&#39 URIs에 전송 트렁크 그룹 파라미터의 표준화 메커니즘을 기술
MND-IETF RFC 4960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eptember 2007 DITA 2024 v1 SC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rfc4960.txt 본 표준은 TCP 및 UDP 에 이은 제 3의 차세대 전송계층용 프로토콜인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정의하고 있다. 전송계층에서 동작하며 UDP의 메시지 지향 특성과 TCP의 연결지향 및 신뢰 전송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등 TCP와 UDP의 장점을 살리도록 정의되어 있다.
MND-IETF RFC 5036 LDP Specification, October 2007 DITA 2024 v1 MP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036 본 표준은 MPLS에서 레이블을 분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LDP에 대한 내용을 정의함. LDP는 MPLS에서 하나의 레이블 교환 라우터가 다른 라우터에게 패킷을 포워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레이블에 관한 다양한 절차들을 포함.
MND-IETF RFC 5072 IP Version 6 over PPP, September 2007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5072 Point-to-Point Protocol(PPP)은 Point-to-Point 링크 상에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IPv6)을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MND-IETF RFC 5168 XML Schema for Media Control, March 2008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168 미디어제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Schema를 통해 동영상을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정의되었다.
MND-IETF RFC 5246 The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Protocol Version 1.2, August 2008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246.txt.pdf 본 표준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 v1.2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247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Key Management Framework, August 2008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247.txt.pdf 본 표준은 휴대 인터넷 망 접속 인증을 위해 EAP 기반 인증 방식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28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Profile,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280.txt.pdf 본 표준은 전자서명체계에서 공인인증기관이 제공하는 PKI간 인증서비스의 상호연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개키 기반 인증서 및 인증서 폐지 목록 프로파일을 규정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282 Using Authenticated Encryption Algorithms with the Encrypted Payload of the Internet Key Exchange ve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282.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환경내 SA(Security Association) 및 암호 키 수립을 위하여 필요한 보안 개념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321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October 2008 DITA 2024 v1 SM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321 SMTP(단순우편전송규약)으로 전자우편을 보내고 받는데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임.
MND-IETF RFC 5322 Internet Message Format, October 2008 DITA 2024 v1 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322 전자우편을 위한 Framework 범위내에서의 인터넷 Text Message를 위한 표준임.
MND-IETF RFC 5340 OSPF for IPv6, July 2008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340 본 표준은 IPv6 네트워크상에서 OSPF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데 관련되는 수정사항에 대한 문서이다.
MND-IETF RFC 5480 Elliptic Curve Cryptography Subject Public Key Information, March 2009 DITA 2024 v1 암호화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480.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X.509 PKI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과 공개키에 대한 알고리즘 식별자와 ASN.1 인코딩 형식을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554 Clarifications and Extensions to the Generic Security Servic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GSS-API DITA 2024 v1 보안서비스 인터페이스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554.txt.pdf 본 표준은 GSS-API의 채널 바인딩 기능을 명확히하고 일반화하며, 향후 GSS-API 매커니즘 및 GSS-API의 프로그래밍 언어 바인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제시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652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September 2009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652.txt.pdf 본 표준은 암호학적인 메시지 구문(CMS : Cryptographic Message Syntax)을 정의하고 있으며, 전자서명, 다이제스트, 인증, 임의의 메시지 콘텐츠 암호화에 활용한다.
MND-IETF RFC 5681 TCP Congestion Control, September 2009 DITA 2024 v1 T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68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정체(Congestion control) 프로토콜 표준임.
MND-IETF RFC 5746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Renegotiation Indication Extension, February 2010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746.txt.pdf 본 표준은 전송계층보안(TLS) 프로토콜에서의 암호화 확장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755 An Internet Attribute Certificate Profile for Authorization, January 2010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755.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X.509 속성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속성인증서는 상호호환 목표라는 넓은 영역을 아우르면서 넓은 범위의 응용과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MND-IETF RFC 5758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Additional Algorithms and Identifiers for DSA and ECDSA, J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758.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X.509 PKI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과 공개키에 대한 알고리즘 식별자와 ASN.1 인코딩 형식을 기술한다.
MND-IETF RFC 5761 Multiplexing RTP Data and Control Packets on a Single Port, April 2010 DITA 2024 v1 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761 최소한의 제어로 오디오와 비디오 다중회의를 위한 RTPv2와 RTCP 프로파일 규격
MND-IETF RFC 5785 Defining Well-Known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s), April 2010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785.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상에서 자원(사물)의 고유한 위치를 정의하는 URI의 잘 알려진 위치에 대한 HTTP(S)의 URI 경로 접두사을 정의한다.
MND-IETF RFC 5798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VRRP) Version 3 for IPv4 and IPv6, March 2010 DITA 2024 v1 VRR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798 본 표준은 하나의 subnet에서 몇 개의 라우터들이 같은 가상 IP 주소를 쓸 수 있게 하는 VRRP에 대해서 정의하고 있다. VRRP는 여러대의 스위치를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부여해 마스터로 지정된 스위치 장애시 VRRP 그룹 내의 백업 스위치가 마스터로 자동 전환되는 프로토콜로 정의하고 있다.
MND-IETF RFC 5816 ESS CertIDv2 Update for RFC 3161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816.txt.pdf 본 표준은 타임 스탬프 기구(Time Stamoing Authority, TSA)에 전송하는 요청의 형식과 리턴되는 응답의 형식을 기술한 표준이다.
MND-IETF RFC 5905 Network Time Protocol Version 4: Protocol and Algorithms Specification, June 2010 DITA 2024 v1 N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5905 NTP(Network Time Protocol)는 IP 네트워크상에서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해 시간을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본 표준은 Version 4에 관한 내용임
MND-IETF RFC 5944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Revised, November 2010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IPv4를 위한 Mobile IP의 필수기능에 대해 정의한 표준
MND-IETF RFC 5958 Asymmetric Key Packages, August 2010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5958.txt.pdf 본 표준은 공개키 알고리즘을 위한 개인키와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키 정보와 그의 암호화 메시지 구문(CMS)의 내용 형식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6014 Cryptographic Algorithm Identifier Allocation for DNSSEC, November 2010 DITA 2024 v1 DNS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014.txt.pdf 본 표준은 DNS 서비스에서 데이터 출처 인증 및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기 한 DNS 보안 확장(DNSSEC)에 대한 소개 및 고려사항을 정의한다.
MND-IETF RFC 6040 Tunnelling of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November 2010 DITA 2024 v1 IPSec,USMTF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040.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보안구조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6066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Extensions : Extension Difinitions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066.txt.pdf 본 표준은 TLS에 대한 확장을 정의하고 있으며, TLS 확장에서의 server_name, max_fragment length, client_certificate_url, trusted_ca_keys,truncated_hmac, 그리고 status_request를 명시한다.
MND-IETF RFC 6086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INFO Method and Package Framework, January 2011 DITA 2024 v1 SIP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2976 SIP 세션 생성 후 세션 관련 응용 레벨의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INFO 메쏘드를 정의하고 있음.
MND-IETF RFC 617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 Certificate Image, May 2011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170.txt.pdf 본 표준은 공개키 인증서와 속성 인증서에서 공인 인증서 마크와 같은 로고유형을 정의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증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서 확장 필드를 기술한다.
MND-IETF RFC 6176 Prohibiting Secure Sockets Layer (SSL) Version 2.0, March 2011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176.txt.pdf 본 표준은 전송계층보안(TLS)프로토콜의 버전 1.0을 명시한 표준이다.
MND-IETF RFC 6266 Use of the Content-Disposition Header Field in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June 2011 DITA 2024 v1 TL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266.txt.pdf 본 표준은 기존 TCP 연결에서 TLS를 초기화하기 위해 HTTP/1.1에서의 업그레이드 메커니즘 사용 방법을 명세한다.
MND-IETF RFC 6309 IANA Rules for MIKEY(Multimedia Internet KEYing) DITA 2024 v1 S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309.txt.pdf 본 표준은 MIKEY를 위한 IANA 규측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MND-IETF RFC 6347 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Version 1.2 DITA 2024 v1 LDA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347.txt.pdf 본 표준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MND-IETF RFC 6407 The Group Domain of Interpretation, October 2011 DITA 2024 v1 M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407.txt.pdf 본 표준은 그룹 통신 및 멀티캐스트 통신상에서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한 보안 정책 및 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 키 관리 시스템에서의 ISAMKP(Internet Security Association and Key Management Protocol) DOI(Domain of Interpretation)를 정의한다.
MND-IETF RFC 6434 IPv6 Node Requirements, Dec. 2011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6434 본 표준은 IPv6 호스트와 라우터들로부터 요구되는 공통 기능을 정의하는 것이다.
MND-IETF RFC 6455 The WebSocket Protocol DITA 2024 v1 WebSocket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8446.txt.pdf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전송제어프로토콜 연결 한 개만 생성하여 전이중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임
MND-IETF RFC 6522 The Multipart/Report Media Type for the Reporting of Mail System Administrative Messages, January 20 DITA 2024 v1 MIME 필수(Mandated) IETF   MIME 콘텐츠, 확장 상태 코드 목록, 전송 결과에 대한 멀티 컨테이너,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실패 결과 요약을 제공하는 SMTP 확장 기능을 기술하는 표준
MND-IETF RFC 6712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HTTP Transfer for the Certificate Management Protocol (CMP)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712.txt.pdf 본 표준은 CMP(Certificate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상에서 HTTP기반 CMP메시지 전달을 위한 세부 항목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6733 Diameter Base Protocol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733.txt.pdf 본 표준은 Diameter의 적용방법과 새로운 Diameter 명령어를 설명한 표준으로, 하부 전송계층과 연동하여 각 Diameter 노드간의 전송계층 연결을 설정, 해지 및 관리하고 상위 응용계층들이 안전하게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MND-IETF RFC 6818 Updates to the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ertificate Revocation List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818.txt.pdf 본 표준은 공인인증서 사용을 위한 표준으로, 자기서명 인증서(self-signed certificates)와 신뢰 앵커 및 보안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표준이다.
MND-IETF RFC 6904 Encryption of Header Extensions in the 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SRTP), April 2013 DITA 2024 v1 SR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904.txt.pdf 본 표준은 안전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SRTP)의 확장판으로서 SRTP 내 RTP 헤더에 대한 기밀성이 요구될 때 선택적인 암호화 방법을 정의한다.
MND-IETF RFC 6933 Entity MIB (Version 4) DITA 2024 v1 MIB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6933 본 표준은 인터넷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위한 관리 정보 베이스 (MIB)의 일부의 정의임
MND-IETF RFC 6960 X.509 Internet Public Key Infrastructure 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 OCSP, June 2013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6960.txt.pdf 공개키 기반구조에서 사용자와 서버간의 인증서 상태 정보를 요청 및 응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간의 통신 구문을 정의
MND-IETF RFC 7057 Update to the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Applicability Statement for Application Bridg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7057.txt.pdf 본 표준은 제휴사 접근 진화형 웹(Federated Access Beyond Web)에서 연결성 응용에 EA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확장판 표준이다.
MND-IETF RFC 7230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Message Syntax and Routing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0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전반적인 HTTP 구조와 관련된 메시지 구문(Start Line, Header Field, Message Body), Transfer coding 방안, 메시지 라우팅, 연결 설정/Persistence/Concurrency 방안, 그리고 보안 고려 사항들을 포함함
MND-IETF RFC 7231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Semantics and Content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1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HTTP 메시지의 필드 상세 의미, 내용 그리고 content 협상 절차를 정의함
MND-IETF RFC 723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Conditional Request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2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HTTP cache update에 효율적인 HTTP/1.1 조건부 요청에 관한 요청 헤더 및 응답 구성 등을 정의함
MND-IETF RFC 7233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Range Request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3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range request와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고 조합하는 법칙을 정의함
MND-IETF RFC 7234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Caching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4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HTTP cache 동작의 개요 및 cache의 행동을 제어하고 cacheable 응답 메시지를 지시하는 관련 헤더 필드를 정의함
MND-IETF RFC 7235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Authentication DITA 2024 v1 HTT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235 HTTP는 웹브라우저 같은 user agent(client)와 웹 사이트(서버) 간 resource를 요청하고 제공하도록 해주는 필수 프로토콜이며, 본 표준은 HTTP 인증 프레임워크를 정의함
MND-IETF RFC 7292 PKCS #12: Personal Information Exchange Syntax v1.1, July 2014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https://www.rfc-editor.org/rfc/pdfrfc/rfc7292.txt.pdf RSA사가 개발한 암호작성 표준으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키, 인증서 등)를 전달하거나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
MND-IETF RFC 7296 Internet Key Exchange Protocol Version 2 (IKEv2) DITA 2024 v1 IPSec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7296.txt.pdf 본 표준은 인터넷상에서 암호화 키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표준으로 RFC 5996 표준을 개정한 표준이다.
MND-IETF RFC 791 Internet Protocol, September 1981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91 본 표준은 패킷교환방식으로 네트워크상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정의한다.
MND-IETF RFC 792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September 1981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92 본 표준은 ICMP에 사용되는 control message에 대해 format을 기술한다. ICMP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에서 사용되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다.
MND-IETF RFC 8018 PKCS #5: Password-Based Cryptography Specification Version 2.1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https://datatracker.ietf.org/doc/rfc8018/ 본 표준은 비밀번호에 기반한 암호 시스템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설명하고 있는 표준이다.
MND-IETF RFC 8200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Specification, July 2017 DITA 2024 v1 IPv6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460 IPv6는 기존의 IPv4 (RFC-791)의 후속 버젼으로 발표된 규격으로 IPv6 기술적용을 위한 기본 표준임.
MND-IETF RFC 8201 Path MTU Discovery for IP version 6, July 2017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1981 IPv6를 위한 경로 최대 패킷 사이즈(MTU) 문제를 해결하는 표준임.
MND-IETF RFC 8415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for IPv6 (DHCPv6), November 2018 DITA 2024 v1 DHCP 미래(Emerging) IETF   IPv6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 프리픽스, 설정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MND-IETF RFC 8446 The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Protocol Version 1.3, August 2018 DITA 2024 v1 TLS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rfc/pdfrfc/rfc8446.txt.pdf 본 표준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 v1.3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ETF RFC 8504 IPv6 Node Requirements, January 2019 DITA 2024 v1 IPv6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8504 본 표준은 IPv6 호스트와 라우터들로부터 요구되는 공통 기능을 정의하는 것이다.
MND-IETF RFC 8615 Well-Known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s), May 2019 DITA 2024 v1 TLS 미래(Emerging) IETF www.rfc-editor.org/info/rfc8615 본 표준은 인터넷 상에서 자원(사물)의 고유한 위치를 정의하는 URI의 잘 알려진 위치에 대한 HTTP(S)의 URI 경로 접두사을 정의한다.
MND-IETF RFC 8866 SDP: Session Deion Protocol, January 2021 DITA 2024 v1 SDP 미래(Emerging) IETF   멀티미디어 세션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session announcement, session invitation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세션 초기화 지원
MND-IETF RFC 8933 Update to the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for Algorithm Identifier Protection, October 2020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IETF   암호학적인 메시지 구문(CMS :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표준의 일부 내용을 업데이트
MND-IETF RFC 8940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Session-Id Derivation for EAP Subscriber Identity Module (E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IETF   EAP 기반 인증 방식을 정의한 MND-IETF RFC 5247 표준의 업데이트 버전
MND-IETF RFC 8945 Secret Key Transaction Authentication for DNS (TSIG), November 2020 DITA 2024 v1 DNS 보안 미래(Emerging) IETF   DNS에서 비밀 공유 및 단방향 해쉬를 사용한 트랜잭션 레벨 인증 프로토콜
MND-IETF RFC 8954 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OCSP) Nonce Extension, November 2020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ETF   MND-IETF RFC 6960 표준에서 Nonce 확장에서의 길이 제한사항을 업데이트한 내용임
MND-IETF RFC 9110 HTTP Semantics, June 2022 DITA 2024 v1 HTTP 미래(Emerging) IETF   인터넷 웹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의 전체적인 아키텍처와 관련 용어들, 그리고 다양한 버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어 기능을 정의하고 있는 표준
MND-IETF RFC 9111 HTTP Caching DITA 2024 v1 HTTP 미래(Emerging) IETF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분산된 협업 하이퍼텍스트 정보 시스템을 위한 상태 비저장 애플리케이션 수준 프로토콜로 캐시 동작을 제어하거나 캐시 가능한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HTTP 캐시 및 관련 헤더 필드를 정의함
MND-IETF RFC 9112 HTTP/1.1 DITA 2024 v1 HTTP 미래(Emerging) IETF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분산된 협업 하이퍼텍스트 정보 시스템을 위한 상태 비저장 애플리케이션 수준 프로토콜로 HTTP/1.1 메시지 구문, 메시지 구문 분석, 연결 관리 및 관련 보안 문제를 지정함
MND-IETF RFC 9147 The 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DTLS) Protocol Version 1.3, April 2022 DITA 2024 v1 LDAP 미래(Emerging) IETF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DTLS v1.3을 정의
MND-IETF RFC 9260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June 2022 DITA 2024 v1 SCTP 미래(Emerging) IETF   IP망에서 VoIP 시그널링 트래픽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표준
MND-IETF RFC 9293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August 2022 DITA 2024 v1 TCP 미래(Emerging) IETF   네트워크 상의 End Node간 논리적 연결 및 전송을 위한 Transport 계층 Protocol의 한 종류로 신뢰성,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하여 정의된 TCP 표준
MND-IETF RFC 951 Bootstrap Protocol (BOOTP), September 1985 DITA 2024 v1 BOOTP 사양(Retir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951 BOOTP (Bootstrap Protocol)  초기 적재 통신 규약 BOOTP는 네트웍 사용자가 자동으로 구성되고(IP 주소를 받게), 사용자의 간여 없이도 부트되는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MND-IETF RFCs 2045-2049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MIME) Parts 1-5, November 1996 DITA 2024 v1 MIME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045 본 표준은 RFC 2045(인터넷 본문 형식인), RFC 2046 (Media 유형), RFC 2047 (Non-ASCII 텍스트에 대한 Message Header Extensions), RFC 2048 및 2049에 기술되어 있는 Message 암호화(encoding) 프로토콜임.
MND-IETF Standard 13/RFC 1034/RFC 1035 Domain Name System, November 1987 DITA 2024 v1 DNS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034 DNS는 인터넷 도메인 이름들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IP 주소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이다. 도메인 이름은 인터넷 주소로서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고, 의미 있게 붙인 이름이지만, 인터넷에서 어떤 컴퓨터를 실제로 찾기 위해서는 숫자 체계로 된 IP 주소가 필요하다.
MND-IETF Standard 37/RFC 826 An Ethernet Address Resolution Protocol, November 1982 DITA 2024 v1 AR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826 Ethernet ARP 는 3계층 프로토콜 스텍에 속하는 표준으로 3계층의 패킷을 2계층의 프레임으로 캡슐화하기 위해 Ethernet의 Header부분에 들어갈 MAC주소를 IP주소에서 찾아주는 규약이다.
MND-IETF Standard 41/RFC 894 A Standard for the Transmission of IP Datagrams over Ethernet Networks, April 1984 DITA 2024 v1 IPv4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894 본 표준은 10Gb/s Serial PHY를 위한 이더넷 백플레인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Gb/s, 10Gb/s 에서 전기적 백플레인에 대하여 IEEE802.3 프레임의 변경을 지원하는 새로운 물리계층을 정의한다.
MND-IETF Standard 51/RFC 1661/RFC 1662 The Point-to-Point Protocol (PPP), July 1994 DITA 2024 v1 PP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1661 본 표준은 IPv4와 IPv6의 전이중(full duplex), 동기 혹은 비동기,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위한 필수 표준이다.
MND-IETF Standard 54/RFC 2328 OSPF Version 2, April 1998 DITA 2024 v1 OSPF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2328 자율(autunomous) 시스템내의 경로(route)는 IGP(Interior Gateway Protocol)에 의해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지역 경로(local route)로 간주됨. 다음의 표준은 IPv4 유니캐스트(unicast)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을 위한 필수 표준임.
MND-IETF Standard 6/RFC 768 User Datagram Protocol, August 1980 DITA 2024 v1 UD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68 본 표준은 UDP유디피는 IP를 사용하는 네트웍 내에서 컴퓨터들 간에 메시지들이 교환될 때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ND-IETF Standard 7/RFC 793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eptember 1981 DITA 2024 v1 TCP 필수(Mandated) IETF www.rfc-editor.org/info/rfc793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로 이것은 메시지들이 각단의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교환되는 시간동안 연결이 확립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TCP는 IP가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여러 개의 패킷들로 확실히 나누고, 반대편에서는 완전한 메시지로 패킷들을 재조립할 책임이 있다. OSI 통신모델에서, TCP는 4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 속한다. 공식적인 TCP는 IETF의 RFC 793에 있다.
MND-IS-GPS-200D Navstar GPS Space Segment/Navigation User Interface, Revision D, 7 December 2004 DITA 2024 v1 GPS Message 필수(Mandated) U.S. www.gps.gov/technical/icwg 본 표준은 미국 공군의 위성 GPS 네트워크인 NAVSTAR GPS에서 우주부분과 내비게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필수 표준임.
MND-ISO 12234-1:2001 Electronic still-picture imaging - Removable memory -- Part 1: Basic removable-memory module DITA 2024 v1 영상압축,정지영상압축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2294 본 표준은 디지털 정지영상 - 이동식 메모리의 파일 규격인 TIFF/EP 영상 데이터 포멧에 대한 기술 규격을 정의함.
MND-ISO 12234-2:2001 Electronic still-picture imaging -- Removable memory -- Part 2:TIFF/EP image data format, 2001-10-25 DITA 2024 v1 영상압축,정지영상압축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9377 본 표준은 디지털 정지영상 - 이동식 메모리의 파일 규격인 TIFF/EP 영상 데이터 포멧에 대한 기술 규격을 정의함.
MND-ISO 14496-1:2004 Info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1: Systems, 2004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8559 본 표준은 낮은 전송률 및 제한된 컴퓨팅 파워상의 응용을 위한 방송 및 저장을 목적 으로 하는 고품질 디지털 상 및 음성 압축 기술과 압축된 데이터의 전송 및 저장을 위한 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 기술을 정의한다.
MND-ISO 19107:2003 Geographic information - Spatial schema, 08 May 2003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6012 이 규격은 지리ㆍ지형 지물의 공간 특성을 기술하는 개념 스키마 및 이와 일치하는 일련의 공간 연산을 명시함.
MND-ISO 19108:2002/Cor 1:2006 Geographic information - Temporal schema, 12 September 2002, with Technical Corrigendum 1, 16 Octobe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4883 이 규격은 지리 정보의 시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함.
MND-ISO 19110:2005 Geographic information - Methodology for feature cataloging, 11 February 2005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9965 본 표준은 유형의 분류를 지형지물 목록으로 편성하는 방법과 지리 데이터 집합의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법을 명시한다.
MND-ISO 19111:2007 Geographic information -- Spatial referencing by coordinates, 26 June 2007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1126 좌표에 위한 공간참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스키마를 규정함.
MND-ISO 19112:2003 Geographic information -- Spatial referencing by geographic identifiers, 21 October 2003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6017 지리식별 인자에 기초한 공간 참조의 개념적 스키마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19123:2005 Geographic information - Schema for coverage geometry and functions, August 31, 2005 DITA 2024 v1 지리정보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0121 본 표준은 커버리지(coverage)의 공간 특징에 대한 개념스키마를 규정한다.
MND-ISO 19136:2007 Geographic information -- Geography Markup Language, 2007-08-23 DITA 2024 v1 GM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2554 지리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ISO에서 개발한 Geography Markup Language임 .
MND-ISO 23950:1998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Information retrieval (Z39.50) -- Application service and definitio DITA 2024 v1 Z39.50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7446 인터넷 상에서 정보검색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사용자가 검색하고 식별해낸 레코드를 추출, 용어 목록 스캔, 결과 집합의 정렬을 위한 프로시저와 구조를 명시한 것으로 접근 제어, 자원 관리,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함.
MND-ISO 3166-1:2006/Cor 1:2007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s,  DITA 2024 v1 지역표현코드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6123 본 표준은 각 국가에 대한 국가명을 코드로 표기하는 기술 규격을 정의한다.
MND-ISO 32000-1:2008 Document management -- Portable document format -- Part 1: PDF 1.7, 2008-07-01 DITA 2024 v1 PDF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1502 전자문서 파일 표준 포맷으로 정보교환을 위한 전자문서로 광범위하게 활용가능함.
MND-ISO 639-2:1998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 -- Part 2: Alpha-3 code, 1998 DITA 2024 v1 언어명표현코드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767 본 표준은 세계 각 언어에 대한 언어명을 코드로 표시하는 기술 규격을 정의한다.
MND-ISO 8601-1:2019 Date and time - Representations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Part 1: Basic rules DITA 2024 v1 날짜/시간 표현 필수(Mandated) ISO(   본 표준은 정보 체계간 데이터 교환의 활성화를 위한 날짜 표현 방법을 제공함
MND-ISO 8601-2:2019 Date and time - Representations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Part 2: Extensions DITA 2024 v1 날짜/시간 표현 필수(Mandated) ISO(   본 표준은 정보 체계간 데이터 교환의 활성화를 위한 날짜 표현 방법을 제공함
MND-ISO 8601:2004 Data elements and interchange formats -- Information interchange --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 DITA 2024 v1 날짜/시간 표현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0874 본 표준은 정보 체계간 데이터 교환의 활성화를 위한 날짜 표현 방법을 제공한다.
MND-ISO 9735-1: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aration, commerce and transport(EDIFACT)-Application level s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2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9735-2: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3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9735-3: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4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ltbr type=&quot_moz&quot /&gt
MND-ISO 9735-4: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5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ltbr type=&quot_moz&quot /&gt
MND-ISO 9735-5: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6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9735-6: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7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9735-7: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8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 9735-8:2002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EDIFACT) -- Application leve DITA 2024 v1 EDIFACT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39 본 표준은 행정, 상업 및 운송 분야에서 당사자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 문서의 작성에 관한 구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함.
MND-ISO/IEC 10646:2012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UCS) DITA 2024 v1 Unicode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56921 본 표준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현대 언어로 작성된 텍스트에 대해 상호교환, 처리, 및 표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10,181개의 개별 코드문자로 세계 주요 언어로 작성된 자들과 고문서(古文書)까지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유니코드에 대한 기술 규격을 정의함.
MND-ISO/IEC 11172-1:1993 Info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for digital  storage media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19180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영상 압축과 코드 표현을 통해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표준이다.
MND-ISO/IEC 11179-1:2004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1: Framework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5343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1179-2:2005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2: Classification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345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1179-3:2003/Cor 1:2004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3: Registry metamodel and basic attribu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9488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1179-4:2004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4: Formulation of data definitions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346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1179-5:2005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5: Naming and identification principles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5347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1179-6:2005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6: Registration DITA 2024 v1 MDR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5348 본 표준은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본 틀로써 메타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모델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6개 부분(Parts)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ISO/IEC 12087-5:1998/Cor 1:2001, Cor 2:2002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 Image Processing and Interchange DITA 2024 v1 BIIF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7853 이미지 및 다른 형태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래퍼(wrapper)는 군사 및 정보 기관에 상호 운용성을 제공한다. 이 포맷은 한 개의 파일에 있는 999개 이미지 및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예로 래스터 이미지에 레이어된 텍스트와 그래픽을 들 수 있다.
MND-ISO/IEC 13249-1:2007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 -- SQL multimedia and application packages -- Part 1: Fr DITA 2024 v1 SQL MM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8649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멀티미디어 및 다른 주제 영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작되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에 공통적인 일반적 데이터 타입의 패키지를 정의함.
MND-ISO/IEC 13249-2:2003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multimedia and application packages -- Part 2: F DITA 2024 v1 SQL MM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1368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멀티미디어 및 다른 주제 영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작되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에 공통적인 일반적 데이터 타입의 패키지를 정의함.
MND-ISO/IEC 13249-3: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multimedia and application packages -- Part 3: S DITA 2024 v1 SQL MM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53698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멀티미디어 및 다른 주제 영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작되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에 공통적인 일반적 데이터 타입의 패키지를 정의함.
MND-ISO/IEC 13249-5:2003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multimedia and application packages -- Part 5: S DITA 2024 v1 SQL MM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5044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멀티미디어 및 다른 주제 영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작되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에 공통적인 일반적 데이터 타입의 패키지를 정의함.
MND-ISO/IEC 13249-6:2006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multimedia and application packages -- Part 6: D DITA 2024 v1 SQL MM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8648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멀티미디어 및 다른 주제 영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작되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에 공통적인 일반적 데이터 타입의 패키지를 정의함.
MND-ISO/IEC 13818-1:2007/Cor 1:2008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System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6284 본 표준은 Moving Pictures Experts Group(MPEG)에 의해 개발되었다. MPEG 표준은 비디오 그리고 오디오 압축을 목적으로 한다. MPEG는 교환에 사용될 수 있는 압축 동영상 파일을 제공한다.
MND-ISO/IEC 13818-2:2000 audio information, Part 2:  Video, 2000 (also known as MPEG-2 Video)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1539 본 표준은 디지털 위성방송, 디지털 유선방송, 고화질 TV방송, DVD 비디오 등의 컴퓨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쓰임.
MND-ISO/IEC 13818-3:1998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 Part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6797 본 표준은 MPEG-2에서 오디오 신호의 개념적인 압축코덱, MPEG-1(MP3)에 여러채널을 쓸 수 있게 확장을 정의한 표준임.
MND-ISO/IEC 14492:2001 Information technology -- Lossy/lossless coding of bi-level images, 2001-12-13 DITA 2024 v1 영상압축,정지영상압축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2394 본 표준은 2진 영상과 문서 압축을 위한 기술 규격을 정의한다. JBIG2로도 불려지고 있다.
MND-ISO/IEC 15444-1:2004 Information technology -- JPEG 2000 image coding system: Core coding system, 2004-09-23 DITA 2024 v1 J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7674 본 표준은 bi-level, continuous-tone grey-scale, palletized colour 또는 continuous -tone colour 디지털 정지 영상에 대한 코딩을 위한 무손실 압축방법 그리고 유손실 압축방법을 정의한다.
MND-ISO/IEC 15444-2:2004 Information technology -- JPEG 2000 image coding system: Extensions, 2004-05-18 DITA 2024 v1 J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3160 본 표준은 여러 종류의 정지 영상을 단일 시스템 안에서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정지영상 압축 기술에 관한 표준 기술을 정의한다.
MND-ISO/IEC 15444-9:2005 Information technology -- JPEG 2000 image coding system: Interactivity tools, APIs and protocols, No DITA 2024 v1 JPEG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9413 본 표준은 High End 어플리케이션 및 새로운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에 없어서는 안 될 기능들을 제공하는 새로운 이미지 인코딩 표준임.
MND-ISO/IEC 15946-1:2008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Cryptographic techniques based on elliptic curves - DITA 2024 v1 암호화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4734 본 표준은 타원곡선을 기반으로 공개키 암호 기술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SO/IEC 15946-1:2016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techniques  Cryptographic techniques based on elliptic curves  Part DITA 2024 v1 암호화 필수(Mandated) ISO(   본 표준은 타원곡선을 기반으로 공개키 암호 기술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SO/IEC 15948:2004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 Portable Network Graphics (PNG): DITA 2024 v1 PNG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29581 이 규격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비손실적, 휴대적, 압축된 개개의 컴퓨터그래픽스 이미지를 위한 데이터 흐름 및 관련 파일 형식인 휴대용 네트워크 그래픽(Portable Network Graphics, PNG) 규정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음.
MND-ISO/IEC 18014-1:2008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Time-stamping services -- Part 1: Framework, 2008-0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0678 본 표준은 타임 스탬핑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MND-ISO/IEC 18014-2:2009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Time-stamping services -- Part 2: Mechanisms produc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0482 본 표준은 타임 스탬핑 서비스와 프로토콜에서 독립적인 토큰을 생산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MND-ISO/IEC 18014-3:2009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Time-stamping services -- Part 3: Mechanisms produc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ISO( https://www.iso.org/standard/50457.html 본 표준은 타임 스탬핑 서비스에서 연계된 토큰을 생산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MND-ISO/IEC 18023-1:2006 Information technology -- SEDRIS -- Part 1: Functional specification, 2006-05-19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catalogue_detail?csnumber=38442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CO(M&S Coordination Office)가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
MND-ISO/IEC 18023-2:2006 SEDRIS Abstract transmittal format(STF) -- Part 2 DITA 2024 v1 SEDRIS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9352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8023-3:2006 STF Binary Encoding -- Part 3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9412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8024-4 : 2006 Information technology -- SEDRIS language bindings -- Part 4: C, 2006-05-19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0809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8025:2005 Information technology -- Environmental Data Coding Specification (EDCS)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60505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8026:2009 Information technology -- Spatial Reference Model (SRM), 2009-07-13 DITA 2024 v1 SEDRIS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4166 지표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코드 또는 값, 공간 단위를 확인할 수 있는 지리 코드 표준임.
MND-ISO/IEC 18031 : 2005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Random bit generation, 2005-11-04 DITA 2024 v1 암호화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30816 본 표준은 암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난수 비트 발생기에 대한 개념적 모델과 용어, 블록 설정 관련 요구사항 및 시스템 요구사항 등에 대해 정의한다.
MND-ISO/IEC 18031:2011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techniques  Random bit generation, 2011-11 DITA 2024 v1 암호화 필수(Mandated) ISO(   본 표준은 암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난수 비트 발생기에 대한 개념적 모델과 용어, 블록 설정 관련 요구사항 및 시스템 요구사항 등에 대해 정의한다.
MND-ISO/IEC 18033-2:2006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Encryption algorithms -- Part 2: Asymmetric ciphers DITA 2024 v1 암호화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7971 본 표준은 데이터의 기밀성 보장을 위한 암호기술을 서술하고 있는 ISO/IEC 18033의 2부이며, 공개키 암호에 대하여 기술한다.
MND-ISO/IEC 18033-3:2010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Encryption algorithms -- Part 3: Block ciphers DITA 2024 v1 암호화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4531 본 표준은 데이터의 기밀성 보장을 위한 암호기술을 서술하고 있는 ISO/IEC 18033의 3부이며, 대칭적으로 동작하는 암호시스템인 블록 암호에 대하여 기술한다.
MND-ISO/IEC 18041-4:2007 Information techology --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5950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8042-4:2006 Information techology --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Spatial Reference Model (SRM) language DITA 2024 v1 SEDRIS 미래(Emerging)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0827 SEDRIS는 Synthetic Environment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SEDRIS 자체를 고유명사로 사용함. 이전에는 SEDRIS를 DMSO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Office) 에서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DoD M&S Coordination Office과 주관하고 있음. SEDRIS는 지형, 특성, 모델을 포함한 종
MND-ISO/IEC 19503:2005 XML Metadata Interchange (XMI) version 2.0.1 DITA 2024 v1 XMI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2622 특정 벤더의 모델링 도구나 메타데이터 저장소간에 객체 기반의 구조화된 메타데이터의 상호 교환을 가능케 하는 표준임.
MND-ISO/IEC 19775-1:2008 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Extensible 3D(X3D) -- Part 1: Archit DITA 2024 v1 X3D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4679 X3D는 인터넷 웹상에서 3차원의 가상현실을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로 본 표준에서는 X3D의 아키텍처와 코어 및 제공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사양을 제공함.
MND-ISO/IEC 19775-2:2010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Extensible 3D(X3D) -- Part 2: Scen DITA 2024 v1 X3D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ics/catalogue_detail_ics.htm?csnumber=44680 X3D는 인터넷 웹상에서 3차원의 가상현실을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로 본 표준에서는 X3D의 아키텍처와 코어 및 제공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사양을 제공함.
MND-ISO/IEC 19784-1:2006 w/Amd 1:2007 Information technology -- 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Part 1: BioAPI specificatio DITA 2024 v1 생체인식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3613 본 표준은 생체인식 기술의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생체인식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SO/IEC 19784-1:2018 Information technology  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Part 1: BioAPI specification, 2 DITA 2024 v1 생체인식 필수(Mandated) ISO(   본 표준은 생체인식 기술의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생체인식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SO/IEC 19785-1:2015 Information technology -- Common Biometric Exchange Formats Framework -- Part 1: Data element specif DITA 2024 v1 생체인식 필수(Mandated)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66179 본 표준은 Biometric Information Records(BIRs)에 대한 데이터 요소와 구조를 정의하고, CBEFF 요구사항에 따르는 표준의 적용 가능성을 위해 사용하는 도메인의 컨셉을 설명하는 표준으로 2010년판에 대한 개정 표준이다.
MND-ISO/IEC 19794-2:2011 Information technology -- Biometric data interchange formats -- Part 2: Finger minutiae data, 2011-1 DITA 2024 v1 생체인식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0864 본 표준은 생체 데이터 교환 포맷을 정의하기 위한 일반적인 관점과 요구사항들을 설명하는 표준이다.
MND-ISO/IEC 19795-1:2006 Information technology -- Biometric performance testing and reporting -- Part 1: Principles and fram DITA 2024 v1 생체인식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41447 본 표준은 성과 예측, 실행 결과 비교, 열거된 실행 요구사항에 따른 실증 등을 포함하는 목적을 위해 에러율과 처리율에 대한 생체 시스템의 성과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원칙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ISO/IEC 8632-1:1999 w/Cor 1:2006, Cor 2:2007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 Metafile for the storage and transfer of picture deio DITA 2024 v1 Metafile 사양(Retir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2378 본 규격은 KS X ISO/IEC 8632에서 정의한 화상 표현 정보의 저장과 검색 그리고 이에 적합한 파일형식을 정의함. 이 파일 형식은 구조가 다른 시스템 간 처리 능력과 설계 가 서로 다른 장치 간에 상호 호환성을 가지고 화상을 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순서적 엘리먼트의 집합으로 되어 있음. 이 화상의 서술은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음.
MND-ISO/IEC 9075-10:2008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10: Object Language Bindings (SQL/OLB),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8644 본 표준은 SQL 문장을 SQL-J로 알려진 Java 프로그램으로 임베딩하기 위한 SQL 확장자를 정의한다. 또한 임베딩의 구문 및 의미와 함께 SQL-J 어플리케이션의 이진 이식성을 보장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정의
MND-ISO/IEC 9075-11: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11: Information and Definition Schemas (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3685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13:2008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13: SQL Routines and Types Using the Jav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8646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14: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14: XML-Related Specifications (SQL/XML)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3686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1: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1: Framework (SQL/Framework)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3681 이 표준은 SQL 문법을 명세하기 위해서 ISO/IEC 9075의 다른 표준에서 사용된 개념적인 프레임 워크와 구현에 의한 처리 결과에 대해서 묘사한다. 또한 이 표준은 다른 ISO/IEC 9075의 표준에 서 사용된 용어와 표기를 정의한다.
MND-ISO/IEC 9075-2: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2: Foundation (SQL/Foundation)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3682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3:2008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3: Call-Level Interface (SQL/CLI)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8641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4:201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4: Persistent Stored Modules (SQL/PSM)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3684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075-9:2008 Information technology -- Database languages -- SQL -- Part 9: Management of External Data (SQL/MED)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8643 ISO/IEC 9075의 Framework 부분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이는 Framework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기초 컨셉으로 활용됨.
MND-ISO/IEC 9579:2000 Information technology -- Remote database access for SQL with security enhancement, 2000-02-24 DITA 2024 v1 SQL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30615 SQL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원격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정보 기술에 관한 표준임.
MND-ISO/IEC 9636:1991(R1999)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 Interfacing techniques for dialogues with graphical d DITA 2024 v1 CGI 필수(Mandated) ISO( 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17450 정보 기술 - 컴퓨터 그래픽 - 그래픽 장치와의 대화(dialogue)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임.
MND-ITU-R TF.1010-1 Relativistic Effects in a Coordinate Time System in the Vicinity of the Earth, 1997-10 DITA 2024 v1 Time System 사양(Retired) ITU- www.itu.int/dms_pubrec/itu-r/rec/tf/R-REC-TF.1010-1-199710-I!!PDF-E.pdf 본 표준은 지구 근방에서의 조정 시간 시스템의 상대론적 현상에 기반하여 날짜와 시간을 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MND-ITU-R TF.460-6 Standard-frequency and time-signal emissions, 2002-02 DITA 2024 v1 표준주파수/시간신호방출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R-REC-TF.460/en 국방 체계간의 시간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본 표준은 모든 표준 주파수 및 표준 시보 송출이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를 최대한 준수할 것을 권고함. 이를 위해 본 표준은 세계시(UTC) 준수를 위한 세부 명세를 제공하며 1975년 1월 1일 이후로 모든 표준 주파수 및 표준 시보 송출이 위 사항을 따를 것을 권고함.
MND-ITU-T E.164 The international public telecommunication numbering plan, 2010-11 DITA 2024 v1 E.164 사양(Retired) ITU- www.itu.int/rec/T-REC-E.164/en eNUM Telephone NUmber Mapping 혹은 E.164 NUmber Mapping의 약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E.164를 인터넷주소체계로 변환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즉 다양한 인터넷 관련기술(VoIP, FoIP, Teleconference)을 접목시킴으로 이용자는 e메일, 홈페이지, 일반전화, 인터넷전화, 이동전화, FAX 등 다양한 서비스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인 성격의 새로운 개념의 주소체계로 볼 수 있음.
MND-ITU-T G.703 (04/2016) Physical/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hierarchical digital interfaces, 2016-04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03-201604-I/en ITU-T Recs.G.702(PDH)와 G.707(SDH)안에서 계층적 Bit Rates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서술하고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일반적 특성, Input/Output 포트의 특성, Cross-connect Points, Conductor, Screen 과 Coding Rule에 대해서 정의함.
MND-ITU-T G.7041/Y.1303 Generic framing procedure (GFP), 2008-10 DITA 2024 v1 SDH 사양(Retired) ITU- www.itu.int/rec/T-REC-G.7041/en SDH망에서 효율적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SDH의 핵심 기술
MND-ITU-T G.7041/Y.1303 (08/2016) Generic framing procedure (GFP), 2016-08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다양한 상위 계층 클라이언트 신호(IP,Ethernet,FC,FICON,ESCON,DVB,PTP,SSM 등)를 OTN, SDH/SONET 또는 PDH와 같은 회선교환 전송 네트워크 프레임으로 매핑하는 표준
MND-ITU-T G.7042/Y.1305 Link Capacity Adjustment Scheme(LCAS) for Virtual Concatenated Signals, 2006-03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042/en SDH망에서 효율적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SDH의 핵심 기술
MND-ITU-T G.707/Y.1322 Network node interface for the synchronus digital hierarchy(SDH), 2007-01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07/en SDH망에서 효율적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SDH의 핵심 기술
MND-ITU-T G.711 Pulse code modulation (PCM) of voice frequencies, 1988-11 DITA 2024 v1 음성압축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11/en ITU-T G.711은 64 kbps PCM에 의한 &ldquo음성부호화&rdquo 표준으로 PSTN 망에 기본으로 적용되는 방식임.
MND-ITU-T G.722 7 kHz audio-coding within 64 kbit/s, 1988-11 DITA 2024 v1 음성압축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22/e 본 표준은 64Kbps 적응 차분 펄스 부호 변조(ADPCM) 음성 코딩 기법을 사용하는 ITU 음성 코덱 표준임.
MND-ITU-T G.723.1 Dual rate speech coder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transmitting at 5.3 and 6.3 kbit/s, 2006-05 DITA 2024 v1 음성압축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23.1/e 본 표준은 5.3 과 6.3 kbit/s에서 멀티미어더 통신을 위한 전송을 위해 두 가지 전송 속도의 coder에 관한 권고이다.
MND-ITU-T G.729 Coding of speech at 8kbit/s using conjugate-structure algebraic-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CS-A DITA 2024 v1 음성압축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729/e 코드 여기선형예측부호화(CS-ACELP) 기법을 사용한 8kbps의 ITU 음성코덱표준임.
MND-ITU-T G.823 The control of jitter and wander  within digital networks which are based on the 2048 kbit/s hierarc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823/en 2,048kbps 속도에 기반한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지터 및 원더에 대한 제어 규격
MND-ITU-T G.921 Digital sections based on the 2048 kbit/s hierarchy, 1988-11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921/en 2.048kbps에 기초한 디지털 부문에 관한 기술 규격
MND-ITU-T G.957 Optical interfaces for equipments and systems relating to the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2006.03 DITA 2024 v1 SDH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G.957/en 본 표준은 동기식 광통신망 (Synchronous Optical Network Transmission : SONET)에서 디지털정보 광 인터페이스 명세서 임.
MND-ITU-T H.263 Video coding for low bit rate communication, 2005-01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H.263-200501-I/en 본 표준은 낮은 전송률 및 제한된 컴퓨팅 파워상의 응용을 위한 방송 및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표준 기술을 정의한다. POTS상에서 비디오 전송을 위한 새로운 비디오 코덱이다.
MND-ITU-T H.264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2010-03 DITA 2024 v1 MPEG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H.264 ITU-T와 ISO가 공동 제정한 차세대 동영상 압축 표준임.
MND-ITU-T P.800 Methods for subjective determination of transmission quality, 1996-08 DITA 2024 v1 MOS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P.800-199608-I/en 본 표준은 사용자들의 평균의견을 점수하여 Defense Switched Network(DSN)의 voice 서비스 사이에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권고안임
MND-ITU-T P.862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 objective method for end-to-end speech quality as DITA 2024 v1 PESQ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P.862 음성 품질서비스( Quality of Service:QoS) 표준은 Defense Switched Network(DSN)의 음성 서비스 사이에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함.
MND-ITU-T T.120 Data protocols for multimedia conferencing, 2007-01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0/en T.12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회의를 하기 위한 ITU 표준으로서, 여기에는 화이트보드, 응용프로그램 검색 및 공유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MND-ITU-T T.122 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 - Service definition, 1998-02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2/en 본 표준은 오디오그래픽 시청각 화상 서비스에서 다중점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정의 함
MND-ITU-T T.123 Network-specific data protocol stacks for multimedia conferencing, 2007-01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3/en 본 표준은 멀티미디어 회의를 위한 T.120 시리즈의 데이터 프로토콜 중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특성들에 관한 권고 임.
MND-ITU-T T.124 Generic Conference Control, 2007-01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4/en 본 표준은 컨퍼런스 내 멀티미디어 터미널과 다중점 제어 장치(MCUs)에 대한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상위 수준의 프레임워크를 다룬다.
MND-ITU-T T.126 Multipoint still image and annotation protocol, 2007-08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6/en 본 표준은 정지영상, 주석, 포인터 및 원격 이벤트의 다중점 교환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정지영상의 경우 하드 카피 교환과 소프트 카피 교환 모두 지원.
MND-ITU-T T.127 Multipoint binary file transfer protocol, 2007-08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7/en 본 표준은 T.120 표준이 사용되는 컨퍼런스 또는 그룹워킹 환경에서 이진 파일 데이터의 교환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정의 함.
MND-ITU-T T.128 Multipoint application sharing, 2008-06 DITA 2024 v1 T.120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T.128/en 본 표준은 T.120 표준에 대한 부가 표준으로 대화식 제어 (라우팅, 신원확인, 원격제어, 매체 선택 등) 표준이다.
MND-ITU-T X.1034 Guidelines on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in a data c DITA 2024 v1 LAN 보안 필수(Mandated) ITU- www.itu.int/net4/ITU-T/search/doa/Index/?type=General&q=X.1034 본 표준은 데이터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와 인증 서버 간에 다중 인증 메커니즘을 지원하기 위한 EAP(확장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TU-T X.411 Information technology - Message Handling Systems (MHS): Message Transfer System: Abstract Service D DITA 2024 v1 전자우편 보안 필수(Mandated) ITU- www.itu.int/net4/ITU-T/search/doa/Index/?type=General&q=X.411 본 표준은 MTS(MTS추상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추상서비스를 정의하며, 또한 MTS의 정확한 분산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 MTA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절차를 규정한 표준이다.
MND-ITU-T X.500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The Directory: Overview of concepts, models  DITA 2024 v1 X.500 필수(Mandated) ITU- www.omg.org/spec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한 전 세계의 누구라도 활용 가능한 글로벌 디렉토리에 일부가 될 수 있도록, 조직 내의 사람들을 전자적인 디렉토리로 개발하기 위한 표준 방식임.
MND-ITU-T X.509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 The Directory: Public-key and attribute cert DITA 2024 v1 X.509 사양(Retired) ITU- www.itu.int/net4/ITU-T/search/doa/Index/?type=General&q=X.509 본 표준은 CCITT의 권고안으로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X.500 시리즈 권고안의 일부분이며, X.500의 디렉토리에 의한 인증서비스의 구조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TU-T X.509 (10/2016)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The Directory: Public-key and attribute cert DITA 2024 v1 X.509 필수(Mandated) ITU- https://www.itu.int/rec/T-REC-X.509-201610-I/en 본 표준은 CCITT의 권고안으로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X.500 시리즈 권고안의 일부분이며, X.500의 디렉토리에 의한 인증서비스의 구조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TU-T X.509 (10/2019)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The Directory: Publickey and attribute certi DITA 2024 v1 X.509 미래(Emerging) ITU-   본 표준은 CCITT의 권고안으로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X.500 시리즈 권고안의 일부분이며, X.500의 디렉토리에 의한 인증서비스의 구조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ITU-T Y.1271 (07/2014) Framework(s) on network requirements and capabilities to support emergency telecommunications over e DITA 2024 v1 Emergency Telecom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Y.1271/en 긴급 상황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 요구사항 및 기능을 명세함.
MND-ITU-T Y.2112 A QoS control architecture for Ethernet-based IP access network, 2007-06 DITA 2024 v1 QoS 필수(Mandated) ITU- www.itu.int/rec/T-REC-Y.2112/en 본 표준은 Ethernet 기반의 접속망에서 QoS 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절차 즉 자원 예약, 수락제어, 게이트 제어 등 포괄적인 제어구조를 정의한다.
MND-JFIF, Version 1.02 JPEG File Interchange Format(JFIF), Version 1.02, 1 September 1992 DITA 2024 v1 JPEG 필수(Mandated) W3C( www.w3.org/Graphics/JPEG/jfif3.pdf 본 표준은 다양한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JPEG 압축 정지영상의 전송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MND-JTRS SCA version 2.2.2 SOFTWAR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SPECIFICATION, Version 2.2.2, FINAL / 15 May 2006. DITA 2024 v1 SDR 필수(Mandated) JPEO sca.jpeojtrs.mil 기존에 서로 다른 기기를 사용해야 했던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통합 수용할 수 있는 SDR 기술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MND-KCAC.TS 공인전자서명인증체계 기술규격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한국인터 www.rootca.or.kr/kor/standard/standard01A.j네 본 표준은 공인전자서명을 위한 전자서명인증체계기술규격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KCAC.TS.CERTPROF v1.70 전자서명 인증서 프로파일 규격v1.70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한국인터 www.rootca.or.kr/kcac/down/TechSpec/1.1-KCAC.TS.CERTPROF.pdf 본 표준은 전자서명인증체계에서 사용되는 X.509 v3인증서에 대한 프로파일 규격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KCAC.TS.CRLPROF v1.50 전자서명 인증서 효력정지 및 폐지목록 프로파일 규격v1.50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한국인터 www.rootca.or.kr/kcac/down/TechSpec/1.2-KCAC.TS.CRLPROF.pdf 본 표준은 전자서명인증체계에서 사용되는 인증서 효력정지 및 폐지 목록 프로파일 규격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KCAC.TS.DN v1.21 전자서명인증체계 DN 규격v1.21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한국인터 www.rootca.or.kr/kcac/down/TechSpec/1.3-KCAC.TS.DN.pdf 본 표준은 전자서명인증관리체계 공인인증기관 및 가입자 소프트웨어에서 이용자에게 호환성 있는 유무선 PKI 인증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필요한 DN의 기술적 요구사항을 명시한다.
MND-KS X 1213-1:2009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 ARIA - 제1부 : 일반 DITA 2024 v1 ARIA 사양(Retired) 한국표준 www.kssn.net/StdKS/KS_detail.asp?K1=X&K2=1213-1&K3=3 본 표준은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RIA의 1부 내용으로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MND-KS X 1213-1:2014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 ARIA  제1부: 일반 DITA 2024 v1 ARIA 필수(Mandated) 한국표준 www.kssn.net/StdKS/KS_detail.asp?K1=X&K2=1213-1&K3=3 본 표준은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RIA의 1부 내용으로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고 있으며, KS X 1213-1:2009 표준을 개정한 표준이다.
MND-KS X 1213-2:2009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 ARIA - 제2부 : 운용모드 DITA 2024 v1 ARIA 사양(Retired) 한국표준 www.kssn.net/StdKS/KS_detail.asp?K1=X&K2=1213-2&K3=2 본 표준은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RIA의 2부 내용으로 운용모드를 규정한다.
MND-KS X 1213-2:2014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 ARIA  제2부: 운영 모드 DITA 2024 v1 ARIA 필수(Mandated) 한국표준 www.kssn.net/StdKS/KS_detail.asp?K1=X&K2=1213-2&K3=2 본 표준은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RIA의 2부 내용으로 운용모드를 규정하고 있으며, KS X 1213-2:2009 표준을 개정한 표준이다.
MND-KS X ISO/IEC 19790:2015 정보기술 - 보안기술 - 암호모듈 보안 요구사항 DITA 2024 v1 암호모듈 필수(Mandated) 한국표준   본 표준은 컴퓨터와 통신시스템 내 중요 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모듈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명시한다.
MND-MIL-DTL-89045A Detail Specification, Geospatial Symbols for Digital Display (GeoSym), 15 February 2007 DITA 2024 v1 지도심볼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심볼 그래픽의 포맷과 컨텐츠를 정의하고 Digital display 제품을 위한 Geospatial Symbols 포함하는 할당 테이블을 정의할 때 적용되는 규정함.
MND-MIL-PRF-89020B Performance Specification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23 May 2000 DITA 2024 v1 DTED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디지털 지도의 육상표고 정보 운용에 적용되는 표준임.
MND-MIL-PRF-89038 CADRG(Compressed  ARC Digitized Raster Graphics) DITA 2024 v1 CADRG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라스터 기반 디지털 지도자료 형식을로 ADRG를 필터링하거나 압축하여 제작한 파일임.
MND-MIL-PRF-89041A Performance Specification, Controlled Image Base (CIB), 28 March 2000 DITA 2024 v1 CIB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정오차를 최소화한 영상자료로서 모든 지형정보의 기반이 되는 정보이며, RPF포맷을 따르는 디지털지도 표준이다.
MND-MIL-STD-1397C Input/Output Interfaces Standard Digital Data, Navy Systems, 1 June 1995 DITA 2024 v1 MIL-1397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함.
MND-MIL-STD-1553B Aircraft Internal Time Division Command/Response Multiplex Data Bus, 21 September 1978, with Notice  DITA 2024 v1 MDB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보안상 공개 불가
MND-MIL-STD-188-110B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Data Modems, 27 April 2000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MIL-STD-188-110B는 HF 무선 채널을 통해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로 39-Tone신호를 이용한 OFDM통신 기술임
MND-MIL-STD-188-110D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Data Modems, 29 December 2017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미래(Emerging) DoD(   장거리 및 전술통신 시스템의 음성 주파수(VF) 대역에서 데이터 모뎀을 위한 상호운용성 및 성능표준을 명시한 표준
MND-MIL-STD-188-141B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Medium and High Frequency Radio Systems, 1 March 1999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일반적으로 MF대역에 대한 주파수 할당 대역은 0.3MHz에서 3MHz이며, HF대역은 3MHz에서 30MHz임. 그러나 군사용으로 HF대역에서 사용되도록 고안된 장비는 전통적으로 사용 주파수 대역을 MF대역까지 확장하여 설계되어 왔으므로 HF대역의 새로운 장비에 대하여 HF대역의 표준 파라미터는 확장 커버리지로써 포함되는 MF대역의 일부에 적용될 것임. 현제 1.5MHz이하에서 사용되도록 고안된 군사용 장비는 없으며, 결론적으로 보면 HF대역의 장비의
MND-MIL-STD-188-141D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Medium and High Frequency Radio Systems, 22 December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미래(Emerging) DoD(   MF및 HF대역 무선장비에 대한 상호운용성 및 성능보장을 위한 표준
MND-MIL-STD-188-145 Interoper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Digital Line-of-Sight (LOS) Microwave Radio Equipment DITA 2024 v1 Micro-Wave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디지털 LOS 극초단파(microwave)에 대한 상호운용성과 성능에 대한 필수 표준으로, 새로운 비교적 장거리의, 전술상의 디지털 LOS 극초단파 라디오 장비 설계 목적을 위한 가이드라인임
MND-MIL-STD-188-148A Interoperability Standard for Anti-Jam Communications in the HF Band (2-30 Mhz), 18 March 1992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고주파수 라디오 장비의 잼 방지 기능을 위한 필수 표준임
MND-MIL-STD-188-164B Interoperability of SHF Satellite Communications Earth Terminals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사용자 터미널과 군사 및 상용 SHF SATCOM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접근 제어 장치에 대한 상호운용성 및 성과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표준들을 포함함
MND-MIL-STD-188-164C Interoperability of Superhigh Frequency (SHF) Satellite Communications Terminals, 16 November 2018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미래(Emerging)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사용자 터미널과 군사 및 상용 SHF SATCOM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접근 제어 장치에 대한 상호운용성 및 성과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표준들을 포함함
MND-MIL-STD-188-165A(1) Interoperability of SHF Satellite Communications PSK Modems (FDMA Operation) w/Notice of Change 1, 1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보안상 공개 불가
MND-MIL-STD-188-165B Interoperability of SHF Satellite Communications PSK Modems, March 2018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미래(Emerging)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C-band, X-band, Ka-band 및 Ku-band Transponding SATCOM Earth 터미널과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주파수분할다중접속) 모드에서 운용되는 Phase-Shift Keying (PSK,위상편이변조) 모뎀에 적용 가능한 필수 또는 부가적인 요구사항을 정의함.
MND-MIL-STD-188-198(A)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Image Compression for the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 DITA 2024 v1 NIT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JPEG2000 Codestream과 File의 Syntax와 method를 ISO/IEC 15444 정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을 정의함.
MND-MIL-STD-188-199(1) Vector Quantization Decompression for the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27 June 199 DITA 2024 v1 NIT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NITF기반 VQ 압축 파일에 대한 해제방법임.
MND-MIL-STD-188-220C DIGITAL MESSAGE TRANSFER DEVICE SUBSYSTEMS DITA 2024 v1 DMTDS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DMTD, DMTD 와 적용 가능한 C4I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과 정합을 위한 필수 시스템 표준 및 선택적인 설계에 요구되는 최소 필수 기술 변수들을 기술함.
MND-MIL-STD-188-220D(1) Department of Defense Interface Standard, Digital Message Transfer Device Subsystems, Revision D Cha DITA 2024 v1 DMTDS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고주파수(High Frequency) 네트워크를 제외한 CNR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 접근 프로토콜의 필수 표준으로 IP 패킷을 캡슐화 하고 전송하는 방법을 지정함. 이 표준은 현재 IPv6 환경에서의 운용을 위해 갱신되고 있음.
MND-MIL-STD-188-241 RF Interface Requirements for VHF Frequency Hopping Tactical Radio Systems.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Very High Frequency (VHF)의 전술적인 radio 시스템에서 frequency hopping을 위한 RF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에 관한 표준임.
MND-MIL-STD-188-242 Tactical Single Channel (VHF) Radio Equipment, 20 June 1985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초단파(VHF)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되는 라디오-subsystem을 위한 필수 표준이다.
MND-MIL-STD-188-243 Tactical Single Channel (UHF) Radio Communications, 15 March 1989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극초단파(UHF)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되는 라디오-subsystem을 위한 필수 표준임
MND-MIL-STD-188-243A Tactical Single Channel Ultra High Frequency(UHF) Radio Communications, 1 May 2014 DITA 2024 v1 전술전파비가시선통신 미래(Emerging) DoD(   전술단일채널 초고주파(UHF) 무선통신 장비에 필요한 필수 상호운용성 및 성능 요구사항 표준기술임
MND-MIL-STD-2045-44500 Department of Defense Interface Standard, Tactical Communications Protocol 2 (TACO2) for the Nationa DITA 2024 v1 NIT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국가 이미지 전송 포맷 표준 (NITFS)은 디지털 관련제품 및 디지털 영상 제품의 전송, 전장, 교환을 위한 미국 C034AEDB06F84EA5A386F8D47FCE4005(DoD)와 연방 정부 정보 사회(IC) 표준임.
MND-MIL-STD-2045-47001D(1) Department of Defense Interface Standard, Connectionless Data Transfer Application Layer Standard, R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Connectionless Data Transfer 무선 데이터 전송 응용 계층과 관련한 것으로 무선 응용체계에서 VMF(Variable Message Format)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MND-MIL-STD-2401 DoD World Geodetic System 84 (WGS84), 11 January 1994 DITA 2024 v1 WGS84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WGS84는 군사용으로 개발된 회전타원체 개념임.
MND-MIL-STD-2411(2) Raster Product Format, 6 October 1994 with Notice of Change, Notice 1, 17 January 1995, and Notice o DITA 2024 v1 RP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RPF는 압축여부와는 관련 없이, 사각형 픽셀의 행렬들로 구성된 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하며, 운용자 단말기 차이 또는 프로그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조작이나 변환과정 없이 자료를 바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함.
MND-MIL-STD-2500C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Version 2.1) for the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 DITA 2024 v1 NIT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NITF)라는 영상전송에 관한 파일 포맷을 설명함. 본 표준에서는 NITF 요구사항을 수립하고 NITF 파일 구조에 관한 상세설명을 제공하며 NITF 파일 내에서 정의된 필드에 대한 유효 데이터 내용(content) 및 포맷을 명시함.
MND-MIL-STD-2525C Common Warfighting Symbology, 17 November 2008 DITA 2024 v1 군대부호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미군의 표적처리를 위한 군대부호도시 및 운용방법에 대한 표적전시규정임.
MND-MIL-STD-3005 Analog-to-Digital Conversion of Voice by 2400 Bit/Second Mixed Excitation Linear Prediction (MELP),  DITA 2024 v1 음성압축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2.4 Kbps Mixed Excitation Linear Prediction(MELP) 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을 압축하는 보코더(Vocoder) 기술 규격을 정의한다.
MND-MIL-STD-3011 Interoperability Standard for Joint Range Extension Application Protocol (JREAP), 30 September 2002. DITA 2024 v1 JREAP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미군 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 교환 통신 규격이며, 전략 제대 간 대용량 전술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TCP/IP 및 시리얼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기존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Link-16) 및 자유전문(Free Text)등을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기술임.
MND-MIL-STD-3011A Interoperability Standard for Joint Range Extension Application Protocol (JREAP), 10 December 2010 DITA 2024 v1 JREAP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미군 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 교환 통신 규격이며, 전략 제대 간 대용량 전술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TCP/IP 및 시리얼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기존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Link-16) 및 자유전문(Free Text)등을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기술임.
MND-MIL-STD-3011B Interoperability Standard for Joint Range Extension Application Protocol (JREAP), 8 February 2013 DITA 2024 v1 JREAP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미군 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 교환 통신 규격이며, 전략 제대 간 대용량 전술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TCP/IP 및 시리얼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기존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Link-16) 및 자유전문(Free Text)등을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기술임.
MND-MIL-STD-3011C Interoperability Standard for Joint Range Extension Application Protocol (JREAP) Revision C, 10 June DITA 2024 v1 JREAP 미래(Emerging) DoD( quicksearch.dla.mil 미군 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 교환 통신 규격이며, 전략 제대 간 대용량 전술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TCP/IP 및 시리얼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기존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Link-16) 및 자유전문(Free Text)등을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기술임.
MND-MIL-STD-3022 Documentation of Verification, Validation, and Accrediation(VV&A) for Models and Simulations DITA 2024 v1 VV&A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이 표준은 국방 M&S에 대한 검증확인 및 인정 (VV&A : Verification, Validation & Accreditation)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의도된 사용 목적에 대한 적합성 판정을 위해 M&S를 인정할 때,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하고, 정보의 재사용을 촉진함으로써, VV&A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에게 문서화 작업상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문서임.
MND-MIL-STD-6011B Tactical Data Link (TDL) 11/11B Message Standard Revision B, April 30, 1999 DITA 2024 v1 LINK-11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나토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교환 포맷임
MND-MIL-STD-6011C Tactical Data Link (TDL) 11/11B Message Standard Revision C, Aug. 1, 2002 DITA 2024 v1 LINK-11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나토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교환 포맷임.
MND-MIL-STD-6011D Tactical Data Link (TDL) 11/11B Message Standard Revision D, Oct. 12, 2009 DITA 2024 v1 LINK-11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나토표준의 군사용 컴퓨터 간 자료교환 포맷임.
MND-MIL-STD-6016B Department of Defense Interface Standard, Tactical Data Link (TDL) 16 Message Standard, 1 August 200 DITA 2024 v1 LINK-16 사양(Retire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TADIL J (링크 16) 메시지 set, 최소한의 적용(minimum implementation), 데이터 전송 및 체계 적용 명세 및 공통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 : DED)을 정의함.
MND-MIL-STD-6016C Department of Defense Interface Standard, Tactical Data Link (TDL) 16 DITA 2024 v1 LINK-16 사양(Retire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TADIL J (링크 16) 메시지 set, 최소한의 적용(minimum implementation), 데이터 전송 및 체계 적용 명세 및 공통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 : DED)을 정의함.
MND-MIL-STD-6016D Tactical Data Link (TDL) 16 Message Standard Revision D DITA 2024 v1 LINK-16 사양(Retired) DoD( quicksearch.dla.mil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TDMA)을 이용하여 미군, NATO 등에서 합동 작전 및 연합 작전용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전술 데이터 링크 
MND-MIL-STD-6016E Tactical Data Link (TDL) 16 Message Standard Revision E DITA 2024 v1 LINK-16 필수(Mandate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TADIL J (링크 16) 메시지 set, 최소한의 적용(minimum implementation), 데이터 전송 및 체계 적용 명세 및 공통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 : DED)을 정의함.
MND-MIL-STD-6016F Tactical Data Link (TDL) 16 Message Standard Revision F DITA 2024 v1 LINK-16 미래(Emerging) DoD(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TADIL J (링크 16) 메시지 set, 최소한의 적용(minimum implementation), 데이터 전송 및 체계 적용 명세 및 공통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 : DED)을 정의함.
MND-MIL-STD-6017A Variable Message Format (VMF), July 2006 DITA 2024 v1 VMF 사양(Retired)   quicksearch.dla.mil 전술 통신 체계를 통한 fire-support-information, digital-entry- device 교환을 위한 표준임.
MND-MIL-STD-6017B Variable Message Format (VMF), July 2006 DITA 2024 v1 VMF 필수(Mandated)   quicksearch.dla.mil 전술 통신 체계를 통한 fire-support-information, digital-entry- device 교환을 위한 표준임.
MND-MIL-STD-6017D Variable Message Format Revision D, Feb. 28, 2017 DITA 2024 v1 VMF 미래(Emerging) DoD(   전술 통신 체계를 통한 fire-support-information, digital-entry- device 교환을 위한 표준임.
MND-MIL-STD-6020A Data Forwarding Between Tactical Data Links (TDLs), 1 May 2009 DITA 2024 v1 LINK-11/16 변환 사양(Retired)   quicksearch.dla.mil 이기종의 전술데이터링크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전술데이터링크 간 메시지 변환 및 포워딩 방식을 기술한 표준임.
MND-MIL-STD-6020B Data Forwarding Between Tactical Data Links (Tdls) - Revision B DITA 2024 v1 LINK-11/16 변환 필수(Mandated)   quicksearch.dla.mil 이기종의 전술데이터링크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전술데이터링크 간 메시지 변환 및 포워딩 방식을 기술한 표준임.
MND-MIL-STD-6020D Data Forwarding Between Tactical Data Links (TDLs) 2017 DITA 2024 v1 LINK-11/16 변환 미래(Emerging) 국방부   하나의 데이터링크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다른 형태의 데이터링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변환하여 재전송하기 위한 표준
MND-MIL-STD-6040B United States Message Text Format (USMTF), 30 April 2009 DITA 2024 v1 USMTF 필수(Mandated) DoD( quicksearch.dla.mil 미군 C4I 시스템의 정보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문자 중심의 메시지 텍스트 포맷 표준임.
MND-MIL-STD-6040B(C1) United States Message Text Format (USMTF) Revision B Change 1, Jan. 31, 2011 DITA 2024 v1 USMTF 미래(Emerging) DoD(   미군 C4I 시스템의 정보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문자 중심의 메시지 텍스트 포맷 표준임.
MND-MISP v5.4 Motion Imagery Standard Profile, Version 5.4, 3 December 2009 DITA 2024 v1 MISP 필수(Mandated) GWG( www.gwg.nga.mil/misb/docs/misp/MISP54.pdf The Motion Imagery Standards Profile (MISP)는 상용 표준에 기반을 둔 컴퍼넌트 체계간의 개연성 확보와 DoD/IC/NSGI 사용자들에게 상호운용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표준 및 사례의 집합임. 본 표준은 동영상 정보를 제작, 사용 또는 교환하는 체계의 획득을 위한 필수 표준임.
MND-NMEA 0183 v4.0 NMEA 0183 Version 4.00, November 2008 DITA 2024 v1 GPS Message 사양(Retired) NMEA www.nmea.org/content/nmea_standards/nmea_0183_v_410.asp 본 표준은 해양전자장비 상호간의 전자 신호 요구사항,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그리고 시간 등을 정의함.
MND-NMEA 0183 v4.10 NMEA 0183 Version 4.10, May 2012 DITA 2024 v1 GPS Message 필수(Mandated) NMEA www.nmea.org/content/nmea_standards/nmea_0183_v_410.asp 본 표준은 해양전자장비 상호간의 전자 신호 요구사항,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그리고 시간 등을 정의함.
MND-OASIS PKCS11 BASE v2.4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Base Specification Version 2.40 Plus Errata 01, 13 May 2016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OASI   OASIS가 발행한 암호작성 표준으로 PKCS #11 Cryptoki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유형, 기능 및 기타 기본 구성 요소를 정의
MND-OASIS PKCS11 BASE v3.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Base Specification Version 3.0, 15 June  2020 DITA 2024 v1 PKCS 미래(Emerging) OASI   OASIS가 발행한 암호작성 표준으로, 기본적인 PKCS #11 토큰(Cryptoki가 정의한 암호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및 동작을 설명
MND-OASIS PKCS11 CURR v2.4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Current Mechanisms Specification Version 2.40 Plus Errata 01,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PKCS #11 v2.40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메커니즘을 정의
MND-OASIS PKCS11 CURR v3.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Current Mechanisms Specification Version  3.0, 15 June 2020 DITA 2024 v1 PKCS 미래(Emerging)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현재 PKCS #11 버전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메커니즘(암호화 작업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을 정의
MND-OASIS PKCS11 HIST v2.4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Historical Mechanisms Specification Version 2.40 Plus Errata 0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PKCS #11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었으나, v2.40에서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메커니즘을 정의
MND-OASIS PKCS11 HIST v3.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Historical Mechanisms Specification  Version 3.0, 15 June 2020 DITA 2024 v1 PKCS 미래(Emerging)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이전 버전의 PKCS #11에서 정의되었으나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커니즘(암호화 작업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을 정의
MND-OASIS PKCS11 PROFILES v2.4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Profiles Version 2.40, 14 April 2015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암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암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용 API를 정의
MND-OASIS PKCS11 PROFILES v3.0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Profiles Version 3.0, 15 June 2020 DITA 2024 v1 PKCS 미래(Emerging) OASI   OASIS가 발행한 표준으로, PKCS #11 BASE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구현 적합성을 충족하기 위한 프로파일(PKCS#11 데이터 유형, 객체, 기능 및 메커니즘의 사용을 정의한 것)의 활용을 설명
MND-OASIS SAML 2.0 Assertions and Protocols for the OASIS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SAML) V2.0, OASIS Standar DITA 2024 v1 SAML 필수(Mandated) OASI docs.oasis-open.org/security/saml/v2.0/saml-core-2.0-os.pdf 본 표준은 통신 주체들 간에 중요 정보 및 메시지들을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XML 기반의 프레임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
MND-OASIS UDDI v3.0.2 UDDI (Universal De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Version 3.0.2, Dated 20041019 DITA 2024 v1 UDDI 필수(Mandated) OASI www.oasis-open.org/standards UDDI는 웹 서비스 운용에 필요한 기능, 서비스를 등록하는 방법, 기술에 대한 표준으로 웹 서비스, 데이터 구조, UDDI 레지스트리의 모든 사례에 대한 작용에 대해 설명함.
MND-OASIS WS-BPEL v2.0 Web Services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WSBPEL) v2.0, OASIS Standard, 11 April 2007 DITA 2024 v1 WSBPEL 사양(Retired) OASI www.oasis-open.org/standards 본 표준은 웹 서비스를 사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실행 언어로 IBM, 마이크로소프트 및 BEA가 BPEL을 처음 제안하였으며 현재는 대다수의 BPM 업체들에게 최고의 BPM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음.
MND-OASIS WS-Federation v1.2 Web Services Federation Language (WS-Federation) v1.2, May 2009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OASI docs.oasis-open.org/wsfed/federation/v1.2/cd/ws-federation-1.2-spec-cd-02.pdf 본 표준은 어느 한 영역에서 관리되는 자원에 대한 인증된 액세스는 다른 영역에서 관리되고 있는 신원이나 특성 등의 보안 원칙에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등 서로 다른 보안 영역이 연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매커니즘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OASIS WS-Reliability 1.1 WS-Reliability 1.1, OASIS Standard, 15 November 2004 DITA 2024 v1 WS-R 필수(Mandated) OASI www.oasis-open.org/standards 메시지 신뢰성 보장을 위한 SOAP 기반의 표준임.
MND-OASIS WS-SecureConversation 1.3 WS-SecureConversation 1.3, 1 March 2007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OASI docs.oasis-open.org/ws-sx/ws-secureconversation/200512/ws-secureconversation-1.3-os.pdf 본 표준은 Web Services Secure Conversation Language에서 보안 문맥을 확립하고 공유하며 보안 문맥에서 키를 도출하는 메커니즘을 정의한 표준이다.
MND-OASIS WS-Security v1.1 Web Services Security v1.1, February 2006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OASI docs.oasis-open.org/wss/v1.1/wss-v1.1-spec-os-SOAPMessageSecurity.pdf 본 표준은 무결성(Integrity)과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등을 강화하기 위한 SOAP 메시지 확장 메커니즘을 규정한 표준이다.
MND-OASIS WS-Trust 1.3 WS-Trust 1.3, 19 March 2007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사양(Retired) OASI docs.oasis-open.org/ws-sx/ws-trust/200512/ws-trust-1.3-os.pdf 본 표준은 보안 토큰의 요청 및 배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Web Service Security 상에 구축하고 브로커 신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확장영역에 대해 정의한한 표준이다.
MND-OASIS WS-Trust 1.4 WS-Trust 1.4 OASIS Standard incorporating Approved Errata 01, 25 April 2012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OASI   보안 토큰의 요청 및 배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Web Service Security 상에 구축하고 브로커 신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확장영역에 대해 정의
MND-OASIS WSDM V1.0 Web Services Distributed Management (WSDM) Version 1.0, March 2005 DITA 2024 v1 WSDM 필수(Mandated) OASI www.oasis-open.org/standards 서비스 및 플랫폼에 대한 관리 측면의 품질 표준화임.
MND-OASIS XACML v2.0 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 (XACML) Version 2.0, OASIS Standard, 1 February 2005 DITA 2024 v1 XACML 필수(Mandated) OASI docs.oasis-open.org/xacml/2.0/access_control-xacml-2.0-core-spec-os.pdf 본 표준은 통신 주체들 간에 접근제어 정책을 XML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MND-OASIS XACML v3.0 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XACML) Version 3.0, January 2013 DITA 2024 v1 XACML 미래(Emerging) OASI docs.oasis-open.org/xacml/3.0/xacml-3.0-core-spec-os-en.pdf 본 표준은 웹 서비스 접근제어 관련 표준으로, 통신 주체들 간의 접근제어 정책을 XML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정의한다.
MND-ODMG 3.0 The Object Data Standard ODMG(Object Data Management Group) 3.0, 2000 DITA 2024 v1 ODMG 필수(Mandated) ODMG www.odbms.org/2013/11/the-object-data-standard-odmg-3-0 객체 데이터 관리 그룹(ODMG)이 1993년 10월에 발표한 최초의 표준규격으로 객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OODB)가 취급하는 객체의 개념 모델을 정의한 객체 모델, 객제 정의 언어, C 바인딩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MND-OMG formal/06-01-01 Meta Object Facility (MOF) Core Specification, version 2.0 DITA 2024 v1 MOF 필수(Mandated) OMG( www.omg.org/spec/MOF/2.0/ 본 표준은 MOF를 정의하는데, MOF는 객체지향 분석, 설계 및 레포지토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이다. MOF 메타모델은 메타데이터의 추상문법을 정의하며 MOF 모델은 MOF 메타모델을 표현하기 위해 모델 자체를 추상문법으로 묘사한다.
MND-OMG formal/2002-11-11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s Specification, v2.0 DITA 2024 v1 DSS 사양(Retired) OMG( www.omg.org/spec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모델들을 분산하여 모델링하고 정보 및 데이터를 분산 처리함으로써 대규모 컴퓨팅작업을 여러 클라이언트가 분할하여 처리하는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 상세를 정의함.
MND-OMG formal/2007-01-01 Data Distribution Service for Real-time Systems v1.2 DITA 2024 v1 DDS 필수(Mandated) OMG( www.omg.org/spec 다양한 시스템 플랫폼에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동작절차를 제공하여 시스템 개발 및 통합을 지원하는 각종 객체기술의 표준화 명세함.
MND-OMG formal/2010-11-01 The Real-Time Publish-Subscribe Wire Protocol DDS Interoperability Wire Protocol Specification v2.1 DITA 2024 v1 DDS 필수(Mandated) OMG( www.omg.org/spec 본 표준은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의 출판(Publish)-구독(Subscribe) 방식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및 처리하는 데이터 분배 미들웨어인 DDS(Data Distribution Service)의 통신프로토콜계층에 해당되는 표준이다.
MND-OMG formal/2015-04-10 Data Distribution Services for Real-time Systems v1.4 DITA 2024 v1 DDS 필수(Mandated) OMG( www.omg.org/spec 실시간 시스템의 데이터 중심 배포 미들웨어 기술의 일환으로 OMG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데이터 Publish/Subscribe 기술 표준임.
MND-OMG formal/2022-04-01 The Real-Time Publish-Subscribe Wire Protocol DDS Interoperability Wire Protocol  Specification v2.5 DITA 2024 v1 DDS 미래(Emerging) OMG(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의 출판(Publish)-구독(Subscribe) 방식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및 처리하는 데이터 분배 미들웨어인 DDS(Data Distribution Service)의 통신프로토콜계층
MND-OpenGIS Web Feature Service(WF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Ver. 1.1.0 Web Feature Servi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DITA 2024 v1 WFS 필수(Mandated) OGC( www.orc.org 본 표준은 HTTP를 통해 벡터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WFS의 구현 스펙을 정의한 표준임
MND-OpenGIS Web Feature Service(WFS) Interface Standard Ver. 2.0 OpenGIS Web Feature Service 2.0 Interface Standard DITA 2024 v1 WFS 필수(Mandated) OGC( www.orc.org HTTP를 통해 벡터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WFS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표준임
MND-OpenGIS Web Map Service(WM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Ver. 1.3.0 OpenGIS Web Map Server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DITA 2024 v1 WMS 필수(Mandated) OGC( www.orc.org HTTP를 통해 Raster Image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WMS의 구현 스펙을 정의함
MND-OpenGL Graphics System v1.2.1 OpenGL Graphics System: A Specification (Version 1.2.1) 1 April 1999 DITA 2024 v1 OpenGL 사양(Retired) Open www.opengl.org/sdk/docs/man2 2D, 3D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고안된 OpenGL은 이종 기종간의 이식성이 우수.&ltbr type=&quot_moz&quot /&gt
MND-OpenGL Graphics System v2.1 The OpenGL Graphics System: A Specification (Version 2.1 - December 1, 2006) DITA 2024 v1 OpenGL 필수(Mandated) Open www.opengl.org/sdk/docs/man2 프로그래밍 언어 간 플랫폼 간의 교차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단순한 기하도형에서부터 복잡한 3차원 도형이 생성 가능한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스 표준 API 규격임.
MND-PNG MNG 1.0 Multiple-image Network Graphics (MNG) Format, Version 1.0, 31 January 2001 DITA 2024 v1 MNG 필수(Mandated) PNG( www.libpng.org/pub/mng/mngdocs.html 본 표준은 DITA 표준인 7D824B9F-FC81-5E7F-401B-913CD6799D02의 확장판 PNG :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비손실적, 휴대적, 압축된 개개의 컴퓨터그래픽스 이미지를 위한 데이터 흐름 및 관련 파일 형식임.
MND-RDF/XML Syntax Specification (Revised) Resource Deion Framework (RDF)/XML Syntax Specification (Revised),W3C Recommendation, 10 February 20 DITA 2024 v1 RDF 사양(Retired) W3C( www.w3.org/TR/REC-rdf-syntax 본 표준은 XML을 사용하여, 음악, 사진, 이벤트와 같은 개인적인 수집물이나 라이브러리 카탈로그나 월드와이드 디렉터리로부터 뉴스, 소프트웨어, 목차 등과 같은 집합체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양성을 통합함.
MND-RSA PKCS #1 v2.1 PKCS #1: RSA Cryptography Standard v2.1 DITA 2024 v1 PKCS 사양(Retired) RSA  www.centera.bz/emc-plus/rsa-labs/pkcs/files/h11300-wp-pkcs-1v2-2-rsa-cryptography-standard.pdf 본 표준은 RSA 공용 키 시스템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서명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정의한 표준으로, 버전 2.1에서는 RSAES-OAEP, multi-prime RSA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MND-RSA PKCS #1 v2.2 PKCS #1: RSA Cryptography Standard v2.2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RSA  https://www.emc.com/collateral/white-papers/h11300-pkcs-1v2-2-rsa-cryptography-standard-wp.pdf 본 표준은 RSA 공용 키 시스템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서명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정의한 표준으로, 버전 2.1을 업데이트한 버전이다.
MND-RSA PKCS #11 v2.2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Standard, 28 June 2004 DITA 2024 v1 PKCS 사양(Retired) RSA  ftp://ftp.rsasecurity.com/pub/pkcs/pkcs-11/v2-20/pkcs-11v2-20.pdf 본 표준은 RSA사가 개발한 암호작성 표준으로서 CAPI라고 하는 보안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RSA PKCS #15 v1.1 Cryptographic Token Information Format Standard, 6 June 2000 DITA 2024 v1 PKCS 필수(Mandated) RSA  www.onefs.com/emc-plus/rsa-labs/standards-initiatives/pkcs-15-cryptographic-token-information-format.htm 본 표준은 암호호된 토큰 정보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고 있는 PKCS 패키지 표준이다.
MND-RTCA DO-185B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II (TCAS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RTCA www.rtca.org/store_product.asp?prodid=924 본 표준은 항공기의 비행 경고 및 충돌 방지 시스템의 운영 스펙을 정의함
MND-RTCA DO-236C Minimum Aviation System Performance Standards: Required Navigation Performance for Area Navigation,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RTCA www.rtca.org/store_product.asp?prodid=1112 본 표준은 미국 공군에 의해 제공되는 Navstar GPS 네트워크에서 우주 부문과 내비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우주 부분과 내비게1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수적인 표준임
MND-RTCA DO-246D GNSS-Based Precision Approach Local Area Augmentation System (LAAS) Signal-in-Space Interface Contro DITA 2024 v1 항공통신 필수(Mandated) RTCA www.rtca.org/store_product.asp?prodid=776 근거리 오차보정시스템인 GBAS(이후 LAAS)는 VHF 데이터 링크를 통신수단으로 이용하여 항공기의 공항 접근과 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Augmentation System임
MND-RTCA DO-253C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GPS Local Area Augmentation System Airborne Equipment, DITA 2024 v1 GPS Message 필수(Mandated) RTCA www.rtca.org/store_product.asp?prodid=754 본 표준은 항공항법장치에서 LAAS(Local Area Augmentation System)로 GPS의 확장 운용을 위한 최소 성능에 대한 규격이다.
MND-SLP-MSG-210 Sensor Link Protocol Message Set, Revision, 26 March 2001 DITA 2024 v1 SLP 미래(Emerging) SLP( handle.dtic.mil/100.2/ADA399491 본 표준은 정찰감시 및 목표획득을 하기위한 센서체계를 디지털화된 전장 환경과 연동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MND-STANAG 4246 Edition 2, HAVE QUICK UHF Secure and  Jam-Resistant Communications Equipment, 17 June 1987 with Amen DITA 2024 v1 전술전파가시선통신 필수(Mandated) NATO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극초단파(UHF) 라디오 장비의 잼 방지 기능을 위한 필수 표준임
MND-STANAG 4294 NAVSTA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System Characteristics(Part 1, Edition 2 dated December 1 DITA 2024 v1 GPS Message 필수(Mandated) NATO quicksearch.dla.mil NAVSTA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Part 2는 미 C034AEDB06F84EA5A386F8D47FCE4005에서 군사 부문 전용으로 사용하던 PPS(Precise Positioning Service)에서 민간에게 개방된 SPS(Standard Positioning System)를 제공하는 표준임.
MND-STANAG 4392 Data Interchange Format for GPS Annex D Format and Usage of PPS DGPS Messages for Aviation and other DITA 2024 v1 GPS Message 필수(Mandated) NATO quicksearch.dla.mil 본 표준은 군 서비스차원에서 위성항법시스템인 미국의 GPS 성능을 구현하고 차동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한 데이터 포맷 및 프로토콜을 정의함.
MND-STD-0001 차보/차전 전문 DITA 2024 v1 차보/차전전문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임.
MND-STD-0002A BTCS 통신구조 DITA 2024 v1 BTCS 사양(Retired) 국방부   본 BTCS 통신구조 표준은 포병대대 사격지휘체계 A1 (BTCS A1 : Battalion Tactical Command System A1 이하 BTCS A1&apos이하 한다)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전문 형식에 대하여 정의한 표준
MND-STD-0002B BTCS 통신구조 DITA 2024 v1 BTCS 필수(Mandated) 국방부   본 BTCS 통신구조 표준은 포병대대 사격지휘체계 (BTCS : Battalion Tactical Command System)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전문 형식에 대하여 정의한 표준을 말한다.
MND-STD-0003-01 Inter-Site Data Link(ISDL-A and ISDL-B) Message Standard, 2019. 11 DITA 2024 v1 ISDL 사양(Retired) 국방부   ISDL(inter-Site Data Link) : 함소(함정, 육상기지)간의 전술자료 교환을 목적으로 개발된 데이터링크
MND-STD-0003A Inter-Site Data Link(ISDL-A and ISDL-B) Message Standard, 2021. 11 DITA 2024 v1 ISDL 필수(Mandated) 국방부   ISDL(inter-Site Data Link) : 함소(함정, 육상기지)간의 전술자료 교환을 목적으로 개발된 데이터링크
MND-STD-0005 KMTF(KJCCS Message Text Format) 전문 v1.0, 2008 DITA 2024 v1 KMTF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KMTF는 미군 표준인 USMTF(MIL-STD-6040)을 기반으로 개발된 군사용 컴퓨터간 자료 교환 포맷임.
MND-STD-0005A KMTF(Korean Message Text Format) 전문 v2.0, 2012 DITA 2024 v1 KMTF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KMTF v2.0은 는 KMTF v1.0을 기반으로 개정된 군사용 컴퓨터간 자료 교환 포맷임.
MND-STD-0007 PRE(Position Reporting Equipment) 전문, 2008 DITA 2024 v1 PRE 사양(Retired)   dips.mil PRE(위치보고접속장치)에서 사용하는 전문형식
MND-STD-0008 RASIT(Radar Surveillance Intercept) 전문, 2008 DITA 2024 v1 RASIT 사양(Retired)   dips.mil RASIT와 ATCIS 체계 간 지상 감시에 대한 첩보(일시, 표적 성질, 위치, 규모 등) 정보를 정의한 전문
MND-STD-0009 TPQ(Target Position Acquisition) 전문, 2008 DITA 2024 v1 TPQ 사양(Retired)   dips.mil TPQ(Target Position Acquisition) 데이터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메시지 포맷
MND-STD-0010 TPS-830K(Transportable Radar Detecting) 전문 DITA 2024 v1 TPS 사양(Retired)   dips.mil TPS-830K(Transportable Radar Detecting) 데이터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메시지 포맷
MND-STD-0011 기상전문 DITA 2024 v1 기상전문 사양(Retired)   dips.mil 탄도형 기상통보문 ID, 형태 , 8분원, 위도, 경도, 일시, 유효기간, 표고, 기압, 선번호, 풍향, 풍속, 온도, 밀도의 정보를 전송
MND-STD-0012 TIBL(Tactical Information Broadcasting Line) 전문 DITA 2024 v1 TIBL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Link-14 통신망 응용체계로 KNTDS 설치부대에서 육상의 NON-KNTDS 부대에 전술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망임.
MND-STD-0015 Remote Air Situation Display (RASD) DITA 2024 v1 RASD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RASD는 북극성 사업의 일환으로 MCRC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중 표적 정보를 외부 기관 및 예하 제대에 전파하고자 개발된 군사용 컴퓨터간 자료 교환 포맷임.
MND-STD-0016-01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KVMF) DITA 2024 v1 KVMF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육군의 무기체계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Tactical Interface의 상위 Application Protocol 에 대응하는 전문체계의 표준임.
MND-STD-0016A-05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KVMF) DITA 2024 v1 KVMF 필수(Mandated) 국방부   육군의 무기체계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Tactical Interface의 상위 Application Protocol 에 대응하는 전문체계의 표준임.
MND-STD-0017 M-SAM Digital Information Link(MDIL) DITA 2024 v1 MDIL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MDIL은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체계(천궁)의 작전통제소와 교전통제소간 전술자료 교환 포맷으로 Link 11B 및 ATDL-1의 기능을 통합/확장한 규격을 가진다.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천궁)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한국군 방공무기체계에 사용될 예정이다.
MND-STD-0017A M-SAM Digital Information Link(MDIL) DITA 2024 v1 MDIL 사양(Retired) 국방부 http://dips.mil MDIL은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체계(천궁)의 작전통제소와 교전통제소간 전술자료 교환 포맷으로 Link 11B 및 ATDL-1의 기능을 통합/확장한 규격을 가진다.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천궁)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한국군 방공무기체계에 사용될 예정이다. 대공유도무기 체계 간 전장상황 공유 및 대항공기/대탄도탄 작전 수행을 위한 전술자료 포맷과 송수신 규약을 정의함
MND-STD-0017B M-SAM Digital Information Link(MDIL) DITA 2024 v1 MDIL 필수(Mandated) 국방부   디지털 데이터링크를 이용하여 대공유도무기체계 간 전술정보 연동을 위해 교환되는 메시지의 포맷과 메시지의 송수신 규약에 대해 규정한 것으로, 항공기/탄도탄 방어 무기체계 간 연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작전통제소, 교전통제소 등을 개발하거나 성능 개선할 경우 적용이 가능한 표준으로 기존 DITA로 등록된 MND-STD-0017A 표준에 모드-5 관련 요구사항이 추가된 기술임
MND-STD-0018-01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LINK-K) DITA 2024 v1 LINK-K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한국군 전장환경 및 무기체계에 적합하도록 감시체계, 지휘통제 및 타격체계 간 전술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표준임.
MND-STD-0018A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LINK-K) DITA 2024 v1 LINK-K 미래(Emerging) 국방부 dips.mil 한국군 전장환경 및 무기체계에 적합하도록 감시체계, 지휘통제 및 타격체계 간 전술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표준임.
MND-STD-0019 위성전군방공경보체계 메시지 규격 DITA 2024 v1 위성전군방공경보체계 메시지 규격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위성전군방공경보체계에서 제공하는 항공기항적정보, 탄도탄항적정보, 방공통제명령 및 GPS 정보에 대한 데이터교환 표준임.
MND-STD-0020 222 디지털 데이터 링크 DITA 2024 v1 222 디지털 데이터링크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Radar 사이트와 MCRC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정의 및 처리하기 위한 세부 프로토콜을 정의한 표준임.
MND-STD-0021 KVMF 응용 프로토콜 DITA 2024 v1 KVMF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무선 환경에서의 비연결(Connectionless)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 OSI 7 Layer 중 Application Layer에 관련된 기능을 정의한 것으로, KVMF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MND-STD-0022-06 투명도 부호 및 포맷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전장관리정보체계에서 운용하는 공통작전상황도(COP)간 투명도의 공유불가로 투명도를 사용하는 체계에서 제공해야 할 투명도 부호의 종류, 모양, 규칙, 속성, 저장 및 교환 포맷에 대하여 규정함.
MND-STD-0022A 투명도 부호 및 포맷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미래(Emerging) 국방부   공통작전상황도(COP) 투명도를 사용하는 체계에서 제공해야 할 투명도 부호의 종류, 모양, 규칙, 속성, 저장 및 교환 포맷
MND-STD-0023 지도심볼 구현 표준 DITA 2024 v1 한국군 지도심볼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국방지형정보단에서 생산하는 FDB(디지털 지형정보)를 활용하는 체계가 지도도시 모양이 동일하도록 지도자료 종류 및 축척에 대한 FACC 코드 적용기준을 정의하고 지형요소 종류를 식별하여 도시 속성 및 모양에 대한 지도심볼 구현방식을 정의함.
MND-STD-0023A-02 지도심볼 구현 표준 DITA 2024 v1 한국군 지도심볼 필수(Mandated)   dips.mil 본 표준은 국방지형정보단에서 생산하는 FDB(디지털 지형정보)를 활용하는 체계가 지도도시 모양이 동일하도록 지도자료 종류 및 축척에 대한 FACC 코드 적용기준을 정의하고 지형요소 종류를 식별하여 도시 속성 및 모양에 대한 지도심볼 구현방식을 정의함.
MND-STD-0024 COP 도시요소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공통작전상황도에서 사용하는 도시요소 종류 및 관리방식 상이로 인해 Live COP 공유에 대한 애로사항 발생하기 때문에 도시요소에 대한 종류를 정의한 표준임.
MND-STD-0024A-03 COP 도시요소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COP 교환형식(Common Operational Picture, 공통작전상황도) : 전장 상황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하기 위하여 여러 부대가 공유하는 작전 상황도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형식
MND-STD-0025 COP DB 저장포맷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공통작전상황도에서 사용하는 도시요소 종류 및 관리방식 상이로 인해 Live COP 공유에 대한 애로사항 발생하기 때문에 도시요소에 대한 DB 저장 포맷을 정의한 표준임.
MND-STD-0025A-03 COP DB 저장포맷 표준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필수(Mandated) 국방부   COP 교환형식(Common Operational Picture, 공통작전상황도) : 전장 상황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하기 위하여 여러 부대가 공유하는 작전 상황도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형식
MND-STD-0026 COP 설정정보 교환 포맷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공통작전상황도에서 상황도 레이어를 작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시요소(각 부대에 대한 군대부호 및 도형과 그에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를 표준화한 것에 대한 상황도 설정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포맷 표준임.
MND-STD-0026A COP 설정정보 교환 포맷 DITA 2024 v1 COP 교환형식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공통작전상황도에서 상황도 레이어를 작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시요소(각 부대에 대한 군대부호 및 도형과 그에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를 표준화한 것에 대한 상황도 설정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포맷 표준임.
MND-STD-0027 KMTF, 군대부호, 부대코드에 대한 적합성 시험방법 DITA 2024 v1 KMTF 시험방법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국방정보화표준 중 KMTF, 군대부호 및 아군부대코드에 대한 체계 적용에 대한 표준적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규격이다.
MND-STD-0028 합동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요구사항 및 시험방법 DITA 2024 v1 합동상호운용성 시험방법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합동 무기체계에 대한 운용 시험평가 단계에 수행되는 상호운용성 시험 간 상호운용성 점검 목록을 기준으로 도출된 요구사항(Requirements)과 요구사항별 시험 방법(Test Method)을 표준화 함.
MND-STD-0029-02 Link-K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시지 DITA 2024 v1 LINK-K 필수(Mandated) 국방부   IP 통신을 이용하여 JIDLS 체계의 Limk-K 전술자료처리기와 이를 통신체계로 운용하는 무기체계(호스트)간 전술정보 교환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메시지임.
MND-STD-0029A Link-K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시지 DITA 2024 v1 LINK-K 미래(Emerging) 국방부 dips.mil IP 통신을 이용하여 JIDLS 체계의 Limk-K 전술자료처리기와 이를 통신체계로 운용하는 무기체계(호스트)간 전술정보 교환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메시지임.
MND-STD-0030 KVMF 표준적합성 시험 표준 DITA 2024 v1 KVMF 시험방법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KVMF(MND-STD-0016)와 KVMF 응용프로토콜(MND-STD-0021)에 대한 표준적합성 시험에 적용됨.
MND-STD-0031 KVMF 상호운용성 시험 표준 DITA 2024 v1 KVMF 시험방법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국방정보화업무훈령에 정의하는 상호운용성 5대 항목 중 연동성 및 정보교환 항목에 대하여 KVMF 상호운용성시험 시 적용됨.
MND-STD-0031A KVMF 상호운용성 시험 표준 DITA 2024 v1 KVMF 시험방법 필수(Mandated) 국방부   본 표준은 합동 상호운용성 구현을 위해 KVMF 적용 무기체계에 대한 상호운용성 시험 요구사항과 요구사항별 시험방법을 일반화 및 표준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시험을 실시하는데 목적을 둔 상호운용성 시험 표준을 개정하는 내용임
MND-STD-0032 MPI-CDL 표준통신 구조 DITA 2024 v1 CDL 필수(Mandated) 국방부 dips.mil 본 표준은 영상 및 신호수집체계들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오류 없이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무선정송기술 중 일부이며, 체계 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통합 주파수운용대역, 통신파형을 정의한 표준임
MND-STD-0033 국방정보메시지교환규격 DITA 2024 v1 국방정보메시지교환규격 사양(Retired)   dips.mil 국방정보메시지교환규격 : 국방정보체계 연동통합서버를 통하여 유통되는 메시지 규격
MND-STD-0033A 국방정보메시지교환규격 DITA 2024 v1 국방정보메시지교환규격 필수(Mandated) 국방부   자원관리정보체계 간 정보교환을 위한 문자 및 이진 데이터 연동에 사용되는 메시지 포맷에 대한 표준규격
MND-STD-0034A LINK-16 표준적합성시험 표준 DITA 2024 v1 LINK-16 표준적합성시험 필수(Mandated) 국방부   LINK-16 표준적합성시험 수행을 위한 평가 기준, 절차 등을 정의한 표준서로 정량적인 시험항목 선정, 시험결과 판정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MND-STD-0035 국방 표준적합성시험 개념 DITA 2024 v1 국방 표준적합성시험 개념 필수(Mandated) 국방부   한국군에서 수행하는 표준적합성시험의 개념 및 절차 등 일반적인 사항을 정의
MND-STD-2525B 한국군 군대부호 표준 DITA 2024 v1 군대부호 사양(Retired) 국방부 dips.mil 군대부호도시 및 운용방법에 대한 표적전시규정임.
MND-STD-2525C-07 한국군 군대부호 표준 DITA 2024 v1 군대부호 필수(Mandated) 국방부   군대부호도시 및 운용방법에 대한 표적전시규정임.
MND-STDI-0002 v3.0 The Compendium of Controlled Extensions (CE) for the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NITF), Ve DITA 2024 v1 NITF 필수(Mandated) GWG( www.gwg.nga.mil/ntb/baseline/docs/stdi0002/stdi0002_v30/index.html 본 표준은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NITF) 버전 2.0 또는 2.1과 함께 사용되도록 허가된 CE(Controlled Extension) 규격을 제공함. 본 표준은 NITFS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의 STDI-0002, National Support Data Extensions(SDE)에 대한 비분류 지침서임.
MND-TIA/EIA-232-F Interface Between Data Terminal Equipment and 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Employing Serial Bi DITA 2024 v1 Serial 필수(Mandated) TIA( www.tiaonline.org/standards/buy-tia-standards 본 표준은 DTE 및 DCE 사이의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접속 규격으로서 1962년 EIA에 의해 RS-232로 표준화되었으며, 현재 RS-232-F까지 발표됨.
MND-TIA/EIA-422-B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alanced Voltage Digital Interface Circuits, Apr 13, 1994 DITA 2024 v1 Serial 필수(Mandated) TIA( www.tiaonline.org/standards/buy-tia-standards 본 표준은 TIA/EIA-232의 제한사항(전송속도, 거리)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고속&middot전송거리로 향상시키기 위해 평형 직렬 인터페이스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규정하는 기술 규격임.
MND-TIA/EIA-485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tors and Receivers for use in Balanced Digital Multipoint System DITA 2024 v1 Serial 필수(Mandated) TIA( www.tiaonline.org/standards/buy-tia-standards 본 표준은 TIA/EIA-232, TIA/EIA-422의 제한사항(전송속도, 거리, 높은 회선구성비용, Multipoint 기능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평형 직렬 인터페이스에서 Multipoint 시스템 구성을 위한 전기적 특성을 규정하는 기술 규격임.&ltbr type=&quot_moz&quot /&gt
MND-TIA/EIA-530-A High Speed 25-Position Interface for Data Terminal Equipment and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ITA 2024 v1 Serial 필수(Mandated) TIA( www.tiaonline.org/standards/buy-tia-standards 본 표준은 DTE 및 DCE 사이의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접속 규격으로써 EIA/TIA-449의 주요 전기특성을 유지하면서 커넥터 형식을 DB-37가 아닌 DB-25로 대체한 표준임.
MND-TTAE.IF.sip.h323.01-1 SIP-H.323 프로토콜 간 상호연동 요구사항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한국정보 committee.tta.or.kr/summary/standard_view.jsp?std_no=ETC&section_code=I1&pk_num=TTAE.IF-sip.h323.01-1&nowSu=137&section_code=I1 SIP과 H.323 프로토콜간 상호연동을 위하여 인터워킹 기능이라 불리는 IWF(Interworking function) 엔티티가 지원해야 하는 요구사항들을 정의한다.
MND-TTAE.OT-12.0019-Part1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 규격(STIX) 버전 2.0 - 제1부: STIX 핵심 개념, 2018년 12월 19일 DITA 2024 v1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필수(Mandated) 한국정보   STIX(Structured Threat Information Expression) 2.0에서 사용하는 핵심 개념을 정의
MND-TTAE.OT-12.0019-Part2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 규격(STIX) 버전 2.0 - 제2부: STIX 객체, 2018년 12월 19일 DITA 2024 v1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필수(Mandated) 한국정보   STIX 도메인 객체 및 보유 속성, STIX 관계에 대한 정의와 설명을 포함
MND-TTAE.OT-12.0019-Part3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 규격(STIX) 버전 2.0 - 제3부: 사이버 관측 코어 개념, 2018년 12월 19일 DITA 2024 v1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필수(Mandated) 한국정보   STIX 2.0에서 사용하는 관측 가능 객체와 그 속성에 대한 구조화된 표현을 정의하고, 사이버 관측 코어 개념에 대해 서술
MND-TTAE.OT-12.0019-Part4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 규격(STIX) 버전 2.0 - 제4부: 사이버 관측 객체, 2018년 12월 19일 DITA 2024 v1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필수(Mandated) 한국정보   STIX 2.0에서 사용하는 STIX 사이버 관측 객체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본적인 소비자 및 생산자의 요구사항을 제시
MND-TTAE.OT-12.0019-Part5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 규격(STIX) 버전 2.0 - 제5부: STIX 패터닝, 2018년 12월 19일 DITA 2024 v1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필수(Mandated) 한국정보   네트워크와 엔드포인트에서 악의적인 행위 탐지를 위해 STIX 인디케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IX 패터닝 언어를 정의
MND-TTAI.OT-10.0358 WebSocket API DITA 2024 v1 WebSocket 필수(Mandated) 한국정보 www.tta.or.kr/data/ttas_view.jsp?rn=1&pk_num=TTAK.KO-12.0223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전송제어프로토콜 연결 한 개만 생성하여 전이중 통신을 제공하는 API를 의미함
MND-TTAK.KO-12.0001/R3 부가형 전자 서명 방식 표준 - 제2부: 한국형 인증서 기반 전자 서명 알고리즘(KCDSA), 2014-07-02 DITA 2024 v1 전자서명 사양(Retired) 한국정보 www.tta.or.kr/data/ttas_view.jsp?rn=1&pk_num=TTAK.KO-12.0001/R3 본 표준은 한국형 인증서 기반의 부가형 전자 서명 알고리즘인 KCDSA(Korean Certificate-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의 전자 서명 생성 과정과 검증 과정을 정의하고 있는 표준으로 TTAK.KO-12.0001/R2 표준을 개정한 표준이다.
MND-TTAK.KO-12.0001/R4 부가형 전자 서명 방식 표준 - 제2부: 한국형 인증서 기반 전자 서명 알고리즘 (KCDSA), 2016-12-27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한국정보   본 표준은 한국형 인증서 기반의 부가형 전자 서명 알고리즘인 KCDSA(Korean Certificate-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의 전자 서명 생성 과정과 검증 과정을 정의하고 있는 표준으로 TTAK.KO-12.0001/R3 표준을 개정한 표준이다.
MND-TTAK.KO-12.0223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 LEA DITA 2024 v1 암호화 미래(Emerging) 한국정보 www.tta.or.kr/data/ttas_view.jsp?rn=1&pk_num=TTAK.KO-12.0223 본 표준은 블록 암호시스템인 LEA의 전체 구조 및 암호화 과정과 복호화 과정의 라운드 함수를 정의한 표준이다.
MND-TTAS.KO-01.0054 SIP기반 인터넷 텔레포니 프로파일 : 제안-응답 모델, 2004-12-23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한국정보 committee.tta.or.kr/data/standard_view.jsp?nowPage=159&pk_num=TTAS.KO-01.0054&commit_code=TC2 본 표준은 &ldquoSIP 기반 인터넷 텔레포니 프로화일 표준 : 기본 호 서비스&rdquo에서 정의한 호 설정 관련 기능 중 호 설정 관련 메시지 내 기술되는 미디어 세션 정보의 협상 기능을 기술함.
MND-TTAS.KO-10.0161/R1 SIP기반 인터넷 텔레포니 프로파일 : 등록 및 호 관리, 2004-12-23 DITA 2024 v1 SIP 필수(Mandated) 한국정보 www.tta.or.kr/data/ttas_view.jsp?totalSu=9044&by=asc&order=standard_no&rn=1&pk_num=TTAS.KO-10.0161/R1&nowSu=7042 본 표준은 SIP 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시그날링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시하고 각 구성요소간 상호운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원해야 하는 요구사항을 정의함.
MND-W3C CSS2 Cascading Style Sheets Level 2 CSS2 Specification, W3C Recommendation, 12-May-1998(revised 11 April  DITA 2024 v1 CSS 사양(Retired) W3C( www.w3.org/TR/CSS2 본 표준은 CSS의 기본개념, 유사클래스와 유사요소, 캐스케이드, 포맷팅 모델, CSS1의 특성, 유닛, CSS1의 적합성을 다루고 있음.
MND-W3C CSS3 Cascading Style Sheets Selectors Level 3 W3C Recommendation 06 November 2018 DITA 2024 v1 CSS 필수(Mandated) W3C(   종속형 시트 또는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ascading Style Sheets, CSS)로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스타일 언어(style sheet language)를 의미함
MND-W3C Canonical XML 1.0 Cannonical XML Version 1.0, W3C Recommendation, 15 March 2001 DITA 2024 v1 XML 보안 사양(Retired) W3C( www.w3.org/TR/2001/REC-xml-c14n-20010315 본 표준은 XML 문서에서 변화가 가능한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정규화하기 위한 형식, 물리적인 표현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MND-W3C Canonical XML 1.1 Canonical XML Version 1.1, May 2008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3C(   XML 문서에서 변화가 가능한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정규화하기 위한 형식, 물리적인 표현 방법을 정의
MND-W3C DOM Level 3 Document Object Model (DOM) Level 3 Core Specification Version 1.0, W3C Recommendation, 07 April 200 DITA 2024 v1 DOM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DOM-Level-3-Core XML문서를 Application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XML이다.
MND-W3C Decryption XML Decryption Transform for XML Signature, W3C Recommendation, 10 December 2002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2002/REC-xmlenc-decrypt-20021210 본 표준은 XML 서명을 위한 복호화 변형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즉, XML 서명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XML 암호화 구조들(서명 전 암호된 것, 서명 후 암호된 것)을 구분하기 위해 적용된다.
MND-W3C Exclusive XML Exclusive XML Canonicalization, Version 1.0, W3C Recommendation, 18 July 2002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2002/REC-xml-exc-c14n-20020718/ 본 표준은 XML 언어에 대한 배제 XML 정규화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있다. 특수한 XML 구문의 경우, 일반적인 정규화 알고리즘으로 파싱되지 않아 본 표준이 필요하다.
MND-W3C HTML 4.01 HTML 4.01 Specification, W3C Recommendation, 24 December 1999 DITA 2024 v1 HTML 사양(Retired) W3C( www.w3.org/TR/html401/ 본 표준은 웹 정보자원을 기술하는 마크업 언어로, 현재 많은 웹 정보자원들이 이를 통해 기술되고 있음. HTM 4.01은 이전 버전의 HTML보다 텍스트, 멀티미디어, 하이퍼링크 등의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옵션, 스크립트 언어, 문서양식, 향상된 인쇄기능과 사용자 접근성 등을 제공함.
MND-W3C HTML 5.0 HTML5.0 Specification, W3C Recommendation, 25 May 2011 DITA 2024 v1 HTML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html5 본 표준은 웹 정보자원을 기술하는 마크업 언어로, 현재 많은 웹 정보자원들이 이를 통해 기술되고 있음. HTM 4.01은 이전 버전의 HTML보다 텍스트, 멀티미디어, 하이퍼링크 등의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옵션, 스크립트 언어, 문서양식, 향상된 인쇄기능과 사용자 접근성 등을 제공함.
MND-W3C Namespaces in XML 1.1 Second Edtion Namespaces in XML 1.1 (Second Edition), W3C Recommendation, 16 August 2006 DITA 2024 v1 XML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xml-names11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성 마크업 언어) : 인간과 기계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로 마크업 포맷을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
MND-W3C OWL2 Web Ontology Language, W3C Recommendation, 27 October 2009 DITA 2024 v1 OWL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owl2-overview 문서에 포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언어임.
MND-W3C RDF Schema RDF Vocabulary Deion Language 1.0: RDF Schema, W3C Recommendation, 10 February 2004 DITA 2024 v1 RDF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rdf-schema RDF는 데이터와 그 의미를 기술하는 프레임워크로서 웹상의 자원에 메타데이터를 RDF로 부여함에 따라 컴퓨터에 의한 의미 이해와 자동처리를 쉽게 함. RDF 스키마는 RDF의 문장을 해석하기 위한 표준을 담고 있으며, 보통 RDF의 선두에 이름 공간으로서 정의됨. RDF스키마는 자바와 같은 오브젝트 지행 프로그래밍언어와 비스하고 자원 프로퍼티 정의와 프로퍼티와 자원간의 정의, 자원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 및 제약 조건등을 정의함.
MND-W3C SOAP 1.2 Part 1 SOAP Version 1.2 Part 1: Messaging Framework (Second Edition), W3C Recommendation 27 April 2007 DITA 2024 v1 SOAP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soap12-part1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Version 1.2는 XML 프로토콜 표준으로, 웹 서비스의 요청 및 응답에서 사용되어지는 XML 메시지 형식과 통신 프로토콜과의 바인딩 방법을 정의함.
MND-W3C SOAP MTOM SOAP Message Transmission Optimization Mechanism, W3C Recommendation, 25 January 2005 DITA 2024 v1 SOAP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soap12-mtom 본 표준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의 와이어 포맷과 전송 최적화를 위한 추상적인 특징이 있음.
MND-W3C SVG 1.1 Scalable Vector Graphics (SVG) 1.1 Specification, W3C Recommendation, 14 January 2003, edited in pla DITA 2024 v1 SVG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SVG SVG는 2차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기반의 파일 포맷임.
MND-W3C VoiceXML 2.1 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VoiceXML) 2.1, W3C Recommendation 19 June 2007 DITA 2024 v1 VoiceXML 필수(Mandated)   www.w3.org/TR/voicexml21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반을 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발성된 대화(spoken dialog)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며 웹 사이트뿐 아니라 기존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분야에서 IVR 어플리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할 유력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음.
MND-W3C WS-Addressing 1.0 - Core Web Services Addressing 1.0 - Core, W3C Recommendation, 9 May 2006 DITA 2024 v1 WS-A 필수(Mandated)   www.w3.org/TR/ws-addr-core 웹서비스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 복잡한 환경에서 전송계층과 관계없이 서비스 종단간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규격임.
MND-W3C WS-Policy 1.5 - Attachment Web Services Policy 1.5 - Attachment, W3C Recommendation, 04 September 2007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W3C( www.w3.org/TR/ws-policy-attach/ws-policy-attachment.pdf 본 표준은 웹 서비스 정책 프레임워크(WS-policy)의 첨부(Attachment)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한다.
MND-W3C WS-Policy 1.5 - Framework Web Services Policy 1.5 - Framework, W3C Recommendation, 04 September 2007 DITA 2024 v1 웹서비스 보안 필수(Mandated)   www.w3.org/TR/ws-policy/ws-policy-framework.pdf 본 표준은 일반적인 목적 모델과 이를 수반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시스템 상에서 엔티티에 대한 정책 체계를 설명한다.
MND-W3C WSDL 1.1 Web Services Deion Language (WSDL) Version 1.1 W3C Note 15 March 2001 DITA 2024 v1 WSDL 필수(Mandated)   www.w3.org/TR/wsdl WSDL(웹 서비스 기술 언어)은 웹 서비스를 기술하기위한 XML언어임.
MND-W3C WSDL 2.0 Part 1 Web Services Deion Language (WSDL) Version 2.0 Part 1: Core Language, W3C Recommendation, 26 June 20 DITA 2024 v1 WSDL 미래(Emerging)   www.w3.org/TR/wsdl20 WSDL(웹 서비스 기술 언어)은 웹 서비스를 기술하기위한 XML언어임.
MND-W3C XKMS 2.0 XML Key Management Specification (XKMS 2.0), Version 2.0, W3C Recommendation, 28 June 2005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ww.w3.org/TR/2005/REC-xkms2-20050628/ 본 표준은 XML 전자서명 및 XML 암호화를 위한 표준으로 공개키의 생성 및 분배를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XML 키관리 스펙은 XML 키정보 서비스 스펙(X-KISS)과 XML 키 등록 서비스 스펙(X-KRSS)로 구성된다.
MND-W3C XKMS 2.0 Binding XML Key Management Specification (XKMS 2.0) Bindings, Version 2.0, W3C Recommendation, 28 June 2005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ww.w3.org/TR/2005/REC-xkms2-bindings-20050628/ 본 표준은 XML 키 관리 스펙을 위한 보안적 특성들을 고려한 프로토콜 바인딩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MND-W3C XML 1.0 Fifth Editio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0 (Fifth Edition) W3C Recommendation 26 November 2008 DITA 2024 v1 XML,Diffserv 필수(Mandated) W3C(   웹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젂송하도록 W3C에 의해 정의된 웹 표준 맀크업 언어로, 태그를 정의하고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술핛 수 있는 언어
MND-W3C XML 1.1 Second Edition W3C XML 1.1 Second Editio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Second Edition), W3C Recommendation DITA 2024 v1 XML 미래(Emerging)   www.w3.org/TR/xml11 인터넷 웹페이지를 만드는 HTML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만든 언어이다. 홈페이지 구축기능, 검색기능 등이 향상되었고, 웹 페이지의 추가와 작성이 편리해졌다.
MND-W3C XML Encryption XML Encryption Syntax and Processing, W3C Recommendation, 10 December 2002 DITA 2024 v1 XML 보안 사양(Retired)   www.w3.org/TR/2002/REC-xmlenc-core-20021210/ 본 표준은 XML 언어를 이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XML로 암호화하거나 이를 표현하기 위한 처리 방법을 정의한다.
MND-W3C XML Encryption 1.1 XML Encryption Syntax and Processing Version 1.1, W3C Recommendation, 11 April 2013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3C(   XML 언어를 이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XML로 암호화하거나 이를 표현하기 위한 처리 방법을 정의
MND-W3C XML Schema Part 1 XML Schema Part 1: Structures, Second Edition, W3C Recommendation, 28 October 2004 DITA 2024 v1 XML 필수(Mandated)   www.w3.org/TR/xmlschema-1 XML Schema는 XML 문서 작성에 필요한 문서구조, 데이터타입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는 것임.
MND-W3C XML Signature XML Signature Syntax and Processing, W3C Recommendation, 12 February 2002 DITA 2024 v1 XML 보안 사양(Retired)   www.w3.org/TR/2002/REC-xmldsig-core-20020212/ 본 표준은 XML 전자서명 처리를 위한 규칙과 구문을 정의하고 있다. XML 전자서명은 무결성, 메시지 인증, 임의의 타입 데이터를 위한 서명자 인증 서비스와 서명 위치를 XML 언어로 정의하고 있다.
MND-W3C XML Signature 1.1 XML Signature Syntax and Processing Version 1.1, April 2013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3C(   XML 전자서명 처리를 위한 규칙과 구문을 정의
MND-W3C XML Signature XPath Filter XML-Signature XPath Filter 2.0, W3C Recommendation 08 November 2002 DITA 2024 v1 XML 보안 필수(Mandated)   www.w3.org/TR/2002/REC-xmldsig-filter2-20021108/ 본 표준은 새로운 XML 변환 기술을 정의하여 기존의 기술들과 함께 구현될 때,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이다.
MND-W3C XPath v2.0 XML Path Language (XPATH) Version 2.0 W3C Recommendation 23 january 2007 DITA 2024 v1 Xpath 필수(Mandated)   www.w3.org/TR/xpath20 본 표준은 XSLT(XSL Transformation Language), XLink, XPointer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XML 문서의 내용을 질의하고 위치를 부여하기 위한 일반 문법과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짐.
MND-W3C XQuery 1.0 XQuery 1.0: An XML Query Language, W3C Recommendation, 23 January 2007 DITA 2024 v1 Xquery 필수(Mandated)   www.w3.org/TR/xquery XQuery는 단순히 XML 검색 언어가 아닌 다양한 데이터 소스 검색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XML문서를 생성 할수 있는 문자 생성자로 볼수 있고 또 RDBMS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소스로 부터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XML문서를 생성 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시 XML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 받고 있다.
MND-W3C XQuery 3.1 XQuery 3.1: An XML Query Language, W3C Recommendation 21 March 2017 DITA 2024 v1 Xquery 미래(Emerging) W3C(   XQuery는 단순히 XML 검색 언어가 아닌 다양한 데이터 소스 검색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XML문서를 생성 할수 있는 문자 생성자로 볼수 있고 또 RDBMS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소스로 부터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XML문서를 생성 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시 XML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 받고 있다.
MND-W3C XSL v1.1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XSL), Version 1.1, W3C Recommendation, 05 December 2006 DITA 2024 v1 XSL 필수(Mandated)   www.w3.org/TR/xsl XML이 인터넷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었다면, XSL은 이러한 XML문서를 처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XSL은 XML의 장점인 플랫폼 독립적이고, 언어 독립적이라는 점을 그대로 계승한 XML Application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XSL로 생성한 문서는 XSL 스타일 시트(StyleSheet)라고 불리며, DTD(Document Type Definition) 그리고, XML 문서와 함께 데이터로서의 가치를 지니게 된다.
MND-W3C XSLT 2.0 XSL Transformations (XSLT) Version 2.0, W3C Recommendation, 23 January 2007 DITA 2024 v1 XSLT 필수(Mandated)   www.w3.org/TR/xslt XML 문서를 XML 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언어인 XSLT의 신택스와 시맨틱을 정의함.
MND-W3C Xforms 1.0 XForms 1.0, W3C Recommendation 20 October 2009 DITA 2024 v1 XFORMS,Xform 필수(Mandated)   www.w3.org/TR/xforms xForms 1.0은 서로 다른 목적, 표현, 그리고 XML 형태의 결과를 조합하는 차세대 웹기반의 폼의 기반 기술임. XML을 기반으로 하는 XForms는 웹 브라우저나 무선장치, 심지어 쌍방향 TV나 프린터, 스캐너 등의 여러 환경에 배치되어 사용할 수 있음. xForms를 이용해 현재 한계를 들어내고 있는 최초HTML폼의 설계를 대체하여 MVC모델에 입각한 웹페이지를 제작 할 수 있는 WYSIWYG방식의 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함.
MND-WMO-No. 306 Volume I.2 - 2001 Manual on Codes, International Codes, Volume I.2 (Annex II to WMO Technical Regulations), Part B-Bin DITA 2024 v1 Manual Code 필수(Mandated)   www.wmo.int/pages/prog/www/WMOCodes/WMO306_vI2/VolumeI.2.html 국제 기상 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의 Commission for Basic System(CBS)에서 기상자료에 대해 제정한 것.
MND-WS-I Basic Profile 1.1 Web Services Interoperability Organization (WS-I) Basic Profile 1.1, Final Material, 10 April 2006 DITA 2024 v1 WS-I 필수(Mandated)   www.ws-i.org/profiles/basicprofile-1.1.html 웹서비스 규격과 버전별 상호운용성을 제시함.
MND-eGOV-B01.004 행정기관의 전자문서시스템 규격, 2002.11 DITA 2024 v1 전자문서시스템규격 필수(Mandated)   www.moi.go.kr 국방정보체계표준 전자문서 처리체계 요구기능 및 이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문서 처리 체계의 기능에 대하여 규정함.
MND-eGOV-C01.008-2001 행정기관 전자서명인증기반 상호연동 기술표준, 2001.3 DITA 2024 v1 전자서명 필수(Mandated)   www.gpki.go.kr/main/PreMainAction.action 본 표준은 행정업무 및 정부서비스에 있어 전자서명 인증기반(GPKI) 상호연동 기술에 대한 표준이다.



■ 관련 자료

국방정보기술표준 목록.xls
0.32MB




■ 링크

원본 자료의 관련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www.data.go.kr/data/15083220/fileData.do#

 

국방부_국방정보기술표준목록_20230109

국방에서 쓰는 국방기술표준목록을 제공합니다.<br/>국방정보기술표준(DITA: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로 관리되고 있습니다.<br/>

www.data.go.kr

 

https://opendata.mnd.go.kr/openinf/sheetview2.jsp?infId=OA-9517

 



■ 기준 날짜

 2024.8.8

반응형